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안동대도호부(安東大都護府) - 김해(金海)
경상남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대에 가락국(駕洛國)의 도읍지였음.
경상도>김해 , 지명>행정지명
-
안동퇴로(安東退老) - 이굉(李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좌의정 이원(李原)의 손자로,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김굉필(金宏弼)의 당여로 몰려 관직이 삭탈되었다가 중종반정 뒤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등을 역임하고 안동(安東)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냄.
1440~151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안락(安樂) - 소옹(邵雍)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학자. 이지재(李之才)에게 천문(天文)ㆍ역수(易數) 등을 배우고,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유교의 역철학(易哲學)을 발전시켜 특이한 수리철학(數理哲學)을 완성함.
1011~10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안락(顔樂) - 안락당집(顔樂堂集)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김흔(金訢)의 문집. 4권 2책. 목판본. 아들 김안로(金安老)가 편집하여, 영천 군수(榮川郡守) 권오기(權五紀)가 간행함. 남곤(南袞)ㆍ강흔(姜渾)의 서문과 김안국(金安國)의 발문(跋文)이 전함.
151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문헌>서명
-
안락(顔樂) - 김흔(金訢)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사림(士林)의 촉망을 받았으며, 율시(律詩)에 능함.
144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안락공(安樂公) - 후주(後主)@삼국(촉)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촉(蜀)의 제2대 황제. 재위 223~263. 제갈량(諸葛亮)의 보좌를 받아 정권을 유지하다가 제갈량이 죽은 뒤 위(魏) 나라에 항복하여 안락공(安樂公)에 봉해짐.
207~271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안락당(安樂堂) - 유이손(柳耳孫)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서화가. 도화서(圖畫署) 화원(畫員)으로 서예에도 능했으며, 사자청(寫字廳)의 설립을 최초로 건의하여 사자관(寫字官)을 지냄. 신정(申珽)ㆍ유항(柳沆)등이 번역한 유향(劉向)의 《열녀전(列女傳)》을 사자(寫字)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
-
안락당(顔樂堂) - 김흔(金訢)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사림(士林)의 촉망을 받았으며, 율시(律詩)에 능함.
144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안락선생(安樂先生) - 소옹(邵雍)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학자. 이지재(李之才)에게 천문(天文)ㆍ역수(易數) 등을 배우고,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유교의 역철학(易哲學)을 발전시켜 특이한 수리철학(數理哲學)을 완성함.
1011~10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안락와(安樂窩) - 소옹(邵雍)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학자. 이지재(李之才)에게 천문(天文)ㆍ역수(易數) 등을 배우고, 도가사상의 영향을 받아 유교의 역철학(易哲學)을 발전시켜 특이한 수리철학(數理哲學)을 완성함.
1011~107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안락향후(安樂鄉侯) - 화흠(華歆)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병원(邴原)ㆍ관녕(管寧) 등과 절친하여, 당시 사람들이 화흠을 용의 머리, 병원을 용의 배, 관녕을 용의 꼬리라 칭함. 동한(東漢) 환제(桓帝) 때 상서령(尙書令)에 이르고 위 나라에서는 태위(太尉)에 이름.
157~231 중국>후한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안량(安良) - 이석근(李石根)
조선 전기의 종친. 태조(太祖)의 셋째 아들인 익안대군(益安大君) 이방의(李芳毅)의 아들이며, 백파도정(白波都正) 이상(李常)의 아버지.
?~142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안로(安老) - 김안로(金安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문정왕후(文定王后)의 폐위를 도모하다 사사(賜死)되었으며, 허항(許沆)ㆍ채무택(蔡無擇)과 함께 정유상흉(丁酉三凶)으로 일컬어짐.
1481~153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ㅣ경기도>교하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릉(安陵)@효공왕후 - 효공왕후(孝恭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고조인 목조(穆祖)의 비. 본관은 평창(平昌). 이숙(李肅)의 딸로 태조 때 효비(孝妃)로 봉하고, 태종(太宗) 때 효공왕후(孝恭王后)로 추봉됨.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덕원ㅣ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왕비
-
안릉(安陵) - 혜제(惠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2대 황제. 재위 B.C.195~B.C.188. 고조(高祖)의 맏 아들로, 즉위 초에 조참(曹參)을 승상으로 발탁하여 인정(仁政)을 베풀었으나, 성격이 우유부단하여 어머니인 여후(呂后)에게 실권을 빼앗기자 울분을 품고 죽음.
B.C.210~B.C.188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안명지(安明之) - 안처명(安處明)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낸 안침(安琛)의 맏아들.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안성 군수(安城郡守)ㆍ회양 부사(淮陽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무(安武) - 홍달손(洪達孫)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남양(南陽).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황보인(皇甫仁) 등을 제거한 공으로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책록되고, 세조(世祖) 즉위 후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좌의정 등을 지냄.
1415~147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안민강(安民江) - 압록강(鴨綠江)
함경도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만주(滿洲)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강으로, 물빛이 오리의 머리 빛깔과 같아 이름함.
함경도>갑산ㅣ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안배당(安排堂) - 권벽(權擘)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시문(詩文)이 뛰어나 명(明) 나라에 오가는 외교 문서를 전담하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ㆍ《명종실록(明宗實錄)》편찬에 참여함.
1520~159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안변도호부(安邊都護府) - 안변(安邊)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현종(顯宗) 때 도호부를 설치했으나 조선 태종(太宗) 때 조사의(趙思義)가 반란을 일으켜 감무(監務)로 강등되었다가 다시 도호부로 환원됨. 경원선(京元線)과 동해 북부선(北部線)의 분기점(分岐點).
함경도>안변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