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약산(藥山) - 오광운(吳光運)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낸 오상순(吳尙純)의 아들로, 영조의 탕평책(蕩平策) 하에서 정치적 지도자로서 활약하며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1689~17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약수(若水) - 황보항(皇甫抗)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인. 본관은 영천(永川). 죽림고회(竹林高會) 7인 중의 한 명으로, 1176년(명종 6) 승보시(升補試)에 수석으로 급제하였으나 중원 서기(中原書記)에 머무름. 악장(樂章)에 능하였다 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문인
-
약수(若水)@조선 - 이약수(李若水)@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자(李滋)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 문인.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가 유배되자 소두(疏頭)로서 항소하였다가 투옥됨. 평해(平海)로 유배되었다가 예산(禮山)으로 이배되어 죽음.
1486~153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문사>학자
-
약수(若水)@전약수 - 전약수(錢若水)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 공부 시랑(工部侍郞)을 지냈으나 벼슬에 연연하지 않고 은퇴하여 명철보신(明哲保身)함.
960~100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약수(若水)@송 - 이약수(李若水)@송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흠종(欽宗) 때의 문신. 이부 시랑(吏部侍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정강(靖康)의 변(變) 때 금군(金軍)에 포로로 끌려간 흠종을 보호하다가 피살됨.
1093~112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약수(若水)@담약수 - 담약수(湛若水)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 양명학(陽明學)을 이룩한 왕수인(王守仁)의 도우(道友). 진헌장(縝獻章)의 영향을 받아, 치양지설(致良知說)을 내세우는 왕수인(王守仁)과 논난(論難)하여 양보하는 일이 없었음.
1466~156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약수(若洙) - 김약수(金若洙)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 조선 말의 학자이며 의병장인 김도화(金道和)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약수(藥水) - 정백붕(鄭百朋)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상의원 첨정(尙衣院僉正) 정탁(鄭鐸)의 아들이며, 우의정 정순붕(鄭順朋)의 형으로, 형조 판서(刑曹判書)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약시(若時) - 김약시(金若時)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진현관 직제학(進賢館直提學)에 이르렀으나, 고려가 망하자 광주(廣州) 산골에 은거함. 두문동 칠십이현(七十二賢)의 한 사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약양군공(略陽郡公) - 이도종(李道宗)
중국 당(唐) 나라의 종친. 고조(高祖)의 당질(堂侄)로, 17세부터 태종(太宗) 이세민(李世民)을 도와 많은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태상경(太常卿) 등을 역임함.
600~653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약온(若溫) - 김약온(金若溫)
고려 예종(睿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양감(金良鑑)의 아들로, 이자겸(李資謙)과 인척이면서도 가까이하지 않음. 벼슬이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름.
1059~1140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약옹(弱翁) - 위상(魏相)
중국 전한(前漢) 소제(昭帝)~선제(宣帝) 때의 문신. 선제 때 곽광(霍光)이 죽은 후 그 아들과 조카 등 곽씨(霍氏)가 전횡하자 권력을 축소할 것을 건의하였으며, 승상(丞相)이 된 후 병길(丙吉)과 함께 국정을 보좌함.
?~B.C.59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약옹(藥翁)@김극일 - 김극일(金克一)@1522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진(金璡)의 아들이고 김성일(金誠一)의 형.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성주 목사(星州牧使)ㆍ밀양 부사(密陽府使) 등을 지냄.
1522~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약옹(藥翁) - 이해수(李海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건저 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종성(鐘城)으로 유배되었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함.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내고, 시와 예서에 뛰어남.
1536~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약왕(藥王) - 약사불(藥師佛)
열두 가지 대원(大願)을 세워 중생을 모든 병고(病苦)에서 구하고, 무명(無名)의 고질까지도 치유하여 깨달음을 인도하는 부처. 통일신라시대부터 신앙의 대상으로 크게 성하여 석가모니불ㆍ아미타불ㆍ미륵불과 함께 가장 널리 신봉되는 부처의 하나.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약용(若庸) - 정약용(程若庸)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저서로 《성리자훈강의(性理字訓講義)》ㆍ《태극홍범도설(太極洪範圖說)》 등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약용(若鏞) - 정약용(丁若鏞)
조선 정조(正祖)~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 유형원(柳馨遠)ㆍ이익(李瀷)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조선 후기 실학(實學)을 집대성함. 주자(朱子) 성리학(性理學)의 공리공담을 배격하고 봉건제도의 폐해를 개혁하려는 진보적인 사회개혁안을 제시함.
1762~183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강진ㅣ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약우(若友) - 서천왕(西川王)
고구려의 제13대 왕. 재위 270~292. 중천왕(中川王)의 둘째 아들로, 숙신(肅愼)이 침략하자 격퇴하고 단로성(檀盧城) 등 여러 성을 빼앗았으며, 동생 일우(逸友)ㆍ소발(素勃) 등이 반란을 도모하자 주살함.
?~292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약우(若愚) - 안약우(顔若愚)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진덕수(眞德秀)의 제자로, 《심경(心經)》에 찬주(贊註)를 달아 1234년 천주(泉州)에서 간행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약이(約而) - 소세검(蘇世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소자파(蘇自坡)의 아들로, 좌랑(佐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쌍봉유고(雙峰遺稿)》를 저술함.
1483~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