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심원(深源)@이심원 - 이심원(李深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으로,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임사홍(任士洪)의 무고로 유배생활을 했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죽임을 당함.
1454~150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심원(深源) - 민반(閔泮)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성주 목사(星州牧使)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使) 등을 지냄. 《희락당고(希樂堂稿)》에 김안로(金安老)가 쓴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1439~15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심원(深源)@윤준 - 윤준(尹浚)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윤시걸(尹時傑)의 셋째 아들로, 시정기(時政記) 필화사건으로 처형된 안명세(安明世)를 비호하였다는 구사안(具思顔)의 밀계(密啓)로 인해 형 윤결(尹潔)과 함께 처형됨.
1520~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심원(深源)@이굉 - 이굉(李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좌의정 이원(李原)의 손자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김굉필(金宏弼)의 당여로 몰려 관직이 삭탈되었다가 중종반정 뒤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등을 역임하고 안동(安東)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
1440~151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심원(深源)@조필 - 조필(趙泌)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창(淳昌). 생원(生員) 조희(趙禧)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심원(深源)@은호 - 은호(殷浩)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무신. 중원장군(中原將軍)이 되었을 때 북벌(北伐)에 번번이 실패하여 벗인 환온(桓溫)의 상소로 인해 축출되자, 하루종일 허공에 ‘돌돌괴사(咄咄怪事)’ 네 글자만 썼다는 고사로 유명함
?~35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심원사(尋源寺) - 백담사(百潭寺)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 때 자장(慈藏)이 강원도(江原道) 인제(麟蹄) 설악산에 창건한 사찰. 처음 이름은 한계사(寒溪寺)였으나, 소실(燒失)과 중건(重建)의 반복으로 이름과 위치가 여러 번 바뀜. 1455년(세조 1)에 승려 재익(載益) 등이 옛 한계사 터의 윗쪽 20리 지점에 중건하고 백담사라고 개칭함.
647 한국>신라 , 강원도>인제 , 유적>건물>사찰
-
심원사(深源寺) - 백담사(百潭寺)
신라 진덕여왕(眞德女王) 때 자장(慈藏)이 강원도(江原道) 인제(麟蹄) 설악산에 창건한 사찰. 처음 이름은 한계사(寒溪寺)였으나, 소실(燒失)과 중건(重建)의 반복으로 이름과 위치가 여러 번 바뀜. 1455년(세조 1)에 승려 재익(載益) 등이 옛 한계사 터의 윗쪽 20리 지점에 중건하고 백담사라고 개칭함.
647 한국>신라 , 강원도>인제 , 유적>건물>사찰
-
심유격(沈遊擊) - 심유경(沈惟敬)
중국 명(明) 나라의 사신. 임진왜란 때 요양부총병(遼陽副摠兵) 조승훈(祖承訓)의 유격장군(遊擊將軍)으로 와서 소서행장(小西行長)과 강화를 의논함. 강화가 결렬된 후 일본에게 항복하려다가 명 나라 장수 양원(楊元)에게 체포되어 처형됨.
?~159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심은후(沈隱侯) - 심동로(沈東老)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명은 한(漢)으로 삼척심씨(三陟沈氏)의 비조(鼻祖). 중서사인(中書舍人)을 지냈으며, 공민왕이 동로(東老)라는 이름을 하사함.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심의(沈醫) - 심안신(沈安信)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원. 유희춘(柳希春)이 쓴 《미암집(眉巖集)》에 파주(坡州)에 있는 백인걸(白仁傑)의 병을 돌봐 주었다는 사실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술인>의원
-
심일로(沈逸老) - 심응지(沈膺之)
조선 전기의 유학. 이해수(李海壽)와 교유하여 《약포유고(藥圃遺稿)》에 여러 편의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유학
-
심자(沈子) - 심인사(沈驎士)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제(齊) 나라 학자. 빈사(貧士)로서 손수 발(簾)을 짜면서 글을 읽었지만 경사(經史)에 박통(博通)했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심재(心齋)@송환기 - 송환기(宋煥箕)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송시열(宋時烈)의 5대손이며 송능상(宋能相)의 문인으로, 우찬성(右贊成) 등을 지냄. 학덕을 겸비하여 조야의 존경을 받았으며, 시문집으로 《성담집(性潭集)》이 있음.
1728~180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심재(心齋) - 김여석(金礪石)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하는 데 참여하고, 명(明) 나라의 건주위(建州衛) 정벌 때 참여하여 공을 세움.
1445~149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심적(心適) - 김이상(金履祥)@김수련의아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수련(金守蓮)의 아들. 중종 때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통례원 통례(通禮院通禮), 덕천 군수(德川郡守) 등을 지냄. 시를 잘 지어 현재까지 전해오는 것이 많고, 개성(開城) 남산사(南山祠)에 향사됨.
1498~157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심적당(心適堂) - 김이상(金履祥)@김수련의아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김수련(金守蓮)의 아들. 중종 때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통례원 통례(通禮院通禮), 덕천 군수(德川郡守) 등을 지냄. 시를 잘 지어 현재까지 전해오는 것이 많고, 개성(開城) 남산사(南山祠)에 향사됨.
1498~157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심존중(沈存中) - 심괄(沈括)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사천감(司天監)이 되어 천체관측법ㆍ역법(曆法) 등을 창안하였고, 천문ㆍ수학ㆍ지리ㆍ본초(本草) 등 과학에 밝았으며, 저서에는 《몽계필담(夢溪筆談)》이 있음.
1031~109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심주진(沁州津) - 강화(江華)
인천 북서부 연안과 서해 15개 도서(島嶼)로 이루어진 지역 이름. 그중 강화도(江華島)는 몽고(蒙古) 침입과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임시수도의 역할을 함.
경기도>강화 , 지명>행정지명
-
심중(心仲) - 경세인(慶世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군수(郡守)를 지낸 경상(慶祥)의 아들로,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되어 파직된 뒤 야인으로 생을 마침.
14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