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양서(讓西) - 이광윤(李光胤)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곤(李鯤)의 손자이며 이득윤(李得胤)의 형. 1594년(선조 2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수찬(弘文館修撰)ㆍ성주 목사(星州牧使) 등을 지냄.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예천(醴泉)의 인산서원(仁山書院)에 배향됨.
1564~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양선(梁選) - 문선(文選)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소통(蕭統)이 양 나라 이전 문인들의 명작 800여 편을 모아 엮은 책. 30권. 중국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시문총집(詩文總集).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양설대부(羊舌大夫) - 양설힐(羊舌肹)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도공(悼公)~소공(昭公) 때의 대부. 외국(外國)에 사신 가서나, 외국의 빈객을 접대할 때 응대(應對)를 잘하기로 명성이 높았음. 공자가 유직(遺直)이라고 칭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양설힐(羊舌肸) - 양설힐(羊舌肹)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도공(悼公)~소공(昭公) 때의 대부. 외국(外國)에 사신 가서나, 외국의 빈객을 접대할 때 응대(應對)를 잘하기로 명성이 높았음. 공자가 유직(遺直)이라고 칭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양성(楊城) - 양주(楊州)
경기도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 조선 세조(世祖) 때 목(牧)으로 승격됨.
경기도>양주 , 지명>행정지명
-
양성(良性) - 도양성(陶良性)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감생(監生)으로 경략(經略) 송응창(宋應昌)을 수행하고, 이어 영평부 통판(永平府通判)으로 군문(軍門) 형개(邢玠)를 수행하여 두 차례 조선에 건너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성(養性) - 이양성(李養性)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단성 현감(丹城縣監)을 지낸 이겸인(李兼仁)의 아버지. 길주 목사(吉州牧使)ㆍ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양성군(陽城君)@이륜 - 이륜(李倫)@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종친. 장천정(長川正) 이수효(李壽㹲)의 아들이며 이응복(李應福)의 아버지로, 양성군(陽城君)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양성군(陽城君) - 김경직(金敬直)
고려 충정왕(忠定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공민왕(恭愍王)이 배원(排元) 정책을 시행할 때 원수(元帥)로 임명되어 압록강 방면을 수비함. 화엄종사(華嚴宗師) 우운(友雲)의 형.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언양 , 인명>관인>문신
-
양성군(陽城君)@이온 - 이온(李蒕)@이승소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양성(陽城). 삼탄(三灘) 이승소(李承召)의 아버지.
?~146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문사>유학
-
양성군(陽城君)@이승소 - 이승소(李承召)
조선 태종(太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내고, 성종 때 신숙주(申叔舟) 등과 함께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편찬함. 당대의 문장가로 예악(禮樂)ㆍ음양(陰陽)ㆍ율력(律曆) 등 여러 방면에 조예가 깊음.
1422~148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양성노수(陽城老守) - 안정(安珽)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서화가.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병조 좌랑(兵曹佐郞)을 지낸 안처선(安處善)의 아들.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곤양(昆陽)으로 유배되었다가 사면되었으며, 특히 그림에 뛰어나 매화와 대나무를 잘 그렸음.
1494~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양성당(養性堂) - 혜능(慧能)@조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승려. 응철(應哲)에게 수계(受戒)하고 천조(天照)ㆍ호구당(虎丘堂)에게 가르침을 받음. 전국의 명산을 유력(遊歷)하다가 말년에 천축사(天竺寺)로 돌아와 입적함.
1562~1636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홍천ㅣ강원도>강릉 , 인명>종교인>승려
-
양성부원군(陽城府院君) - 이광부(李光富)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양성(陽城)으로, 첨의평리(僉議評理)를 지낸 이나해(李那海)의 아들. 1371(공민왕 20) 신돈(辛旽)의 당으로 지목되어 형제인 이춘부(李春富)ㆍ이원부(李元富)와 함께 유배를 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성 , 인명>관인>문신
-
양성부정(陽城副正) - 이륜(李倫)@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종친. 장천정(長川正) 이수효(李壽㹲)의 아들이며 이응복(李應福)의 아버지로, 양성군(陽城君)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양성정후(陽城停侯) - 초주(譙周)
중국 삼국시대 촉(蜀)~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ㆍ학자. 촉 나라에서 광록대부(光祿大夫)를 지냈으나, 위(魏) 나라의 공격을 받을 때 후주(後主)에게 항복을 권유하고, 진 나라 건국 후 벼슬하지 않음. 천문(天文)ㆍ경서(經書)에 능하고, 저서로 《오경론(五經論)》ㆍ《고사고서(古史考書)》 등이 있음.
200~270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성헌(養性軒)@도희령 - 도희령(都希齡)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도득린(都得麟)의 아들. 당곡(唐谷) 정희보(鄭希輔)의 문인(門人)으로, 홍문관 저작(弘文館著作)을 지냄.
1539~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ㅣ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양성헌(養性軒) - 영조(英祖)
조선 제21대 왕. 재위 1724~1776. 재위 기간 중에 탕평책(蕩平策)과 균역법(均役法)을 추진하고, 가혹한 형벌을 폐지하여 실학을 장려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김.
1694~17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양소(楊釗) - 양국충(楊國忠)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 장역지(張易之)의 사위이며, 양귀비(楊貴妃)의 친척. 이임보(李林甫)와 결탁하여 현종(玄宗)에게 중용되었으나, 실정(失政)과 전횡(專橫)으로 정사를 어지럽히고, 안녹산(安祿山)과의 반목으로 안사(安史)의 난(亂)을 초래함.
?~75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소(良昭) - 김영렬(金英烈)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의성(義城). 제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4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