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양도(良度)@최사의 - 최사의(崔士儀)
조선 세종(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지낸 최유경(崔有慶)의 아들로,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376~145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양도(良度)@이숙묘 - 이숙묘(李叔畝)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색(李穡)의 손자이며, 진안대군(鎭安大君) 이방우(李芳雨)의 사위로, 여러 차례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역임함.
?~143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양도(良度)@정양생 - 정양생(鄭良生)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안축(安軸)의 사위로, 청주(淸州)에서 《관동와주(關東瓦注)》을 간행함.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39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양도(良度) - 안경공(安景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태조(太祖) 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냄. 정도전(鄭道傳)ㆍ남은(南誾)의 죄를 감해줄 것을 요청했다가 탄핵을 받음.
1347~142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양도(良悼) - 황유(黃裕)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부마. 본관은 회덕(懷德). 판사(判事) 황자후(黃子厚)의 아들로, 태종의 열한 번째 딸인 숙안옹주(淑安翁主)와 혼인함.
1421~145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왕실>인척
-
양도(襄度)@최사의 - 최사의(崔士儀)
조선 세종(世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지낸 최유경(崔有慶)의 아들로,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를 지내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됨.
1376~145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양도(襄度) - 이천우(李天祐)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서형(庶兄)인 이원계(李元桂)의 아들로, 이성계의 휘하에서 왜구를 토벌하는 데 공을 세우고, 조선 개국 후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41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종친
-
양도(襄悼) - 예종(睿宗)@조선
조선의 제8대 국왕. 재위 1468~1469. 세조(世祖)의 아들로, 재위 1년 2개월 만에 20세의 나이로 요절함. 직전수조법(職田收租法)을 제정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을 완성함.
1450~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양도왕(襄悼王) - 예종(睿宗)@조선
조선의 제8대 국왕. 재위 1468~1469. 세조(世祖)의 아들로, 재위 1년 2개월 만에 20세의 나이로 요절함. 직전수조법(職田收租法)을 제정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을 완성함.
1450~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양동(兩瞳) - 항우(項羽)
중국 진(秦) 나라의 무장. 진승(陳勝)ㆍ오광(吳廣)의 난으로 진 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숙부 항량(項梁)과 함께 봉기하여 진 나라를 멸망시켰으나, 제후를 통솔하지 못하여 해하(垓下)에서 한왕(漢王) 유방(劉邦)에게 포위되어 자살함.
B.C.232~B.C.202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양량(襄良) - 안한평(安漢平)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문하시중(門下侍中) 안사경(安社卿)의 아버지이며, 죽성군(竹城君) 안극인(安克仁)의 조부로,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역임하였고,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양량(陽良) - 양지(陽智)
경기도 중남부에 위치했던 고을 이름. 현재 경기도 용인시(龍仁市) 일대를 가리키며, 조선 태종(太宗) 때 치소를 광주(廣州) 추계향(秋溪鄕)에 두고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관함.
경기도>양지ㅣ경기도>광주 , 지명>행정지명
-
양량부곡(陽良部曲) - 양지(陽智)
경기도 중남부에 위치했던 고을 이름. 현재 경기도 용인시(龍仁市) 일대를 가리키며, 조선 태종(太宗) 때 치소를 광주(廣州) 추계향(秋溪鄕)에 두고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이관함.
경기도>양지ㅣ경기도>광주 , 지명>행정지명
-
양렬(襄烈) - 정인경(鄭仁卿)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서주(瑞州). 몽고어 통역관 출신으로 원(元) 나라에서 충렬왕을 시종하고, 요동(遼東) 일대의 고려 유민을 찾아내어 귀국시킴. 동녕부(東寧府)를 고려에 귀속시킬 때 공을 세우고, 중찬(中贊)을 지냄.
1237~1305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양렬(襄烈)@조인벽 - 조인벽(趙仁璧)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무신. 판도판서(版圖判書) 조돈(趙暾)의 아들로, 환조(桓祖)의 딸 정화공주(貞和公主)와 혼인함. 김용(金鏞)의 토벌에 공을 세워 이등공신이 되고, 우왕(禑王) 때 여러 번 왜구를 격퇴하였으며, 위화도 회군(威化島回軍)에도 참여함.
?~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덕원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양렬(襄烈)@이지란 - 이지란(李之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여진의 금패천호(金牌千戶) 아라불화(阿羅不花)의 아들로, 공민왕 때 고려에 귀화함.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건국에 큰 공을 세우고,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331~140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북청ㅣ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양로(陽老) - 권근(權近)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 《예기(禮記)》를 중시하여 강상(綱常)의 확립을 통한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 이황(李滉)ㆍ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학문적으로 영향을 줌.
1352~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로왕(養老王) - 연산군(燕山君)
조선의 제10대 왕. 재위 1494~1506. 재위 중 무오ㆍ갑자사화를 일으켜 사림파를 비롯한 문신들을 대거 처형하고 언관(言官) 제도를 크게 축소했으며, 당시 사대부들의 윤리관에 어긋나는 행동을 거듭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됨.
1476~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양록(楊錄) - 이락연원록신증(伊洛淵源錄新增)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양렴(楊廉)이 편찬한 책. 14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양록군(楊麓郡) - 양구(楊口)
강원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내륙 산간에 위치하며, 산세가 험준함.
강원도>양구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