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권은(權殷)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모재집(慕齋集》에 박감(朴敢)ㆍ박수춘(朴壽椿) 등의 동문과 함께 김안국으로부터 받은 자(字)와 자설(字說)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권응도(權應度)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정유일(鄭惟一)의 문집을 간행하려고 했지만 병으로 일을 진행하지 못하였고, 관직은 순릉 참봉(順陵參奉)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응성(權應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훈도(訓導) 권윤(權綸)의 아들. 1558년(명종 1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권호문(權好文)ㆍ반홍(潘洪)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함.
153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응수(權應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덕신(權德臣)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대장으로 활동하면서 각지에서 큰 전공을 세워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도총부 도총관(都摠府都摠管)을 지냄.
1546~16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신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권응시(權應時)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공조 좌랑(工曹佐郞)ㆍ호조 좌랑(戶曹佐郞)을 거쳐, 군위 현감(軍威縣監)ㆍ양구 현감(楊口縣監) 등을 지냄.
1541~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응인(權應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시재(詩才)가 뛰어나 선위사(宣慰使) 일행이 되기도 했으며, 송(宋) 나라의 시풍(詩風)이 유행하던 문단(文壇)에 만당(晩唐)의 시풍을 받아들여 큰 전환을 가져왔음.
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문인
-
권응정(權應挺)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송인수(宋麟壽)ㆍ이언적(李彦迪)ㆍ노수신(盧守愼) 등과 함께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의 배후로 지목되어 유배됨.
1498~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권응창(權應昌)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지낸 권희맹(權希孟)의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1500~156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의(權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명종(明宗) 때 원상(院相)을 지낸 권벌(權橃)의 형.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1475~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의숙(權宜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의 종형(從兄)으로 그가 죽자 권호문이 애도하는 시를 남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이(權頤)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익평공(翼平公) 권람(權攬)의 현손. 중종(中宗) 때 영의정을 지낸 성희안(成希顔)의 외손자이며, 대사헌을 지낸 송인수(宋麟壽)의 사위. 송기수(宋麒壽)의 《추파집(秋坡集)》에 묘표(墓表)가 실려 있음.
1521~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인(權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준신(權俊臣)ㆍ권호신(權虎臣) 형제의 아버지. 제용감 봉사(濟用監奉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권인룡(權仁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정탁(鄭琢)과 교유했고, 관직은 별장(別將)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권자신(權自愼)
조선 단종(端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사육신(死六臣)과 함께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가 거열형(車裂刑)을 당함.
?~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자홍(權自弘)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책(權策)의 아버지로, 1427년(세종 9) 친시(親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ㆍ예문관 직제학(藝文官直提學)을 지내고,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장(權檣)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명종(明宗) 때 원상(院相)을 지낸 권벌(權橃)의 동생.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1489~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재(權載)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적(權勣)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교(權僑)의 아들로, 한성부 서윤(漢城府庶尹)ㆍ강화 부사(江華府使)를 지냄.
1470~153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권적(權適)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전(權專)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한성부 윤(漢城府尹)을 지낸 권백종(權伯宗)의 아들이며, 문종(文宗)의 비(妃)인 현덕왕후(顯德王后)의 아버지로, 중추원사(中樞院事)ㆍ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지냄.
1371~14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