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애탄(愛灘) - 임현(任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문인.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남원 부사(南原府使)가 되어 명(明) 나라 장수 양원(楊元)과 함께 성을 수비하였는데 양원은 도중에 도망하고 홀로 분전하다가 전사함.
1549~159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애호강(愛滹江)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애황(哀皇) - 애제(哀帝)@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제10대 황제. 재위 362~365. 성제(成帝) 사마연(司馬衍)의 아들로 25세의 젊은 나이로 병사함.
340~36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액봉(額蓬) - 파주(坡州)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1398년(태조 7) 서원(瑞原)ㆍ파평(坡平)을 합하여 원평군(原平郡)이 되고, 1460년(세조 6) 파주라는 명칭으로 바뀜.
경기도>파주 , 지명>행정지명
-
앵도(櫻桃)@번소 - 번소(樊素)
중국 당(唐) 나라 때의 기생. 시인 백거이(白居易)의 가기(家妓)로, 노래를 잘하였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기술인>기생
-
앵앵(鶯鶯) - 최앵앵(崔鶯鶯)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인물. 최붕(崔鵬)의 딸로, 원진(元稹)이 지은 《앵앵전(鶯鶯傳)》의 여자 주인공.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앵앵(鸎鸎) - 최앵앵(崔鶯鶯)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의 인물. 최붕(崔鵬)의 딸로, 원진(元稹)이 지은 《앵앵전(鶯鶯傳)》의 여자 주인공.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앵앵전(鸎鸎傳) - 앵앵전(鶯鶯傳)
중국 당(唐) 나라의 문인 원진(元稹)이 지은 전기 소설(傳奇小說). 1권. 재상의 딸 최앵앵(崔鸎鸎)과 백면서생 장서(張瑞)와의 사랑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원(元) 나라 때의 잡극(雜劇)인 《서상기(西廂記)》의 소재가 됨.
800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야(埜) - 조야(趙埜)
조선 영조(英祖) 때의 유학. 본관은 함안(咸安). 생육신(生六臣)인 조려(趙旅)의 《어계집(漁溪集)》 간행에 참여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유학
-
야계(倻溪) - 송희규(宋希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야로(冶爐). 이언적(李彦迪)과 교유하였으며, 윤임(尹任)을 옹호하고 윤원형(尹元衡)의 전횡을 탄핵하였음.
1494~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야계(耶溪) - 약야계(若耶溪)
중국 절강성(浙江省) 소흥현(紹興縣)에 있는 하천 이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야계산옹(倻溪散翁) - 송희규(宋希奎)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야로(冶爐). 이언적(李彦迪)과 교유하였으며, 윤임(尹任)을 옹호하고 윤원형(尹元衡)의 전횡을 탄핵하였음.
1494~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야계선생문집(倻溪先生文集) - 야계집(倻溪集)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송희규(宋希奎)의 시문집. 1816년(순조 16)에 문집이 처음 완성되었으며, 정종로(鄭宗魯)의 서문(序文)이 있음.
1816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야국(倻國) - 고령(高靈)
경상북도 남서단에 있는 고을 이름. 대가야(大伽倻)의 옛 도읍지.
경상도>고령 , 지명>행정지명
-
야국(耶國) - 가야(伽倻)
기원(紀元) 전후 무렵부터 6세기 중반까지 낙동강(洛東江) 하류 지역에 존재하던 세력집단 또는 국가들의 총칭(總稱). 562년에 대가야(大伽倻)를 마지막으로 신라에 병합됨.
?~562 한국>가야 , 시간>국명
-
야금(倻琴) - 가야금(伽倻琴)
우리나라 대표적 고유 현악기(絃樂器)의 하나. 우륵(于勒)이 처음 만들었다고 하며, 오동나무 공명통(共鳴筒) 위에 열두 줄의 명주실을 매고 손가락으로 뜯어 연주함.
한국>가야 , 물품>기타용품>악기
-
야금(耶琴) - 가야금(伽倻琴)
우리나라 대표적 고유 현악기(絃樂器)의 하나. 우륵(于勒)이 처음 만들었다고 하며, 오동나무 공명통(共鳴筒) 위에 열두 줄의 명주실을 매고 손가락으로 뜯어 연주함.
한국>가야 , 물품>기타용품>악기
-
야당(埜堂)@허금 - 허금(許錦)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으로, 지신사(知申事)를 지낸 허경(許絅)의 아들. 이인복(李仁復)의 문하에서 급제하여 예의 정랑(禮儀正郞)ㆍ전리 판서(典理判書) 등을 지내고, 우왕 옹립에 반대함.
1340~138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야로(冶老) - 길재(吉再)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였고,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짐.
135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야로(埜老) - 지엄(智嚴)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승려. 1491년(성종 22) 여진(女眞)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웠고, 출가하여 불도를 닦아 불교계의 종사(宗師)가 됨. 문인 영관(靈觀)ㆍ원오(圓悟) 등에게 대승경론(大乘經論) 등을 강의하였음.
1464~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종교인>승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