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오산군(烏山君) - 이주(李澍)@1437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맏아들로, 성종(成宗)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37~14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오산군(烏山君)@정몽주 - 정몽주(鄭夢周)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오부학당(五部學堂)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 친원(親元)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오산군(鰲山君)@김한귀 - 김한귀(金漢貴)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무신. 본관은 청도(淸道).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경성(京城)을 수복한 공으로 일등공신이 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오산군(鰲山君) - 김지대(金之岱)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청도김씨(淸道金氏)의 시조. 고종(高宗) 4년에 거란군이 침입하자 아버지를 대신해 출전함.
1190~126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관인>문신
-
오산도정(烏山都正) - 이현(李鉉)@이희의아들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네 번째 서자로, 오산정(烏山正)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오산문씨(烏山文氏) - 남평문씨(南平文氏)
신라 자비마립간(慈悲麻立干) 때 인물로 대장군(大將軍)을 거쳐 남평백(南平伯)에 봉해진 문다성(文多省)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전라도>남평 , 인명>집단>성씨
-
오산수(烏山守) - 이현(李鉉)@이희의아들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네 번째 서자로, 오산정(烏山正)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오산유씨(鰲山兪氏) - 강진유씨(康津兪氏)
고려 말에 감문위 상장군(監門衛上將軍)을 지낸 유적(兪迪)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강진 , 인명>집단>성씨
-
오산정(烏山正) - 이현(李鉉)@이희의아들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종친. 중종(中宗)의 서자인 해안군(海安君) 이희(李㟓)의 네 번째 서자로, 오산정(烏山正)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오상(五常)@장오상 - 장오상(張五常)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단양(丹陽)으로, 유학 장세균(張世鈞)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유학
-
오상(五常) - 권오상(權五常)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처형된 권오복(權五福)의 동생으로, 좌부승지(左副承旨) 권문해(權文海)의 조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오상(鰲相) - 이항복(李恒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함. 1617년(광해군 9)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탈되었으나 사후에 복관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56~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오상지(吳祥之) - 오상(吳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로, 예조 좌랑을 지낸 오예손(吳禮孫)의 아들.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이조ㆍ예조ㆍ형조의 판서(判書)를 지내고, 문장에 뛰어나 8문장(八文章)의 한 사람으로 불림.
1512~157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오생(寤生) - 장공(莊公)@춘추전국(정)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제후. 무공(武公)의 아들. 탁월한 지략과 수완으로 친동생 공숙단(共叔段)이 친모 무강(武姜)과 짜고 반역을 일으키자 일거에 진압하고, 뛰어난 명신들의 보좌를 받으면서 정 나라의 전성기를 구가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오서(伍胥) - 오운(伍員)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재상. 초(楚) 나라 사람으로 아버지와 형이 초(楚) 평왕(平王)에게 처형당함. 오 나라 부차(夫差)를 도와 월(越) 나라를 이기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후에 부차(夫差)에게 처형당함.
B.C.559~B.C.48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오선정(五先亭) - 권사빈(權士彬)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충재(冲齋) 권벌(權橃)의 아버지로,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49~153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오섭충(吳爕忠) - 오혁충(吳奕忠)
고려 후기의 문신. 태허정(太虛亭) 최항(崔恒)의 외조부(外祖父)이며, 판종부시사(判宗簿寺事)를 역임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오성(鰲城)@서능 - 서릉(徐稜)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이천(利川). 시중(侍中)을 지냈으며, 절효(節孝)로 향현사(鄕賢祠)에 배향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장성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오성(鰲城) - 이항복(李恒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함. 1617년(광해군 9)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탈되었으나 사후에 복관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56~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
-
오성부원군(鰲城府院君) - 이항복(李恒福)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함. 1617년(광해군 9)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탈되었으나 사후에 복관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56~16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