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양간(襄簡)@이서장 - 이서장(李恕長)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한성부윤(漢城府尹) 이사관(李士寬)의 아들. 이시애(李施愛)의 난 토벌에 참여하여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었고,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23~148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간(襄簡)@이세응 - 이세응(李世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으로, 사재감 부정(司宰監副正) 이계통(李季通)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평안도 관찰사 등을 지냄.
1473~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간(讓簡) - 문인걸(文仁傑)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장간공(章簡公) 문성화(文聖和)의 아들. 국자감 사업(國子監司業)ㆍ지제고(知製誥) 등을 지냈으며, 조정이 권신들에게 좌지우지되자 사직하고 가솔을 거느리고 지리산에 은거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양간(良簡) - 윤안숙(尹安淑)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 윤보(尹珤)의 넷째 아들로, 충숙왕(忠肅王)과 충정왕 때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감(羊敢) - 공양감(公羊敢)
중국 전한(前漢) 때의 학자. 가학(家學)으로 내려오던 공양고(公羊高)의 《춘추(春秋)》에 대한 전술(傳述)을 아버지 공양지(公羊地)에게 이어받아 아들 공양수(公羊壽)에게 전수함. 후대에《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으로 완성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양감(良鑑) - 김양감(金良鑑)
고려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이자겸(李資謙)과 인척이면서도 정의를 지킴.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수록된 〈가락국기(駕洛國記)〉의 저자라고 전하기도 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관인>문신
-
양강(楊江) - 양자강(揚子江)
중국 대륙 서쪽에서 동쪽으로 중앙부를 횡단하는 중국에서 가장 긴 강. 청해성(靑海省) 서부에서 발원하여 깊은 협곡을 이루며 흘러 장강(長江)이라고도 부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양거제(楊巨濟)@양거원 - 양거원(楊巨源)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시인. 국자사업(國子司業) 등을 지내고, 백거이(白居易)ㆍ원진(元稹)ㆍ유우석(劉禹錫) 등과 교유함. 시에 능하고, 특히 음률(音律)을 중시한 작품이 많음.
75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양견(楊堅) - 문제(文帝)@수
중국 수(隋) 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581~604. 북주(北周) 정제(靜帝)에게서 왕위를 선양(禪讓) 받아 수 나라를 세우고 남조(南朝)의 진(陳)을 평정하여 남북조를 통일함.
541~604 중국>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양겸(養謙) - 고양겸(顧養謙)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우첨도어사(右僉都御史)를 거쳐 병부 시랑(兵部侍郞)에 이르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일본과 화친을 해야겠다는 내용의 자문(咨文)을 보내왔음.
1537~1604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경(良敬)@정문형 - 정문형(鄭文炯)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로, 개국공신 정진(鄭津)의 손자이며 정숙지(鄭叔墀)의 아버지. 1447년(세종 2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오도 관찰사(五道觀察使)ㆍ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1455년(세조 1)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녹훈됨.
1427~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경(良敬)@조연 - 조연(趙涓)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선이 건국되자 왕을 호위하고,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이 됨.
1374~142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경(良敬) - 민여익(閔汝翼)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개국을 도와 개국공신에 책록되었고 전결(田結)과 노비를 받았으며, 육조(六曹)의 판서(判書)를 두루 역임했음.
1360~143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경(良敬)@이언 - 이언(李堰)
조선 문종(文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대사헌(大司憲) 이은(李垠)의 아들.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전주 부윤(全州府尹) 등을 지냄. 세조(世祖)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으로 책록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흥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경(良敬)@최문도 - 최문도(崔文度)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최성지(崔誠之)의 아들. 원(元) 나라에 가서 숙위(宿衛)하였으며, 몽고의 말과 글에 능통하였고, 벼슬은 첨의평리(僉議評理)에 이르렀으며, 성리학에 밝았음.
1292~1345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양경(良景)@유원 - 유원(柳源)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삼중대광 진천군(三重大匡晉川君)에 봉해진 유지정(柳之淀)의 아들로, 정몽주(鄭夢周) 등과 함께 북방 수비에 공을 전력하고, 지공거(知貢擧)로서 과거를 관장함.
1341~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양경(良景) - 이종선(李種善)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으로, 이색(李穡)의 아들이며 권근(權近)의 사위.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ㆍ개성 유후(開城留後) 등을 지냄.
1368~143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양경(良璥) - 김양경(金良璥)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효민(金孝敏)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148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양경(襄景)@성몽정 - 성몽정(成夢井)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성담년(成聃年)의 아들로,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조광조(趙光祖) 등 신진사류와 교유함.
1471~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경(襄景) - 김승주(金承霔)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순천(順天). 고려 말 왜구의 격퇴와 조선 태종(太宗)의 즉위에 공을 세움.
1354~142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