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안삭(安朔) - 삭녕(朔寧)
경기도 연천(漣川) 및 강원도 철원(鐵原) 일부 지역의 옛 고을 이름.
경기도>삭녕 , 지명>행정지명
-
안삭(安朔)@안협 - 안협(安峽)
강원도 북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동으로는 평강(平康), 서로는 황해도 토산(兎山), 남으로는 경기도 삭녕(朔寧), 북으로는 이천(伊川)과 경계를 이룸. 후에 이천에 흡수됨.
강원도>안협 , 지명>행정지명
-
안산군(安山君) - 안진(安震)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이제현(李齊賢) 등과 더불어 충렬왕(忠烈王)ㆍ충선왕(忠善王)ㆍ충숙왕 3조(朝)의 실록을 찬수하고, 공민왕 즉위 후 조일신(趙日新)의 일파가 되어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냄.
?~136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산영당(安山影堂) - 안산서원(安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성주(星州)에 세운 영당(影堂)으로, 1624년(인조 2)에 서원으로 승격됨. 1680년(숙종 6)에 사액되었으며, 이장경(李長庚)ㆍ이백년(李百年)ㆍ이인복(李仁復)ㆍ이숭인(李崇仁)ㆍ이직(李稷) 등을 배향함.
158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안삼여(安三與) - 소안(紹安)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혼수(混脩)에게 배워 출가했으며, 스승이 입적한 후 유방(遊方)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안상도(安上圖) - 유민도(流民圖)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인 정협(鄭俠)이 그린 그림. 정협이 안상문(安上門) 감문관(監門官)으로 있을 때 큰 가뭄이 들어 유민(流民)이 길을 메운 것을 보고 이를 그림으로 그려 신종(神宗)에게 바침.
1073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안상산(顔常山) - 안고경(顔杲卿)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충신. 상산군(常山郡)의 태수(太守)로 있을 때 종제(從弟)인 안진경(顔眞卿)과 함께 안녹산(安祿山)의 반란군에 맞서 싸웠으나, 성이 함락되자 붙잡혀 낙양(洛陽)으로 압송된 뒤 죽임을 당함.
692~756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안상인(安上人) - 삼여(三與)
고려 후기의 승려. 혼수(混脩)의 문도. 조계종(曹溪宗)의 승려로 이색(李穡)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안상좌(安上座) - 승안(勝安)
조선 전기의 승려. 교종판사(敎宗判事) 천측(天則)의 상좌(上座)이며, 송인(宋寅)과 시(詩)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안생(顔生) - 안회(顔回)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 공자(孔子)가 가장 신임했던 수제자로, 가난한 생활 속에서도 도를 즐기고 학문과 덕행으로 이름을 높임.
B.C.521~B.C.49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안서(安西) - 해주(海州)
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
황해도>해주 , 지명>행정지명
-
안석(安石) - 사안(謝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재상. 회계(會稽)의 동산(東山)에서 은거할 때 왕희지(王羲之) 등과 교유하고, 뒤늦게 벼슬하여 환온(桓溫)의 휘하에서 활약함. 재상이 되었을 때 전진(前秦)의 부견(符堅)이 대군을 이끌고 침입하자 이를 격파함.
320~3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안석(安石)@왕안석 - 왕안석(王安石)
중국 송(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시인. 신종(神宗)에게 발탁되어 신법(新法)이라는 혁신 정책을 단행함.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중 한 사람으로 꼽힘.
1021~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안석(安石)@조박 - 조박(趙璞)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전의시 영(典儀寺令)을 지낸 조사겸(趙思謙)의 아들. 태종과 동서 사이로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오르지만, 생전에 불교를 믿었다는 탄핵을 받아 공신녹권(功臣錄券)이 소각당함.
1356~140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안성(安性)@윤안성 - 윤안성(尹安性)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부(尹釜)의 아들로, 양양 부사(襄陽府使) 등을 지냄. 익사공신(翼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능창군(陵昌君) 이전(李佺)의 추대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당함.
1542~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안성(安性) - 박안성(朴安性)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영의정 박원형(朴元亨)의 아들로,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안성(安性)@이안성 - 이안성(李安性)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지낸 이식(李植)의 아버지. 안기도 찰방(安奇道察訪)을 지내고, 후에 좌찬성(左贊成)에 증직됨.
1554~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안성(安成)@최융 - 최융(崔融)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종(中宗)이 태자로 있을 때 시독(侍讀)을 담당하고, 국자사업(國子司業) 등을 지냄. 두심언(杜審言)ㆍ이교(李嶠)ㆍ소미도(蘇味道) 등과 함께 ‘초당(初唐)의 문장사우(文章四友)’로 일컬어짐.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안성(安成) - 이견기(李堅基)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성절사(聖節使)ㆍ사은사(謝恩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고,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냄.
1384~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안성군(安城君)@이수령 - 이수령(李壽齡)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맏아들이며 안남군(安南君) 이수련(李壽鍊)의 형으로, 안성군(安城君)에 봉해짐.
151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