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권전(權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되고 신사무옥(辛巳誣獄) 때 장살(杖殺) 당함.
1490~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권전(權銓)
조선 후기의 의병(義兵). 임진왜란 때 백인국(白仁國)과 함께 의병을 규합하여 축산(丑山)에서 공을 세움.
한국>조선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권절(權節)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사복시 직장(司僕寺直長)ㆍ집현전 교리(集賢殿校理) 등을 지냄. 세조(世祖)가 계유정난(癸酉靖難)에 동참할 것을 권했으나 귀머거리로 가장하여 응하지 않고, 이후 일생동안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음.
1422~149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제(權濟)
조선 전기의 유학. 어려서부터 사부(詞賦)를 잘 짓는다고 이름이 났지만 계속 과거에 실패한 뒤 쌍계사(雙磎寺)에서 학문을 닦고, 하수일(河受一)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유학
-
권제(權踶)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고려사》편찬에 참여하고, 정인지(鄭麟趾)ㆍ안지(安止) 등과 〈용비어천가〉를 지음.
1387~14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종윤(權終允)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의 문인(門人)으로 유성룡(柳成龍)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종정(權宗頂)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주(權柱)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중국어에 능통해 대명 외교에 일익을 담당.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됨.
1457~15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주(權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주 목사(星州牧使)로 있을 때 영남삼량(嶺南三良)이라 하여 이름난 수령으로 칭송됨.
1458~151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주(權鑄)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손자이며 현복군(玄福君) 권렴(權廉)의 아들. 지신사(知申事)ㆍ밀직 제학(密直提學) 등을 지냄.
?~139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권준(權俊)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남궁희(南宮憘)의 사위이며, 청하(靑霞) 권극중(權克中)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부 , 인명>문사>유학
-
권준(權準)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1280~135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준(權蹲)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수양대군(首陽大君)에 협력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권준신(權俊臣)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권인(權寅)의 아들로, 1582년(선조 15) 생원시(生員試)에 형 권호신(權虎臣)과 함께 입격함.
1561~16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권중규(權仲規)
조선 세조(世祖) 때의 은자.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한 뒤 고령(高靈) 유천(鍮泉)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은자
-
권중달(權仲達)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천부원군(醴泉府院君) 권한공(權漢功)의 아들.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를 지냈으며,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장인.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권중신(權仲愼)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중형(權重衡)
조선 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의 문인(門人)으로, 권호문이 55세 되던 해에 금영주(琴韺奏)와 함께 가르침을 받음.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권중화(權仲和)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예천부원군(醴泉府院君) 권한공(權漢功)의 아들로, 의약ㆍ지리ㆍ복서(卜筮)에 통달하고, 전서(篆書)에도 능함.
1322~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지(權祉)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예천(醴泉)으로, 좌부승지(左副承旨)를 지낸 권문해(權文海)의 아버지. 후에 형조 참의(刑曹參議)에 추증됨.
?~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