“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신서(申胥) - 신포서(申包胥)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 오(吳) 나라가 초 나라를 침략하였을 때 진(秦) 나라의 궁궐에 가서 7일 동안 울며 지원병을 요청하자, 이에 감동하여 출병(出兵)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신서(申胥)@오운 - 오운(伍員)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재상. 초(楚) 나라 사람으로 아버지와 형이 초(楚) 평왕(平王)에게 처형당함. 오 나라 부차(夫差)를 도와 월(越) 나라를 이기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후에 부차(夫差)에게 처형당함.
B.C.559~B.C.48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신서십조(信書十條) - 훈요십조(訓要十條)
고려 태조(太祖)가 자손들에게 내린 열 가지 유훈(遺訓). 943년(태조 26) 4월에 박술희(朴述熙)를 통하여 전했으며, 주로 왕실의 안녕을 위해 지켜야 할 일을 담고 있음.
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법제>법률
-
신석견(辛石堅) - 신석조(辛碩祖)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1426년(세종 8)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개성 유수(開城留守) 등을 지냄. 저서로 《연빙당집(淵氷堂集)》이 있음.
1407~14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석곡(申石谷) - 신대수(申大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곡성(谷城). 신세달(申世達)의 아들로, 현감(縣監)을 지냄.
152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곡성 , 인명>관인>문신
-
신선당(信善堂) - 조언수(趙彦秀)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조방좌(趙邦佐)의 아들이자 조사수(趙士秀)의 형으로, 명종(明宗) 때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으로 책록되고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497~157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선옹(神仙翁) - 유호인(劉好仁)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유선보(劉善寶)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성운(成運)ㆍ김대유(金大有)ㆍ이희안(李希顔) 등과 교유하였으며, 참봉(參奉)을 지냄.
1502~15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신성(信城) - 신성군(信城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네 번째 서자. 인빈김씨(仁嬪金氏)의 소생으로, 선조의 사랑을 독차지하여 한때 세자 책봉이 거론되기도 했으나 좌절됨.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피란 도중 의주(義州)에서 병사함.
1578~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신성(信星) - 토성(土星)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중앙(中央)을 상징하는 별. 28년마다 하늘을 한 바퀴 도는데, 해마다 이십팔수(二十八宿) 중의 한 별자리를 채우는 데서 ‘진성(鎭星)’이라 일컬어짐.
자연물>천체
-
신성(神聖) - 태조(太祖)@고려
고려 제1대 왕. 재위 918~943. 후삼국시대에 궁예(弓裔)의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홍유(洪儒)ㆍ배현경(裵玄慶)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고려 왕조를 창건하였으며, 후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함.
877~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신성대왕(神聖大王) - 태조(太祖)@고려
고려 제1대 왕. 재위 918~943. 후삼국시대에 궁예(弓裔)의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홍유(洪儒)ㆍ배현경(裵玄慶)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고려 왕조를 창건하였으며, 후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함.
877~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신성부원군(信城府院君) - 강지연(康之淵)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신천강씨(信川康氏)의 시조로, 몽고의 난이 일어나 강화도로 천도할 때 왕을 호종하여 호성공신(扈聖公臣)이 되고 신성부원군(信城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신성수(信城守) - 이희(李曦)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하동부원군(河東府院君) 정희수(鄭希壽)의 장인으로, 신성수(信城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신세련(申世連) - 신세달(申世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곡성(谷城). 곡성신씨(谷城申氏)의 시조(始祖). 현감(縣監)을 지낸 신대수(申大壽)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곡성 , 인명>문사>유학
-
신수(信水) - 황하(黃河)
중국 청해성(青海省) 파안(巴顏) 객라산(喀喇山)에서 발원하여 감숙성(甘肅省)ㆍ섬서성(陝西省)ㆍ하남성(河南省)ㆍ산동성(山東省) 등을 거쳐 발해만(渤海灣)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신수(莘叟) - 이윤(伊尹)
중국 은(殷) 나라의 재상. 탕(湯) 임금을 도와 천하를 평정하는 데 공헌함. 태갑(太甲)이 탕왕의 법을 어기자 추방하고 직접 정치를 하다가 태갑이 과오를 뉘우치자 정권을 되돌려 주었다고 함.
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숙(信叔) - 심대부(沈大孚)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심대(沈岱)의 아들이며, 정구(鄭逑)의 문인. 후에 효종이 된 봉림대군(鳳林大君)의 사부(師傅)를 지냈으며, 내직과 외직을 두루 역임함.
1586~165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숙(愼叔) - 박심문(朴審問)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으로 인해 조정에 출사하지 않고 단종(端宗)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성삼문(成三問) 등 육신(六臣)이 참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음독자살함.
1408~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신순부(申順夫) - 신지제(申之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아주(鵝洲). 창원 부사(昌原府使)로 있을 때 명화적(明火賊)을 토평하고 민심을 안정시켜 그 공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1562~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신술고(辛述古) - 신종원(辛宗遠)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영원 군수(寧遠郡守)를 지낸 신진(辛鎭)의 아들로, 연천 현감(連川縣監)ㆍ호조 좌랑(戶曹佐郞) 등을 지냄.
1551~160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