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안인(安仁)@나안인 - 나안인(羅安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나주(羅州). 생원(生員) 나보중(羅甫重)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김제 , 인명>문사>유학
-
안인집(安仁執) - 안경서(安慶緖)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무장(武將). 안녹산(安祿山)의 둘째 아들로, 편애에 불만을 갖고 아버지인 안녹산을 살해하였다가 사사명(史思明)에게 죽임을 당함.
?~759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안자(晏子) - 안영(晏嬰)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영공(靈公)~경공(景公) 때의 재상. 제 나라의 어진 재상으로 관중(管仲)과 비견되고, 어떤 권력에도 굽히지 않는 지조가 있었음.
?~B.C.50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안자(顔子) - 안회(顔回)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현인(賢人). 공자(孔子)가 가장 신임했던 수제자로, 가난한 생활 속에서도 도를 즐기고 학문과 덕행으로 이름을 높임.
B.C.521~B.C.49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성현
-
안재(安齋)@성임 - 성임(成任)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성염조(成念祖)의 아들로,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국조보감(國朝寶鑑)》ㆍ《경국대전(經國大典)》편찬에 참여하고, 글씨와 시문에 뛰어남.
1421~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재(安齋) - 이세응(李世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으로, 사재감 부정(司宰監副正) 이계통(李季通)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었고, 평안도 관찰사 등을 지냄.
1473~15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안정(安亭) - 신영희(辛永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영산(靈山).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했으나 직산(稷山)에 은둔하여 학문에 정진함.
1442~151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직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안정(安定)@호원 - 호원(胡瑗)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이(程頤)의 스승. 범중엄(范仲淹)ㆍ손복(孫復)과 함께 '송초(宋初)의 세 선생'으로 일컬어지는 송학(宋學)의 선도자로, 태상박사(太常博士) 등을 지내고, 많은 제자를 배출함.
993~105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정(安定)@풍기 - 풍기(豊基)
경상도 북단에 위치한 고을 이름. 1451년(문종 1) 기천(基川)과 은풍(殷豊)을 합하여 신설함.
경상도>풍기 , 지명>행정지명
-
안정(安定) - 안원(安瑗)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조선 건국 후 정치 참여를 거부하였으나, 태종(太宗)의 간청으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 나라에 다녀왔으며, 외척으로서 횡포를 부리던 민무구(閔無咎) 형제를 탄핵하였음.
1346~141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정(安靖) - 안원숭(安元崇)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정당문학(政堂文學)ㆍ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 요직(要職)을 지내고, 순성군(順城君)에 봉해짐.
130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안정(安靖)@김구덕 - 김구덕(金九德)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상락군(上洛君) 김묘(金昴)의 아들이자, 세종(世宗) 후궁인 명빈(明嬪)의 아버지로, 내직과 외직을 두루 역임하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에 올랐으며, 세조(世祖)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추록됨.
?~142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안정(安鼎) - 김안정(金安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공조 참의를 지낸 김흔(金訢)의 아들로, 도승지와 이조 참판,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등을 역임함.
1476~1533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안정백(安定伯) - 나천서(羅天瑞)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이성계(李成桂)가 요동을 정벌하고 귀환할 때 아사지경(餓死之境)에 이른 군사를 생환시킨 공으로 안정백(安定伯)에 봉해짐. 안정나씨(安定羅氏)의 시조.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무신
-
안정선생(安定先生) - 호원(胡瑗)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이(程頤)의 스승. 범중엄(范仲淹)ㆍ손복(孫復)과 함께 '송초(宋初)의 세 선생'으로 일컬어지는 송학(宋學)의 선도자로, 태상박사(太常博士) 등을 지내고, 많은 제자를 배출함.
993~105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안정숙의공주(安貞淑義公主) - 낙랑공주(樂浪公主)
고려 태조 왕건(王建)의 딸. 고려에 항복한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아내가 되어 의성김씨(義城金氏)의 시조가 되는 김석(金錫)을 낳음. 어머니는 유긍달(柳兢達)의 딸인 신명태후 유씨(神明太后柳氏).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공주
-
안정자(安正字) - 안방경(安方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으로, 안순(安恂)의 아들. 명종(明宗) 때 《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나 문정왕후(文定王后)와의 불화로 외직으로 나감. 영흥 부사(永興府使) 등을 지낸 후 용인(龍仁)에 낙향함.
1513~156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안제미거(案齊眉擧) - 거안제미(擧案齊眉)
밥상을 눈썹 높이까지 들어 올려 바침. 중국 후한(後漢) 때 양홍(梁鴻)의 아내 맹광(孟光)이 남편을 지성으로 받들었던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남편을 깍듯이 공경함을 뜻함. 《후한서(後漢書)》 〈양홍전(梁鴻傳)〉에 보임.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안종(安宗) - 정종(定宗)@조선
조선 제2대 왕. 재위 1398~1400. 태조(太祖)와 정안왕후(定安王后)의 소생. 고려 후기에 아버지를 따라 왜구를 토벌하는 데 많은 전공을 세우고 왕자의 난을 계기로 왕위에 올랐지만, 골육상쟁의 재현을 우려하여 정안군(靖安君)을 세자로 삼고 양위함.
1357~141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안주부(安主簿) - 안응국(安應國)
조선 전기의 양인. 이산해(李山海)가 유배된 평해(平海)의 황보리(黃保里)에 살던 사람으로, 이산해의 《아계유고(鵝溪遺稾)》에, 그의 전기(傳記)인 〈안주부전(安主簿傳)〉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해 , 인명>기타인명>양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