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악지(樂之) - 정홍진(丁鴻進)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화가. 묵죽(墨竹)ㆍ초상화로 유명하며 이규보(李奎報)ㆍ최종준(崔宗峻) 등이 그에게 그림을 받고 지은 찬(贊)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여러 편 수록되어 있음. 비서감(祕書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악후(岳侯) - 악비(岳飛)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무신ㆍ학자. 남송(南宋) 초에 금군(金軍)의 침략을 저지하는 전공(戰功)을 세웠으나, 주화파(主和派)인 진회(秦檜)와의 불화로 무고한 누명을 쓰고 살해됨. 후에 신원되어 구국의 영웅으로 추앙됨.
1103~114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안(安) - 사고(史高)
중국 한(漢) 나라 선제(宣帝) 때의 외척. 대사마 거기장군(大司馬車騎將軍) 등을 지내고, 선제 황후(皇后)의 아버지인 허백(許伯)과 권력을 독점함.
?~B.C.43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안(安)@조안 - 조안(趙安)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안(咸安). 생육신(生六臣) 중의 한 사람인 조려(趙旅)의 아버지로, 사복시 정(司僕寺正)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문사>유학
-
안(晏)@권안 - 권안(權晏)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무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ㆍ남효온(南孝溫) 등과 함께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안(晏) - 신안(申晏)
고려 말~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종부령(宗簿令) 등을 역임하였으며, 조선 개국 후 녹(祿)을 거절하고 평산의 황의산(黃衣山)에 들어가 충절을 지킴.
?~141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안(晏)@정안 - 정안(鄭晏)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최우(崔瑀)와 처남ㆍ매부 사이. 최항(崔沆)을 비난한 일로 백령도(白翎島)에 귀양 갔다가 살해됨. 진각국사(眞覺國師) 혜심(惠諶)의 행록(行錄)을 지음.
?~125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안^공(顔^孔) - 공^안(孔^顔)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인 안회(顔回)를 함께 부르는 말. 안회는 공자의 제자 중 가장 높이 평가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안가도(安可度) - 안견(安堅)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화가. 본관은 지곡(池谷). 안평대군(安平大君)의 후원을 받았으며,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를 그림. 산수화에 뛰어나 곽희파(郭熙派) 화풍을 토대로 한국적인 화풍을 완성하며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의 수묵화에까지 영향을 미침.
한국>조선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
-
안간(安簡)@유혜손 - 유혜손(柳惠蓀)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정당문학(政堂文學) 유인비(柳仁庇)의 둘째 아들이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유염(柳琰)의 아버지로, 문하평리(門下評理)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안간(安簡)@이복근 - 이복근(李福根)
조선 전기의 종실. 태조(太祖)의 첫째 아들인 진안대군(鎭安大君) 이방우(李芳雨)의 첫째 아들로,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안간(安簡) - 두우(杜佑)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학자. 3대에 걸쳐 재상을 지냈음. 사회의 움직임에 민감하고 정치에 밝았으며, 부국안민(富國安民)에 힘썼음. 역사연구가로, 《통전(通典)》을 저술함.
735~81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경(安卿)@이준인 - 이준인(李遵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음죽 현감(陰竹縣監) 이강(李綱)의 맏아들이며, 이준의(李遵義)의 형. 일선수(一善守) 이엽(李曄)의 사위. 1534년(중종 2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소격서 영(昭格署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경(安卿) - 진순(陳淳)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부(主簿)를 지냄. 주희(朱熹)의 제자로, 주로 철학 이론 면에서 스승의 학설을 계승하고 선양하려 힘씀.
1159~122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경(安慶)@김안경 - 김안경(金安慶)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정유성(鄭惟誠)ㆍ김안복(金安福)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안경(安慶)@왕창 - 왕창(王淐)
고려 제23대 고종(高宗)의 아들. 원종(元宗)의 동모제(同母弟)로 1269년(원종 10) 임연(林衍) 등에 의해 즉위하였으나, 몽고의 압력으로 곧 폐위되고 원종이 복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안경(安敬)@박안경 - 박안경(朴安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반남(潘南). 박맹지(朴孟智)의 아버지로, 성균생원(成均生員)이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안경(安敬) - 김영정(金永貞)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김영견(金永堅)의 동생. 여러 번 명(明) 나라로 사신갔으며, 대사헌(大司憲) 등을 역임하였음.
1437~150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안경(顔卿) - 안고경(顔杲卿)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충신. 상산군(常山郡)의 태수(太守)로 있을 때 종제(從弟)인 안진경(顔眞卿)과 함께 안녹산(安祿山)의 반란군에 맞서 싸웠으나, 성이 함락되자 붙잡혀 낙양(洛陽)으로 압송된 뒤 죽임을 당함.
692~75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안경공(安慶公) - 왕창(王淐)
고려 제23대 고종(高宗)의 아들. 원종(元宗)의 동모제(同母弟)로 1269년(원종 10) 임연(林衍) 등에 의해 즉위하였으나, 몽고의 압력으로 곧 폐위되고 원종이 복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