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애공(哀公)@경애왕 - 경애왕(敬哀王)
신라 제55대 왕. 재위 924~927. 포석정(鮑石亭)에서 견훤(甄萱)의 공격을 받아 견훤의 강요에 의해 자살함.
?~92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애녀(騃女) - 직녀(織女)
한국ㆍ중국ㆍ일본에 전래되는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의 여자 주인공. 견우(牽牛)와 만나느라 베 짜는 일을 게을리 한 벌로 은하수(銀河水)를 사이에 두고 헤어지게 되었는데, 칠월 칠석(七夕)에야 오작교(烏鵲橋)를 통해 한 번 만난다 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애력당(愛櫟堂) - 송익지(宋益祉)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소세양(蘇世讓)의 《양곡집(陽谷集)》에 그의 당호(堂號)에 대한 제시(題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애련재(愛蓮齋) - 강신(姜紳)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우의정을 지낸 강사상(姜士尙)의 아들로,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낸 강사안(姜士安)에게 출계(出系)함. 선조 때 정여립(鄭汝立)의 모반 사건을 평정한 공으로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543~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애로(厓老) - 유성룡(柳成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권율(權慄)ㆍ이순신(李舜臣)을 천거하여 왜란에 대비하고 군대 양성과 군비 확충에 노력함. 도학(道學)ㆍ문장(文章)ㆍ덕행(德行)ㆍ글씨로 이름을 떨쳐 영남 유생들의 추앙을 받음.
1542~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애문산(厓門山) - 애산(崖山)
중국 광동성(廣東省) 신회현(新會縣)의 남쪽 대해(大海) 가운데 있는 산 이름. 남송(南宋) 말기에 장세걸(張世傑)이 원(元) 나라 장수 장홍범(張弘範)에게 패하자, 육수부(陸秀夫)가 상흥제(祥興帝)를 업고 바다에 빠져 죽은 고사가 전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애산(厓山) - 애산(崖山)
중국 광동성(廣東省) 신회현(新會縣)의 남쪽 대해(大海) 가운데 있는 산 이름. 남송(南宋) 말기에 장세걸(張世傑)이 원(元) 나라 장수 장홍범(張弘範)에게 패하자, 육수부(陸秀夫)가 상흥제(祥興帝)를 업고 바다에 빠져 죽은 고사가 전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애상(厓相) - 유성룡(柳成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산(豊山). 권율(權慄)ㆍ이순신(李舜臣)을 천거하여 왜란에 대비하고 군대 양성과 군비 확충에 노력함. 도학(道學)ㆍ문장(文章)ㆍ덕행(德行)ㆍ글씨로 이름을 떨쳐 영남 유생들의 추앙을 받음.
1542~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애손(愛孫) - 노애손(盧愛孫)
조선 전기의 유학. 노수신(盧守愼)의 조카. 《소재집(蘇齋集)》에 노수신이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진도(珍島)로 유배되어 있을 때 동생 노극신(盧克愼)과 어린 조카를 생각하며 지은 시(詩)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애송당(愛松堂) - 조광익(曹光益)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주자연보(朱子年譜)〉에 보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애옹(崖翁) - 홍간(洪侃)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풍산(豐山). 지제고(知製誥) 등을 지냈으나 언사(言事)로 인해 동래 현령(東萊縣令)으로 좌천됨. 시문에 능하고 시체(詩體)가 청려하여 이제현(李齊賢)ㆍ허균(許筠) 등으로부터 칭송을 받음.
?~130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애왕(哀王)@유박 - 유박(劉髆)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의 여섯째 아들. 유하(劉賀)의 아버지로, B.C.97년에 창읍왕(昌邑王)에 봉해짐.
?~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애왕(哀王) - 유양(劉襄)
중국 전한(前漢)의 제(齊) 도혜왕(悼惠王) 유비(劉肥)의 아들. 혜제(惠帝) 때 유비(劉肥)의 뒤를 이어 제왕(齊王)이 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애유식리(愛猷識理) - 소종(昭宗)@북원
중국 북원(北元)의 제2대 황제. 재위 1370~1378. 원(元) 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순제(順帝)와 고려 출신인 기황후(奇皇后)의 소생. 주원장(朱元璋)에게 원이 함락되자 아버지 순제와 함께 몽고(蒙古) 지방으로 도주하여 북원을 세우고, 순제가 죽자 시호를 혜제(惠帝)로 고치고 2대 황제로 즉위함.
1339~1378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애유식리달랍(愛猷識理達臘) - 소종(昭宗)@북원
중국 북원(北元)의 제2대 황제. 재위 1370~1378. 원(元) 나라의 마지막 황제인 순제(順帝)와 고려 출신인 기황후(奇皇后)의 소생. 주원장(朱元璋)에게 원이 함락되자 아버지 순제와 함께 몽고(蒙古) 지방으로 도주하여 북원을 세우고, 순제가 죽자 시호를 혜제(惠帝)로 고치고 2대 황제로 즉위함.
1339~1378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애육려발력팔달(愛育黎拔力八達) - 인종(仁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8대 황제. 재위 1311~1320. 문예정책에 힘을 기울이고, 중국인과 몽골인 간의 관직을 평등하게 분배함.
1286~1320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애일당(愛日堂) - 정분(鄭苯)
조선 태종(太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토목에 조예가 깊어 궁궐 조성과 축성, 현릉(顯陵) 조성 등을 감독함. 우의정에 재직 중 계유정난(癸酉靖難)이 일어나 낙안(樂安)에 안치되어 관노(官奴)가 되었다가 사사(賜死)됨.
?~14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애장집(豫章集) - 예장황선생문집(豫章黃先生文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ㆍ화가인 황정견(黃庭堅)의 저서. 3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애주사(艾主事) - 애유신(艾維新)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무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호부 주사(戶部主事)로 종군(從軍)하여 군량(軍糧)을 관리함. 군량 운송의 기일을 지키지 못한 검찰사(檢察使) 김응남(金應南)과 의주 부윤(義州府尹) 황진(黃璡) 등에게 장형(杖刑)을 가했다는 기록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애지(愛之) - 우인손(禹仁孫)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단양(丹陽).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을 지낸 우상(禹鏛)의 아버지로,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