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권진(權瑨)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역신(逆臣).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지낸 권용(權鏞)의 아들. 자제위(子弟衛)에 소속되어 왕의 총애를 받았으나, 홍륜(洪倫)ㆍ최만생(崔萬生) 등과 공민왕을 시해함.
?~137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역적
-
권진(權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충의위 병절교위(忠義衛秉節校尉) 권겸(權謙)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진(權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인품이 강직하여 이이첨(李爾瞻)에게 아부하지 않아 여러 번 탄핵을 받았고,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고관(高官)들이 모두 도주했지만 홀로 조정과 대궐을 호위해 많은 공을 세움.
1572~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진(權軫)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희정(權希正)의 아들로, 대사헌(大司憲)ㆍ이조 판서(吏曹判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357~143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질(權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장인. 신사무옥(辛巳誣獄)으로 사림파가 쫓겨날 때 아우 권전(權磌)이 장살(杖殺)되면서 그도 예안(禮安)으로 유배되었음.
1483~15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질(權耋)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 문신인 권경희(權景禧)ㆍ권경우(權景祐)ㆍ권경유(權景裕)의 아버지로, 광주 판관(光州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집경(權執經)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지신사(知申事) 등을 역임하였고,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이문화(李文和)와 서로 왕래한 내용의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징(權徵)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사직(司直) 권굉(權硡)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율(權慄) 등과 함께 의병을 규합하여 왜병과 싸우고, 명(明) 나라 이여송(李如松)이 추진하는 화의(和議)를 반대함.
1538~1598 한국>조선후기 , 서울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찬(權纘)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중종 때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권민수(權敏手)의 아들. 중종의 아들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장인.
?~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권책(權策)
조선 세조(世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단종(端宗) 복위를 도모하다가 죽은 권자신(權自愼)의 조카로, 영해(寧海)의 유배지에서 일생을 보냄.
14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처중(權處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산(豐山).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이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황주 , 인명>문사>유학
-
권철(權轍)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도원수(都元帥) 권율(權慄)의 아버지. 영의정(領議政)을 지냈으며 복상(福相)으로 칭송됨.
1503~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권철경(權哲經)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권예(權輗)의 아버지. 1483년(성종 1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김안국(金安國)의 추천을 받았으나 벼슬하지 않음.
?~152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추(權推)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인.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과 교유하였고, 당호인 묵암(默庵)에 대한 기문(記文)이《허백정집(虛白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진위 , 인명>문사>문인
-
권춘계(權春桂)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권석충(權錫忠)의 아들이며,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백인국(白仁國) 등과 교유함. 내시교관(內侍敎官) 등을 지냄.
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춘란(權春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권석충(權錫忠)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사간(司諫) 등을 지냈으나, 모친상(母親喪)을 당하자 관직을 그만두고 산수(山水)를 벗삼아 유유자적함.
1539~161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충(權衷)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검교정승 권희(權僖)의 아들이며, 권근(權近)의 형.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되었고 진하사(進賀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온 뒤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역임함.
1352~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권탄연(權坦然)
조선 전기의 유학. 물암(勿巖) 김륭(金隆)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권태일(權泰一)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춘계(權春桂)의 아들로, 권춘란(權春蘭)에게 출계함. 구봉령(具鳳齡)ㆍ김언기(金彦璣)의 문인. 1599년(선조 3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판서(刑曹判書)ㆍ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등을 지냄. 저서에 《장곡집(藏谷集)》이 있음.
1569~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택중(權擇中)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풍기 군수(豐基郡守)로 있던 주세붕(周世鵬)에게서 명(名)과 자(字)를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