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실(實) - 전실(田實)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예산(禮山).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전승개(田承漑)의 아버지로, 고령 현감(高靈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예산 , 인명>관인>문신
-
실달(悉達)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실달다(悉達多)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실리라(室利羅) - 사리(舍利)
참된 불도(佛道)의 수행 결과로 생기는 구슬 모양의 유골. 양산(梁山) 통도사(通度寺)와 오대산(五臺山) 상원사(上院寺) 등에 석가(釋迦)의 진신사리(眞身舍利)가 봉안되어 있는 것으로 전해짐.
사상>현상>신체증상
-
실부(實夫) - 윤상(尹祥)
조선 태조(太祖)~단종(端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몽주(鄭夢周)의 문인(門人)인 조용(趙庸)에게 수학하였으며, 세종(世宗) 때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으로 세손(世孫)이던 단종을 가르침. 경학(經學)에 밝고 문장에도 매우 능하였으며 후진양성에 힘씀.
1373~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실이(實而) - 이자화(李自華)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호조 판서(戶曹判書) 이자견(李自堅)과 좌참찬(左參贊) 이자건(李自健)의 아우로, 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실재(實齋) - 왕수(王遂)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 때의 문신. 화문각 직학사(華文閣直學士)를 지냈으며, 《주자대전속집(朱子大全續集)》을 편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실재(實齋)@이제현 - 이제현(李齊賢)
고려 충렬왕(忠烈王)~공민왕(恭愍王) 때 문신.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진(李瑱)의 아들로,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충선왕(忠宣王)을 수행하여 원(元) 나라에 가서 명사들과 교유하면서 다양한 외교활동을 펼쳐 고려 왕실의 안정에 기여함.
1287~136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실주(實周) - 임밀(林密)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예부 주사(禮部主事)를 지내고, 1374년(고려 공민왕 23)에 채빈(蔡斌)과 함께 고려에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실지(實之) - 황성창(黃誠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영의정 황희(黃喜)의 증손. 1491년(성종 22)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병조 참지(兵曹參知)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실지(實之)@이종유 - 이종유(李宗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사복시 정(司僕寺正) 이적(李績)의 아들이며, 정존재(靜存齋) 이담(李湛)의 아버지로,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지냄.
1479~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실직(悉直) - 삼척(三陟)
강원도 동부 해안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삼척 , 지명>행정지명
-
심(深)@강심 - 강심(姜深)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절충장군(折衝將軍)에 오른 아들 강덕룡(姜德龍)의 공으로 공조 참의(工曹參議)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심(深)@홍심 - 홍심(洪深)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덕보(洪德輔)의 아들이며 좌의정 홍응(洪應)의 아버지로, 한성부윤(漢城府尹) 등을 지내고,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됨.
1398~145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심(深)@권심 - 권심(權深)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영조(英祖) 때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권상일(權相一)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심(深) - 이심(李深)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으로, 의정부 참찬(議政府參贊)을 지낸 이문화(李文和)의 아버지. 전공 판서(典工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관인>문신
-
심(深)@최심 - 최심(崔深)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전주(全州)로, 감사(監司)를 지낸 최현(崔晛)의 아버지.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인.
1512~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심(諶) - 김심(金諶)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호조 참의(戶曹參議) 김우신(金友臣)의 아들로, 도총부 부총관(都摠府副摠管)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445~150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심(沈) - 윤심(尹沈)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윤화명(尹化溟)의 아들로,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심(𦸂) - 이심(李𦸂)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의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하원군(河源君)에 봉해짐. 중종 때 좌의정을 지낸 이행(李荇)의 종형(從兄)으로, 《용재집(容齋集)》에 묘지(墓誌)가 실려 있음.
1472~151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