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약(瀹) - 홍약(洪瀹)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를 역임하였으며, 태자부 참군(太子府參軍)으로 남경(南京)에 있을 때 고려에서 온 유연(柳衍)을 도와 경적(經籍) 1만여 권을 사게 하였으며, 또 원(元) 나라에 주청하여 많은 서적을 고려에 주게 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약(瀹)@유약 - 유약(柳瀹)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으로, 자신(子新) 유종덕(柳種德)의 장남.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약(躍) - 김약(金躍)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언양(彦陽). 형조 정랑(刑曹正郞) 김계보(金季甫)의 아버지로, 능성 현령(綾城縣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약^도(略^韜) - 도^약(韜^略)
중국 주(周) 나라의 신하인 여상(呂尙)이 지었다는 《육도(六韜)》와, 진(秦) 나라 말의 병법가(兵法家) 황석공(黃石公)이 지었다는 《삼략(三略)》을 함께 부르는 말. 병법(兵法) 또는 병서(兵書)를 가리킴.
중국>진ㅣ중국>주 ,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약균(若鈞) - 김약균(金若鈞)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선공시 판사(繕工寺判事)를 지낸 김원석(金元石)의 아들로, 선천 군수(行宣川郡守)ㆍ선공감 정(繕工監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약능(若能) - 상득용(尙得容)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목천(木川). 장단(長湍) 출신. 영의정 상진(尙震)의 후손이며, 상동기(尙東耆)의 아들로, 화량진 첨사(花梁鎭僉使) 등을 지냄. 병서와 경사(經史)에 밝고, 천문ㆍ주수(籌數)에 능하였으며, 저서로 《성루합편(星漏合編)》등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장단 , 인명>관인>무신
-
약란(若蘭) - 소혜(蘇蕙)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전진(前秦) 부견(符堅) 때의 열녀. 연파장군(連波將軍)을 지낸 두도(竇滔)의 아내로 두도가 죄를 입어 귀양가자, 남편을 그리워한 나머지 비단을 짜서 회문선도(回文旋圖)를 만들어 시(詩)를 써 보내주었다는 고사가 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열녀
-
약로(藥盧) - 서천왕(西川王)
고구려의 제13대 왕. 재위 270~292. 중천왕(中川王)의 둘째 아들로, 숙신(肅愼)이 침략하자 격퇴하고 단로성(檀盧城) 등 여러 성을 빼앗았으며, 동생 일우(逸友)ㆍ소발(素勃) 등이 반란을 도모하자 주살함.
?~292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약로(藥老) - 이해수(李海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건저 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종성(鐘城)으로 유배되었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함.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내고, 시와 예서에 뛰어남.
1536~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약묵(若默) - 김약묵(金若默)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진(康津). 학문이 뛰어났으며 전라도 태인(泰仁)의 무성서원(武城書院)에 배향됨. 《하서전집(河西全集)》에 김인후(金麟厚)가 지은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500~155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강진 , 인명>관인>문신
-
약봉(藥峯)@김극일 - 김극일(金克一)@1522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진(金璡)의 아들이고 김성일(金誠一)의 형.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성주 목사(星州牧使)ㆍ밀양 부사(密陽府使) 등을 지냄.
1522~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약봉(藥峯) - 서성(徐渻)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이이(李珥)ㆍ송익필(宋翼弼)의 문인.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였으나 계축옥사(癸丑獄事) 때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 후 이괄(李适)의 난과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를 호종함.
1558~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약봉(藥峰) - 이탁(李鐸)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의(全義). 《중종실록(中宗實錄)》과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하고, 영의정 등을 지냄. 덕이 많고 청렴한 인물로 이름이 높았으며, 권신 이기(李芑)를 탄핵함.
1509~157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약봉집(藥峯集) - 약봉유고(藥峯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서성(徐渻)의 시문집. 초간본(初刊本)은 1705년(숙종 31) 저자의 증손인 서문유(徐文裕)가 전라도 전주(全州)에서 목판으로 간행함.
170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약빙(若氷) - 이약빙(李若氷)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로, 함창 현감(咸昌縣監)을 지낸 이자(李滋)의 아들. 1514년(중종 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산 군수(韓山郡守)ㆍ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지냄. 1547년(명종 2) 양재역(良才驛) 벽서(壁書)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89~154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관인>문신
-
약사(藥師) - 약사불(藥師佛)
열두 가지 대원(大願)을 세워 중생을 모든 병고(病苦)에서 구하고, 무명(無名)의 고질까지도 치유하여 깨달음을 인도하는 부처. 통일신라시대부터 신앙의 대상으로 크게 성하여 석가모니불ㆍ아미타불ㆍ미륵불과 함께 가장 널리 신봉되는 부처의 하나.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약사(藥師)@이정 - 이정(李靖)@당
중국 수(隋) 말~당(唐) 초의 명장. 처음에는 수 나라를 섬겼으나, 당 나라 태종(太宗) 때 행군총관(行軍總管)이 되어 돌궐(突厥) 등 서역(西域)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움.
571~649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약사사(藥師寺) - 약사암(藥師庵)
통일신라 때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는 전라도 광산(光山)의 무등산(無等山)에 있는 사찰. 철감선사(澈鑑禪師) 도윤(道允)이 증심사(證心寺)를 창건하기 위해 지었다 하며, 지금의 광주광역시(光州光域市)에 속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광산 , 유적>건물>사찰
-
약사여래(藥師如來) - 약사불(藥師佛)
열두 가지 대원(大願)을 세워 중생을 모든 병고(病苦)에서 구하고, 무명(無名)의 고질까지도 치유하여 깨달음을 인도하는 부처. 통일신라시대부터 신앙의 대상으로 크게 성하여 석가모니불ㆍ아미타불ㆍ미륵불과 함께 가장 널리 신봉되는 부처의 하나.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약사유리광여래(藥師瑠璃光如來) - 약사불(藥師佛)
열두 가지 대원(大願)을 세워 중생을 모든 병고(病苦)에서 구하고, 무명(無名)의 고질까지도 치유하여 깨달음을 인도하는 부처. 통일신라시대부터 신앙의 대상으로 크게 성하여 석가모니불ㆍ아미타불ㆍ미륵불과 함께 가장 널리 신봉되는 부처의 하나.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