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권홍(權弘)@1360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권균(權鈞)의 아들로, 예조 판서(禮曹判書)ㆍ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등을 지냄. 문학에 뛰어났으며, 전서ㆍ예서에 능하여 헌릉(獻陵)ㆍ문묘(文廟)ㆍ기자사(箕子祠)의 비문을 씀.
1360~144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홍계(權弘啓)
조선 전기의 유학. 김륭(金隆)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권화(權和)@고려후기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이며, 검교정승(檢校政丞) 권희(權僖)의 아들.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화(權和)@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1711년(숙종 37) 박경여(朴慶餘)와 함께 《장릉지(莊陵誌)》를 간행.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권화(權和)@조선전기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이숙(姨叔). 《율곡전서(栗谷全書)》에 묘지명(墓誌銘)이 실려 있음. 장인인 신명화(申命和)에게서 오죽헌(烏竹軒)을 물려받아 후손들에게 관리하게 함.
1518~1573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권확(權確)@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권우(權愚)의 둘째 아들이자, 권승(權昇)의 아버지.
1502~155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권확(權確)@조선후기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결(權潔)의 아들로, 1611년(광해군 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여주 목사(驪州牧使)를 지냄.
1568~163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권황(權滉)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안동(安東). 성낙선(成樂善)의 장인으로, 거창 현감(居昌縣監)ㆍ한산 군수(韓山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
-
권황(權煌)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군기시 주부(軍器寺主簿)를 지낸 권현(權鉉)의 아들로, 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지냄.
1502~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흔(權昕)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화(權和)의 아들로 1602년(선조 35) 알성시(謁聖試)에 급제한 뒤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등을 역임함.
15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희(權僖)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장단(長湍)에서 적을 물리쳐 공을 세우고, 조선 건국 후 검교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 등을 지냈으며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319~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권희맹(權希孟)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로 재직 중 영월(寧越)에서 죽었음.
1475~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권희익(權希益)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인.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권희정(權希正)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우의정을 지낸 권진(權軫)의 아버지이며, 사위는 판서(判書) 배상지(裵尙志). 감찰 규정(監察糾正)의 관직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궐(蟨)
중국 전설상의 동물. 앞발은 쥐와 같고 뒷발은 토끼와 같아서 잘 달리지 못하므로, 공공거허(蛩蛩巨虛)라는 잘 달리는 짐승에게 먹이를 구해주고 위급한 일이 생기면 도움을 받음.
중국 , 자연물>동물
-
귀거래사(歸去來辭)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이 지은 사(辭) 이름. 도잠의 대표적 작품으로,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오는 심경을 읊은 내용임.
4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귀등(歸登)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 호북(湖北) 형주인(荊州人)으로 귀숭경(歸崇敬)의 아들. 공부 시랑(工部侍郞)을 지냄.
754~82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귀록집(歸鹿集)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조현명(趙顯命)의 시문집. 20권 20책. 필사본. 고종(高宗) 연간이나 그 이후에 전사된 것으로 추측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귀룡산(歸龍山)
경상도 사천(泗川)에 있는 산 이름.
경상도>사천 , 지명>자연지명
-
귀생(歸生)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정(鄭) 나라의 공자(公子). 정 나라 군주를 시해(弑害)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