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약이(約而)@윤선도 - 윤선도(尹善道)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ㆍ시인. 남인(南人)의 거두로, 치열한 당쟁 속에서 일생을 유배지에서 보냄. 경사(經史)에 해박하고 특히 시조(時調)에 뛰어나, 정철(鄭澈)ㆍ박인로(朴仁老)와 더불어 ‘조선삼대시가인(朝鮮三大詩歌人)’으로 불림.
1587~167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해남ㅣ전라도>영암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약재(約齋) - 이숙(李塾)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학사(學士) 이도(李燾)의 아들이며, 남헌(南軒) 장식(張栻)의 문인(門人).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약재(約齋)@장표 - 장표(張杓)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장식(張栻)의 아우이며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주희가 연로하여 병들었을 때 그를 면려(勉勵)하는 말을 직접 남겼다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약재(若齋) - 김구용(金九容)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우왕 때 삼사 좌윤(三司左尹)으로 이숭인(李崇仁)ㆍ정도전(鄭道傳) 등과 북원(北元) 사절의 영접을 반대하다 죽주(竹州)로 귀양 감. 사장(詞章)에 뛰어나고, 특히 시(詩)로 유명함.
1338~138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약전(若銓) - 정약전(丁若銓)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나주(羅州). 진주 목사(晉州牧使) 정재원(丁載遠)의 아들이며 정약용(丁若鏞)의 형으로, 신유사옥(辛酉邪獄) 때 흑산도(黑山島)로 유배되어 《자산어보(玆山魚譜)》를 지음.
1758~181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약지(約之) - 김방(金放)
조선 전기의 유학. 유방선(柳方善)과 교유하여, 그의 문집인 《태재집(泰齋集)》에 관련 시편(詩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약지(約之)@주박 - 주박(周博)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주세붕(周世鵬)의 아들로, 이황(李滉)의 문인. 문장이 뛰어나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했으며, 칠원(漆原)의 덕연서원(德淵書院) 별사(別祠)에 제향됨.
1524~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약채(若采) - 김약채(金若采)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광성군(光城君) 김정(金鼎)의 아들. 1400년(정종 2) 사병을 없애고 병권을 중앙에 집중시키자고 역설하여 단행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연산 , 인명>관인>문신
-
약천(若天) - 태조(太祖)@고려
고려 제1대 왕. 재위 918~943. 후삼국시대에 궁예(弓裔)의 휘하에서 활약하다가 홍유(洪儒)ㆍ배현경(裵玄慶) 등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어 고려 왕조를 창건하였으며, 후삼국 통일의 위업을 달성함.
877~943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약천(若天)@이응성 - 이응성(李應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공달(李公達)의 아들이며 이제신(李濟臣)의 백부(伯父)로, 찰방(察訪)을 지냄.
1497~153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약천(藥泉) - 남구만(南九萬)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숙종 때 정치운영의 중심에 있으면서 소론(少論)의 영수로 지목됨. 문집으로 《약천집(藥泉集)》있음.
1629~17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약충(若沖) - 이자연(李子淵)
고려 현종(顯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이한(李翰)의 아들로, 세 딸이 모두 문종의 비(妃)가 됨으로써 세력을 장악함.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내고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문종의 묘정에 배향됨.
1003~1061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약평(若枰) - 김약평(金若枰)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참판(參判) 김희열(金希說)의 아버지로, 목천 현감(木川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약포(藥圃)@정탁 - 정탁(鄭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이충(鄭以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정통했음.
1526~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약포(藥圃) - 이해수(李海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건저 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종성(鐘城)으로 유배되었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함.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내고, 시와 예서에 뛰어남.
1536~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약포노부(藥圃老夫) - 정탁(鄭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이충(鄭以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정통했음.
1526~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약포병부(藥圃病夫) - 정탁(鄭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이충(鄭以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정통했음.
1526~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약포상공(藥圃相公) - 정탁(鄭琢)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정이충(鄭以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왕을 호종하여 호종공신(扈從功臣)에 책록되고, 경사(經史)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에 정통했음.
1526~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약포선(藥圃仙) - 이해수(李海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건저 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종성(鐘城)으로 유배되었다가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로 호종함.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내고, 시와 예서에 뛰어남.
1536~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약포선생문집(藥圃先生文集) - 약포집(藥圃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정탁(鄭琢)의 시문집. 원집(原集)은 5대손 정옥(鄭玉)이 1760년(영조 36)에 해주(海州)에서 목판으로 7권 4책을 초간(初刊)하였으며, 속집(續集)은 후손 정광익(鄭光翊)이 1818년(순조 18) 도정서원(道正書院)에서 목판으로 4권 2책을 초간함.
176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