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양구수(羊裘叟) - 엄광(嚴光)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은자. 벗으로 지내던 광무제가 왕이 된 뒤 간의대부(諫議大夫)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부춘산(富春山)에 들어가 양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은둔하였다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양구어부(羊裘漁父) - 엄광(嚴光)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은자. 벗으로 지내던 광무제가 왕이 된 뒤 간의대부(諫議大夫)로 불렀으나 나가지 않고 부춘산(富春山)에 들어가 양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입고 은둔하였다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양구현(楊溝縣) - 양구(楊口)
강원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내륙 산간에 위치하며, 산세가 험준함.
강원도>양구 , 지명>행정지명
-
양국(梁國) - 적인걸(狄仁傑)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측천무후(則天武后)가 이씨(李氏)를 제거하고 무씨(武氏)의 종묘(宗廟)를 세우자 중종(中宗)을 받들어 당실(唐室)을 회복함.
607~700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국(涼國) - 이소(李愬)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무신. 오원제(吳元濟)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 방비가 소홀한 틈을 타 반군의 근거지인 채주(蔡州)를 불의에 습격하여 오원제를 사로잡음으로써 회서(淮西)가 평정되는 무공을 세움.
773~82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국공(梁國公) - 적인걸(狄仁傑)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측천무후(則天武后)가 이씨(李氏)를 제거하고 무씨(武氏)의 종묘(宗廟)를 세우자 중종(中宗)을 받들어 당실(唐室)을 회복함.
607~700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국공(涼國公) - 이소(李愬)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무신. 오원제(吳元濟)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 방비가 소홀한 틈을 타 반군의 근거지인 채주(蔡州)를 불의에 습격하여 오원제를 사로잡음으로써 회서(淮西)가 평정되는 무공을 세움.
773~82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국공(凉國公) - 남옥(藍玉)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원(元) 순제(順帝)의 아들인 익왕(益王) 탈고사첩목아(脫古思帖木兒)를 공격하여 멸망시키고 양국공(凉國公)에 책봉되었으나, 모반죄로 처형됨.
?~139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규(良圭) - 백양규(白良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대구(大邱). 군위 훈도(軍尉訓導) 백승문(白承文)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양근공(楊根公) - 송여림(宋汝霖)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군자감 정(軍資監正)을 지낸 송요년(宋遙年)의 아들로, 양근 군수(楊根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양근원(楊根院) - 양근서원(楊根書院)
황해도 해주(海州)에 있었던 서원. 주세붕(周世鵬)을 배향하였음.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양기(良器) - 조성(趙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음악이론가ㆍ학자ㆍ의원. 본관은 평양(平壤). 정주 판관(定州判官) 조수함(趙守諴)의 아들이며, 조욱(趙昱)의 형.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성리학에 밝았고, 군직(軍職)에 나가 의술을 가르쳤으며 편종ㆍ편경을 이정(釐正)함.
1492~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삭녕ㅣ서울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문사>학자
-
양기(良琪) - 조양기(趙良琪)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무신. 본관은 한양(漢陽). 충렬왕의 명을 받고 원(元) 나라 세조(世祖)가 일본을 정벌할 때 김방경(金方慶)과 함께 참가하여 공을 세움. 쌍성총관(雙城摠管)을 지냄.
1261~? 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양남(陽南) - 주윤창(周允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유학(遊學)하였음. 1480(성종 11) 친시(親試)에 급제하였고,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양대(養大) - 임선미(林先味)
고려 말~조선 초의 충신. 본관은 예천(醴泉). 고려가 망한 뒤 조선 태조(太祖)가 과거를 실시하였으나 이에 응하지 않고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충의를 지킨 태학생(太學生) 중 한 사람으로, 조의생(曺義生) 등과 함께 표절사(表節祠)에 제향됨.
133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양대년(楊大年) - 양억(楊億)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진종(眞宗) 때의 학자ㆍ문신. 왕흠약(王欽若)과 함께 《책부원귀(冊符元龜)》를 저술하고, 불서(佛書)인 《전등록(傳燈錄)》을 교간(校刊)함.
973~102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덕(良德) - 원성왕후(元成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3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두 동생과 함께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덕종(德宗)ㆍ정종(靖宗) 두 아들과 인평왕후(仁平王后)ㆍ경숙공주(景肅公主) 등을 낳음.
?~1028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양도(梁道) - 가규(賈逵)
중국 후한(後漢) 때의 유학자. 유흠(劉歆)에게 배웠으며,《좌씨전(左氏傳)》 및 오경(五經)에 해박하고 《경전의고(經傳義詁)》를 저술하는 등 통유(通儒)로 일컬어짐.
30~101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양도(楊渡) - 양화도(楊花渡)
서울과 경기도 금천(衿川)에 걸쳐 있던 나루 이름. 서울에서 강화(江華)로 통하는 교통의 요지였으며, 한강 조운(漕運)의 중심 지역 중 하나로서, 현재 서울 마포구(麻浦區)에 속함.
경기도>금천ㅣ서울 , 지명>행정지명
-
양도(羊陶) - 양침(羊忱)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양권(羊權)의 아버지로, 서주 자사(徐州刺史) 등을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