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권팽(權彭)
조선 태종(太宗)의 딸인 숙근옹주(淑謹翁主)의 아들. 아버지는 화천군(花川君) 권공(權恭)이며,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한계미(韓繼美)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왕실>인척
-
권팽로(權彭老)
조선 전기의 문신. 관직은 덕릉 참봉(德陵參奉) 등을 역임함. 구봉령(具鳳齡)의 외종조(外從祖)로, 구봉령에게 5년 동안 《소학(小學)》등을 가르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권평숙(權平叔)
조선 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권필(權韠)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정철(鄭澈)의 문인으로,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야인으로 일생을 살면서 많은 작품을 남김.
1569~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문인
-
권하(權賀)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심양왕 고(瀋陽王暠)와 같은 당(黨)이 되었다가, 1328년(충숙왕 15) 김온(金溫)ㆍ조식(趙湜)ㆍ전굉(田宏) 등과 순군옥(巡軍獄)에 하옥된 뒤 유배되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한공(權漢功)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충숙왕(忠肅王)에 의해 구금된 일로 충숙왕을 폐위시키고 심양왕(瀋陽王) 고(暠)를 옹립하려 했으나 실패함.
?~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권행(權幸)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공신. 안동 권씨(權氏)의 시조. 930년(태조 13)에 후백제군을 무찌르는 데 공을 세워 태조로부터 권씨(權氏) 성(姓)을 하사받음.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권행가(權行可)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권선문(權善文)의 아들이며, 숙부 권호문(權好文)에게 입양됨. 김성일(金誠一)과 권대기(權大器)의 문인(門人).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안동(安東)에서 의병대장 김해(金垓)를 도움.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헌(權憲)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경주 부윤(慶州府尹) 권걸(權傑)의 아들. 지평(持平) 등을 지냈으며, 연산군의 부당한 처사에 여러 번 상소하다가 파직되어 옥중에서 죽음.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현(權晛)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상락군(上洛君) 권진(權縉)의 아버지로, 《미수기언(眉叟記言)》에 묘지명이 전함.
1554~15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권현(權睍)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승(權昇)의 넷째 아들로,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때 의병을 모아 활동하였으며, 외직을 두루 거친 후 여주 목사(驪州牧使) 등을 지냄.
1576~165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권현(權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광주 목사(廣州牧使)를 지낸 권황(權煌)의 아버지. 군기시 주부(軍器寺主簿)를 지냄.
15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현룡(權玄龍)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무신. 1381년(우왕 7) 강릉도(江陵道)에 침입한 왜구를 토벌하는 등 여러 차례 왜구토벌에 공을 세움. 힘이 세어 대항할 자가 없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만인적(萬人敵)이라 일컬음.
?~1386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권협(權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동지중추부사 권상(權常)의 아들.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고급사(告急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원병을 청함.
1553~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부평ㅣ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호(權瑚)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득(權得)의 아들로, 1438년(세종 20)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고 성균관에 들어가 서거정(徐居正) 등과 교유하였으며, 병조 정랑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권호(權鎬)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손자이며, 현복군(玄福君) 권렴(權廉)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호금(權好金)
조선 전기의 유학. 권문해(權文海)와 40년 넘게 교유했고, 산수를 벗 삼아 벼슬하지 않으며 한적하게 일생을 보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유학
-
권호문(權好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무민재(無悶齋)를 짓고 은거하면서 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 등과 교유함.
1532~15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권호신(權虎臣)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인(權寅)의 아들로, 1582년(선조 1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어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부모의 봉양을 이유로 사양함.
1558~162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권홍(權弘)@1467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령(權齡)의 아들.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ㆍ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ㆍ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하였고 문장이 뛰어났음.
1467~151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