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안효사(安孝思) - 안승종(安承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어모장군(禦侮將軍) 안건(安建)의 아들. 1525년(중종 20)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예천(醴泉)에 은거하며 이황(李滉)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안효왕(安孝王) - 고종(高宗)@고려
고려의 제23대 왕. 재위 1213~1259. 거란ㆍ몽골 등 북방민족의 침입으로 고통을 받음. 팔만대장경을 조판하고, 유학을 장려하는 등 문화적인 업적도 남김.
1192~125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안후(安侯) - 안홍(安鴻)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정지운(鄭之雲)의 문인으로, 1566년(명종 21)에 청주 목사(淸州牧使)가 되어 흉년으로 굶주리는 백성을 구제하는 데 기여함.
1517~158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안훈도(安訓導) - 안응규(安應奎)
조선 전기의 유학. 향교(鄕校)의 훈도(訓導)를 역임하였으며,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안흥(安興) - 안응세(安應世)
조선 성종(成宗) 때의 유학.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단양군수(丹陽郡守)를 지낸 안중담(安仲聃)의 아들. 남효온(南孝溫)ㆍ김시습(金時習) 등과 교유하고 악부(樂府)에 뛰어났으나, 26세의 나이에 요절함.
1455~148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문사>유학
-
안흥군(安興君) - 김치(金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부사(府使) 김시회(金時晦)의 아들로, 상락군(上洛君) 김시민(金時敏)에게 출계함. 인조반정 후 한때 대북(大北)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등을 지냄.
1577~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안희(安僖) - 조자칭(趙子偁)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의 생부. 효종이 즉위하여 수왕(秀王)으로 추존됨.
?~1143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알국(鴶鵴) - 포곡(布穀)
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 뻐꾸기가 ‘포곡포곡’하며 울고, ‘포곡(布穀)’이 ‘씨를 뿌려라’라는 의미이므로,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
사상>술어>관용어ㅣ자연물>동물
-
알야산(閼也山) - 여산(礪山)
전라도 익산(益山)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정종(定宗) 때 여량(礪良)과 낭산(朗山)의 이름을 합쳐 여산이라 칭했고, 세종(世宗) 때 군(郡)으로 승격함.
전라도>여산 , 지명>행정지명
-
알영부인(閼英夫人) - 알영(閼英)
신라의 시조인 혁거세거서간(赫居世居西干)의 비(妃). 신화에, B.C. 53년에 알영정(閼英井)에 나타난 계룡(鷄龍)의 왼쪽 겨드랑이에서 태어나, 우물 이름을 따서 ‘알영’이라 칭하였으며, 13세 때 혁거세와 혼인하였다 함.
B.C.53~?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왕비
-
알지(閼智) - 김알지(金閼智)
신라 제4대 탈해왕(脫解王)의 양자. 경주김씨(慶州金氏)의 시조. 탈해왕(脫解王) 때 시림(始林)의 금궤에서 수려한 아이가 나왔다 하여 김알지라 이름하고 수양아들로 삼음.
65~?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
-
알지왕(閼智王) - 김알지(金閼智)
신라 제4대 탈해왕(脫解王)의 양자. 경주김씨(慶州金氏)의 시조. 탈해왕(脫解王) 때 시림(始林)의 금궤에서 수려한 아이가 나왔다 하여 김알지라 이름하고 수양아들로 삼음.
65~?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
-
알철(斡啜) - 완안종필(完顔宗弼)
중국 금(金) 나라 태조(太祖)의 넷째 아들. 태사도원수(太師都元帥) 등을 지냈으며, 군사를 이끌고 장강(長江)을 건너 악비(岳飛)ㆍ한세충(韓世忠) 등 송(宋) 나라의 명장들과 사투를 벌였고, 영토를 확장하는 데 공을 세음.
?~1148 중국>금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알출(斡出) - 완안종필(完顔宗弼)
중국 금(金) 나라 태조(太祖)의 넷째 아들. 태사도원수(太師都元帥) 등을 지냈으며, 군사를 이끌고 장강(長江)을 건너 악비(岳飛)ㆍ한세충(韓世忠) 등 송(宋) 나라의 명장들과 사투를 벌였고, 영토를 확장하는 데 공을 세음.
?~1148 중국>금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알탄칸() - 엄답(俺答)
16세기 말 몽고 토묵특부(土默特部)의 수령(首領). 1530년경부터 10여 년간 해마다 중국 명(明) 나라의 북쪽 국경에 침입함.
1507~1582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암(嵒) - 이암(李嵒)
고려 충선왕(忠宣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철원군(鐵原君) 이우(李瑀)의 아들. 찬화공신(贊化功臣)ㆍ익조공신(翊祚功臣)에 책록되고, 좌정승 등을 지냄. 글씨에 뛰어나 동국(東國)의 조자앙(趙子昻)으로 불리고, 묵죽화(墨竹畫)에도 능함.
1297~136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암(巖)@윤암 - 윤암(尹巖)
조선 태종(太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파평(坡平). 태종의 아홉 번째 서녀(庶女)인 숙경옹주(淑慶翁主)와 혼인하였으며,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를 지냈고.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인척
-
암(巖) - 이암(李巖)
조선 인종(仁宗) 때의 종친ㆍ화가.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으로, 동식물을 소재로 한 그림을 잘 그렸으며, 인종 초에 중종(中宗)의 어용(御容)을 그릴 때 이에 참여함.
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암(諳) - 윤암(尹諳)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 윤보(尹珤)의 다섯째 아들이며, 전법 판서(典法判書) 윤해(尹侅)의 아버지로, 소부 윤(少府尹)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암(黯)@신암 - 신암(申黯)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대사성(大司成)을 지낸 신민일(申敏一)의 아버지. 김포 현령(金浦縣令)ㆍ중추부 경력(中樞府經歷) 등을 지냄.
15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