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야로(野老)@지엄 - 지엄(智嚴)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승려. 1491년(성종 22) 여진(女眞)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웠고, 출가하여 불도를 닦아 불교계의 종사(宗師)가 됨. 문인 영관(靈觀)ㆍ원오(圓悟) 등에게 대승경론(大乘經論) 등을 강의하였음.
1464~153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부안 , 인명>종교인>승려
-
야로(野老) - 이순(李淳)@1530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철성(鐵城). 이언명(李彦明)의 아들이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김우옹(金宇顒)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모장(召募將)으로 의병을 모집하여 왜적과 싸움.
1530~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
-
야로당(野老堂) - 이순(李淳)@1530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철성(鐵城). 이언명(李彦明)의 아들이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김우옹(金宇顒)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모장(召募將)으로 의병을 모집하여 왜적과 싸움.
1530~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학자
-
야매잠(夜寐箴) -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
중국 송(宋) 나라의 진백(陳栢)이 스스로를 경계하기 위해 지은 글. 208자(字)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희(朱熹)의 〈경재잠(敬齋箴)〉과 서로 표리(表裏)를 이룸.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야별초(夜別抄) - 삼별초(三別抄)
고려 무신정권(武臣政權) 때의 특수 군대. 최씨 정권(崔氏政權)의 사병(私兵)으로, 좌별초(左別抄)ㆍ우별초(右別抄)ㆍ신의군(神義軍)의 3개 별초군(別抄軍)을 말하며, 경찰ㆍ전투 임무를 수행함. 무신정권의 전위(前衛)로서 몽고와의 항전을 전개함.
한국>고려후기 , 법제>제도
-
야산(倻山) - 가야산(伽倻山)
경상도 성주(星州)와 합천(陜川) 사이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 , 지명>자연지명
-
야산(耶山) - 가야산(伽倻山)
경상도 성주(星州)와 합천(陜川) 사이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 , 지명>자연지명
-
야산(野山) - 여산(礪山)
전라도 익산(益山)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정종(定宗) 때 여량(礪良)과 낭산(朗山)의 이름을 합쳐 여산이라 칭했고, 세종(世宗) 때 군(郡)으로 승격함.
전라도>여산 , 지명>행정지명
-
야속진(也速眞) - 의비(懿妃)
고려 제26대 충선왕(忠宣王)의 제2비. 원(元) 나라 사람이며, 제27대 충숙왕(忠肅王)의 어머니.
?~1316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야손철목아(也孫鐵木兒) - 태정제(泰定帝)
중국 원(元) 나라의 황제. 재위 1323~1328. 무종(武宗)의 종형(從兄)으로, 영종(英宗)이 시해된 후에 옹립되었으나, 재위 기간 중 불사(佛事)를 빈번하게 일으키고, 사회적 모순을 더욱 심화시킴.
1293~1328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야수(野叟)@정문형 - 정문형(鄭文炯)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로, 개국공신 정진(鄭津)의 손자이며 정숙지(鄭叔墀)의 아버지. 1447년(세종 2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오도 관찰사(五道觀察使)ㆍ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1455년(세조 1)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녹훈됨.
1427~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야수(野叟) - 고용현(高用賢)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고경(高慶)의 아들로, 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과 교유하였음.
1302~136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구 , 인명>관인>문신
-
야순(野淳) - 이야순(李野淳)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상정(李象靖)ㆍ김종덕(金宗德)의 문하에서 이황(李滉)의 성리학을 전습(傳習)하였으며, 특히 예학(禮學)에 조예가 깊었음.
1755~18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문사>학자
-
야시매(也尸買) - 낭천(狼川)
강원도 화천(華川)에 있는 옛 고을 이름.
강원도>낭천 , 지명>행정지명
-
야악(倻岳) - 가야산(伽倻山)
경상도 성주(星州)와 합천(陜川) 사이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합천ㅣ경상도>성주 , 지명>자연지명
-
야옹(冶翁) - 길재(吉再)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권근(權近) 등에게 수학하였고, 이색ㆍ정몽주와 함께 고려의 삼은(三隱)으로 일컬어짐.
1353~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야옹(野翁)@권의 - 권의(權檥)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명종(明宗) 때 원상(院相)을 지낸 권벌(權橃)의 형.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1475~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야옹(野翁) - 전상인(田上人)
조선 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雲谷行錄)》에 〈서야옹전상인권(書野翁田上人卷)〉이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야옹정(野翁亭) - 신잠(申潛)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화가.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오랜 기간 유배되었음.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모두 뛰어나 삼절(三絶)로 일컬어졌는데, 묵죽(墨竹)에 특히 뛰어났다고 함.
1491~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야왕(野王)@고야왕 - 고야왕(顧野王)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ㆍ진(陳)의 문신ㆍ학자. 천문(天文)ㆍ복서(卜書)ㆍ기자(奇字)에 능통하여 많은 저술을 남겼는데, 그 가운데 《옥편(玉篇)》이 유명함.
519~581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