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양양군(襄陽君) - 김대언(金臺彦)
고려 충선왕(忠宣王) 때의 부마. 충선왕의 비 순비허씨(順妃許氏)의 전실 소생인 영복옹주(永福翁主)와 혼인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왕실>인척
-
양양군왕(襄陽郡王) - 노응(路應)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 등을 지냈으며, 양양군왕(襄陽郡王)에 봉해짐. 한유(韓愈)의 《한창려집(韓昌黎集)》에 그에 대한 신도비명(神道碑銘)이 실려 있음.
741~81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양양기구(襄陽耆舊) - 방덕공(龐德公)
중국 후한(後漢) 때의 처사(處士). 유표(劉表)가 벼슬하기를 청하였으나 사절하고 양양(襄陽)의 녹문산(鹿門山)에 은거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양양화학(襄陽畵學) - 화사(畵史)
중국 북송(北宋)의 서예가ㆍ화가인 미불(米芾)이 지은 화론서. 1권. 진(晉)ㆍ육조(六朝)ㆍ수(隋)ㆍ당(唐)ㆍ오대(五代)ㆍ북송(北宋) 등의 명화에 대해 우열과 진위를 평하고, 잘못된 점을 교정함. 《서사(書史)》와 함께 쌍벽을 이루는 서론서(書論書)로 유명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양영천(楊盈川) - 양형(楊炯)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영천 영(盈川令) 등을 지냄. 육조시(六朝詩)의 영향을 받아 율시(律詩)에 능하고, 왕발(王勃)ㆍ노조린(盧照隣)ㆍ낙빈왕(駱賓王)과 함께 ‘초당사걸(初唐四傑)’로 불림.
650~69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양예(梁蚋) - 양황후(梁皇后)
중국 후한(後漢) 순제(順帝)의 후비. 호강대족(豪强大族) 출신으로, 양기(梁冀)의 누이동생. 순제 사후 충제(冲帝)ㆍ질제(質帝)ㆍ환제(桓帝) 때까지 태후로서 정권을 장악하여 양씨 외척이 크게 발호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양오(養五) - 남태보(南泰普)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울산 부사(蔚山府使)를 지냄. 《매호유고(梅湖遺稿)》의 서문을 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양오(養吾) - 도양성(陶良性)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감생(監生)으로 경략(經略) 송응창(宋應昌)을 수행하고, 이어 영평부 통판(永平府通判)으로 군문(軍門) 형개(邢玠)를 수행하여 두 차례 조선에 건너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오(養吾)@김시회 - 김시회(金時晦)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헌납(獻納) 김충갑(金忠甲)의 아들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했으며, 부평 부사(富平府使)를 지냄.
1542~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양오(養吾)@이지완 - 이지완(李志完)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시문(詩文)에 능하여 1606년(선조 39) 중국 사신 주지번(朱之蕃)이 왔을 때 이호민(李好閔)ㆍ허균(許筠) 등과 접반함. 이이첨(李爾瞻)과 사돈을 맺고 권력을 탐해 사람들의 비난을 받음.
1575~161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양옹(陽翁) - 권근(權近)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 《예기(禮記)》를 중시하여 강상(綱常)의 확립을 통한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 이황(李滉)ㆍ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학문적으로 영향을 줌.
1352~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양옹백(楊翁伯) - 양옹백(楊雍伯)
중국 전한(前漢)의 효자. 낙양(洛陽) 출신으로, 물이 귀한 무종산(無終山)에서 음료를 제공하는 선행을 쌓은 끝에 선인(仙人)에게 돌멩이를 받아 남전(藍田)에 뿌렸더니 모두 옥(玉)으로 자라났으며, 그 옥을 캐어 아름다운 아내를 얻었다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양와(養窩) - 이준경(李浚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선조 때 신진 사류(新進士類)와 기성 사류(旣成士類) 사이의 알력을 조정하려다가 신진 사류의 정적(政敵)이 되어 공격을 받음.
149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양왕(梁王)@유무 - 유무(劉武)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의 둘째 아들. 양원(梁園)이라는 동산을 꾸미고 사마상여(司馬相如) 등 사방의 문장 호걸들을 초청하여 풍류를 즐겼으나, 율태자(栗太子)가 폐위된 후 원앙(袁盎) 등의 반대로 태자가 되지 못하자 후에 원앙 등을 죽임.
?~B.C.41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양왕(梁王)@혜왕 - 혜왕(惠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의 제후. 잦은 전쟁으로 국력이 피폐해지자 수도를 대량(大梁)으로 옮기고 국호를 ‘양(梁)’으로 고쳤으며, 요(堯)ㆍ순(舜)의 인의정치(仁義政治)를 표방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양왕(梁王) - 팽월(彭越)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때의 무신. 본래 항우(項羽)의 무관으로 유방(劉邦)의 휘하에 들어가 항우를 물리치고 천하를 통일하는 데 공을 세웠으나, 후에 모반(謀反)을 의심받아 폐서인(廢庶人)되어 유배되었다가 일족이 죽임을 당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양왕(襄王)@소왕 - 소왕(昭王)@춘추전국(연)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연(燕) 나라의 제후. 재위 B.C.312~B.C.279. 곽외(郭隗)와 악의(樂毅)를 등용하여 부국강병을 꾀했으며, 연 나라를 멸망시키려 한 제(齊) 나라와 전쟁을 일으켜 제 나라의 국력을 약화시킴.
?~B.C.27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양왕(襄王)@경양왕 - 경양왕(頃襄王)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제후(諸侯). 재위 B.C.298~B.C.263. 간신들을 중용하고 주색(酒色)에 빠져 국정을 돌보지 않음.
?~B.C.26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양왕(釀王) - 이진(李璡)
중국 당(唐) 나라 영왕(甯王)의 맏아들. 활쏘기를 잘하였고, 하지장(賀知章)과 시주(詩酒)로 교유함. 술을 좋아하여 ‘주중팔선인(酒中八仙人)’ 중의 한 사람으로 일컬어짐.
?~750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양왕(梁王) - 태조(太祖)@오대십국(후량)
중국 오대(五代) 후량(後梁)의 제1대 황제. 재위 907~912. 당(唐) 나라 말 황소(黃巢)의 부하로 있다가 관군에 항복하여 황소의 잔당과 군벌을 평정한 후 양왕(梁王)에 봉해짐. 소종(昭宗)을 죽이고 애제(哀帝)를 세웠다가 폐위하고 양(梁) 나라를 건국함.
852~91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