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양(瀁) - 정양(鄭瀁)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연일(延日)로, 정종명(鄭宗溟)의 아들. 간성 군수(杆城郡守) 등을 지내고, 홍석(洪錫) 등과 교유하며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저서로 《어록해(語錄解)》ㆍ《포옹집(抱翁集)》 등이 있음.
1600~16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일 , 인명>관인>문신
-
양(瀁)@최양 - 최양(崔瀁)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낸 최지(崔贄)의 아들. 외삼촌인 정몽주(鄭夢周)에게 수학하고 문하찬성사를 지냈으며, 고려가 망하자 전주(全州)에 은거함.
1351~142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양(煬) - 후주(後主)@남북조(陳)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나라의 제5대 국왕. 재위 582~589. 선제(宣帝)의 장자로 주색(酒色)에 빠져 정사를 돌보지 않고, 수(隋) 나라의 군사가 쳐들어와도 음악과 시문을 지으며 노닐다 수 나라의 장수 한금호(韓擒虎)에게 잡힘.
?~58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양(穰) - 이양(李穰)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무신ㆍ종친. 태조(太祖)의 서제(庶弟)인 의안대군(義安大君) 이화(李和)의 손자이며, 완천군(完川君) 이숙(李淑)의 아들로, 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냈으나,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황보인(皇甫仁) 등과 함께 피살됨.
?~145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양(良) - 이량(李良)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함풍(咸豐). 함성군(咸城君) 이종생(李從生)의 아들로, 충청도 수군절도사(忠淸道水軍節度使)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무신
-
양(諒) - 이량(李諒)
고려 후기의 문신.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최선(崔詵)의 장인으로, 중서 사인(中書舍人)을 지냄.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최선을 대신해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제문(祭文)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양(讓) - 박양(朴讓)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1516년(중종 1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양(陽) - 김양(金陽)
통일신라의 왕족. 839년(민애왕 2) 김우징(金佑徵)ㆍ장보고(張保皐) 등과 함께 민애왕(閔哀王)을 시해하고 김우징을 신무왕(神武王)으로 추대함.
808~85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
-
양^여(楊^呂) - 여^양(呂^楊)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양시(楊時)와 여조겸(呂祖謙)을 함께 부르는 말. 송대 성리학의 발전에 기여한 두 학자를 말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양^왕(楊^王) - 왕^양(王^楊)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왕발(王勃)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양형(楊炯)을 함께 부르는 말. 초당사걸(初唐四傑)에 속하는 인물들로, 시문(詩文)으로 명성을 떨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양가(楊家) - 수(隋)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에 이어지는 통일 왕조. 양견(楊堅)이 북주(北周)의 정제(靜帝)로부터 양위를 받아 건국하였으며, 3대 38년간 존속.
581~618 중국>수 , 중국 , 시간>국명
-
양가(羊家) - 양권(羊權)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도사. 양침(羊忱)의 아들로, 모산(茅山)에 거처하면서 도(道)를 터득함. 구의산(九嶷山)의 선녀가 그에게 신선술(神仙術)과 환약(丸藥) 등을 주고 갔다는 일화가 전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양간(良簡)@이수남 - 이수남(李壽男)@이함장의아들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예조 참판 이함장(李諴長)의 아들.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고, 사은사(謝恩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온 뒤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가 되었으나 과음하여 32세로 요절함.
1439~147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간(良簡)@황여헌 - 황여헌(黃汝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장수(長水). 영의정 황희(黃喜)의 현손으로, 김해 부사(金海府使)를 지낸 황관(黃瓘)의 아들이며 황맹현(黃孟獻)의 아우. 문장과 글씨에 능하며, 〈죽지사(竹枝詞)〉라는 작품은 명(明) 나라에서도 격찬을 받음.
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양간(良簡)@김련 - 김련(金璉)@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사원(金士元)의 아버지.
1215~12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양간(良簡)@이천선 - 이천선(李千善)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참지중서정사(參知中書政事)를 지냈으며, 기철(奇轍)ㆍ권겸(權謙) 등이 주살된 사실을 원(元) 나라에 보고한 공으로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수사공(守司空) 주국(柱國)이 되어 낙안백(樂安伯)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양간(良簡)@원창명 - 원창명(元昌命)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를 지낸 원상(元庠)의 아들.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냈으며, 세종(世宗) 때 숭불정책(崇佛政策)을 배척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양간(良簡) - 김승택(金承澤)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상락후(上洛侯) 김방경(金方慶)의 손자. 조적(曺頔)의 난 때 왕을 호종한 공로로 이등공신에 봉해지고, 공민왕 때 중서시랑 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로 치사(致仕)함.
?~135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양간(襄簡)@신전 - 신전(愼詮)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신이충(愼以衷)의 아들. 1429년(세종 11) 식년(式年)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양간(襄簡) - 윤희평(尹熙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중추원 부사(中樞院副使) 윤길생(尹吉生)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삼포왜란(三浦倭亂) 때 왜적 토벌에 활약하였으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69~1545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