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안복(安福) - 김안복(金安福)
조선 전기의 유학. 1577년(선조 10) 최인기(崔仁起)ㆍ정유성(鄭惟誠)ㆍ김안경(金安慶)ㆍ김효원(金孝元) 등과 강원도 두타산(頭陀山)을 유람한 내용이 김효원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안복궁주(安福宮主) - 원혜왕후(元惠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4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세 자매가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문종(文宗)ㆍ평양공(平壤公) 왕기(王基)ㆍ효사왕후(孝思王后) 등을 낳음.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안봉영당(安峰影堂) - 안봉서원(安峰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성주(星州)에 세워진 서원. 이장경(李長庚)ㆍ이조년(李兆年)ㆍ이직(李稷) 등을 배향함.
157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안분(安分) - 이희보(李希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낸 이극문(李克文)의 아들.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내고, 문장에도 능함.
1473~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분당(安分堂)@권규 - 권규(權逵)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사직공(司直公) 권시득(權時得)의 아들이며, 권문현(權文顯)ㆍ권문임(權文任)ㆍ권문언(權文彦)ㆍ권문저(權文著)의 아버지. 청향당(淸香堂) 이원(李源)과 교유함.
1496~154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
-
안분당(安分堂)@이희보 - 이희보(李希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낸 이극문(李克文)의 아들.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내고, 문장에도 능함.
1473~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분당(安分堂) - 이공량(李公亮)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매부(妹夫)로, 봉사(奉事)를 역임함.
1500~156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안분당고시(安分堂古詩) - 안분당시집(安分堂詩集)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이희보(李希輔)의 시집. 일부 시편(詩篇)이 정사본(精寫本)으로 전해짐. 2권 1책.
한국>조선시대 , 문헌>서명
-
안분로(安分老) - 이희보(李希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낸 이극문(李克文)의 아들.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내고, 문장에도 능함.
1473~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분옹(安分翁) - 이희보(李希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낸 이극문(李克文)의 아들.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내고, 문장에도 능함.
1473~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분자(安分子) - 이희보(李希輔)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으로, 사옹원 봉사(司饔院奉事)를 지낸 이극문(李克文)의 아들.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을 지내고, 문장에도 능함.
1473~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비(安庇) - 윤안비(尹安庇)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 윤보(尹珤)의 여섯째 아들로, 1294년(충렬왕 20) 문과(文科)에 장원하고, 문하시랑(門下侍郞)ㆍ찬성사(贊成事)ㆍ태위(太尉)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안빙군(安聘君) - 안경인(安景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廣州). 권호문(權好文)의 장인으로, 어려서부터 유자(儒者)의 행실이 있었으나, 26세의 젊은 나이에 죽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문사>유학
-
안사고(顔師古) - 안주(顔籒)
중국 당(唐) 고조(高祖)~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비서감(秘書監) 등을 역임하고 정치에도 능통하여 조령(詔令)의 기초를 맡았으며, 훈고학(訓詁學)에 정통하여 《오경정의(五經正義)》 등의 편찬에 참여하고, 《한서(漢書)》에 주석을 가함.
581~64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사내(安四耐) - 안경창(安慶昌)
조선 후기의 처사(處士). 천민 출신으로 어렸을 때 화장사(花庄寺)에서 공부하며 기이한 행적을 남기고, 이언적(李彦迪)ㆍ이황(李滉)ㆍ이이(李珥) 및 조식(曺植)ㆍ노사신(盧思愼) 등 당시 명유들과 교유하였다고 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안사란(安史亂) - 안사지란(安史之亂)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 안녹산(安祿山)과 사사명(史思明) 등이 일으킨 반란. 이후 당 나라는 절도사(節度使)가 병권(兵權)을 장악하여 지방분권화 현상이 강화되고, 양세법(兩稅法)으로 전환됨.
755~763 중국>당 , 중국 , 사건>역모
-
안사묵(安士默) - 안용(安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안승명(安承命)의 아들로, 1558년(명종 3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등을 지냄.
152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안사의난(安史-亂) - 안사지란(安史之亂)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 안녹산(安祿山)과 사사명(史思明) 등이 일으킨 반란. 이후 당 나라는 절도사(節度使)가 병권(兵權)을 장악하여 지방분권화 현상이 강화되고, 양세법(兩稅法)으로 전환됨.
755~763 중국>당 , 중국 , 사건>역모
-
안사의란(安史-亂) - 안사지란(安史之亂)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 안녹산(安祿山)과 사사명(史思明) 등이 일으킨 반란. 이후 당 나라는 절도사(節度使)가 병권(兵權)을 장악하여 지방분권화 현상이 강화되고, 양세법(兩稅法)으로 전환됨.
755~763 중국>당 , 중국 , 사건>역모
-
안삭(安朔)@영변 - 영변(寧邊)
평안도 남동부에 있는 군(郡). 구룡강(九龍江) 하류에 있어 군사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 비옥한 평야가 있어 농산물이 많이 생산됨.
평안도>영변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