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귀성(龜城)
평안도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성종(成宗) 때 강동육주(江東六州)를 설치한 지역 가운데 하나이며, 국방상의 요충지로 중시됨.
평안도>귀성 , 지명>행정지명
-
귀숭경(歸崇敬)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덕종(德宗) 때의 문신. 공부 시랑(工部侍郞)을 지낸 귀등(歸登)의 아버지로, 병부 상서(兵部尙書)를 지냄. 저서로 《귀숭경집(歸崇敬集)》등이 있음.
712~79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귀인정씨(貴人鄭氏)
조선 제12대 인종(仁宗)의 후궁. 본관은 연일(延日). 판관 정유침(鄭惟沈)의 딸이며, 정철(鄭澈)의 맏누이. 14세에 동궁(東宮)으로 있던 인종의 빈(嬪)이 됨.
1520~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일ㅣ서울 , 인명>왕실>후궁
-
귀일상인(歸一上人)
고려 후기의 승려. 소나무와 전나무 그림을 잘 그림.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귀전고(歸田稿)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사천(謝遷)의 문집. 4권으로 구성.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귀전부(歸田賦)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인 장형(張衡)이 지은 산문부(散文賦). 전원으로 돌아가려는 결심과 한적한 전원생활 및 은거하는 모습을 표현함.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작품명
-
귀전시화(歸田詩話)
중국 명(明) 나라의 문인(文人)인 구우(瞿佑)가 쓴 책. 3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규^두(奎^斗)
이십팔수(二十八宿) 중 열다섯째 별자리인 규성(奎星)과 여덟째 별자리인 두성(斗星)을 함께 부르는 말. 규성은 서쪽, 두성은 북쪽에 위치함.
자연물>기타자연물
-
규^벽(奎^壁)
문장(文章)을 주관하는 규성(奎星)과 문서(文書)를 주관하는 벽성(壁星)을 함께 부르는 말. 문운(文運)을 주관하는 별들로, 문필(文筆)에 비유됨.
사상>술어>관용어
-
규선사(規禪師)
고려 후기의 승려. 보제사(普濟寺)의 주지를 역임함.《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
-
규성(奎星)
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열다섯째 별자리에 있는 별. 굴곡이 문자 획과 비슷해 문운(文運)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이것이 밝으면 천하가 태평하다고 전함.
자연물>천체
-
규암집(圭菴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송인수(宋麟壽)의 시문집. 13대손 송태헌(宋台憲)등이 유고를 모아 정정(訂正)하고 송병선(宋秉璿)이 편집 정리하여 4권 2책으로 간행함.
1907 한국>근대 , 문헌>서명
-
규재문집(圭齋文集)
중국 원(元) 나라 학자인 구양현(歐陽玄)의 문집. 15권으로 구성.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규정(糾正)
고려 성종(成宗) 때 처음 설치한 사헌부(司憲府)에 속했던 관직. 대관(臺官)의 일원으로서 백관(百官)의 규찰(糾察)과 제사(祭祀)ㆍ조회(朝會) 및 전곡(錢穀)의 출납 등을 감찰함.
995 한국>고려시대 , 법제>관직
-
균주(筠州)
중국 강서성(江西省) 서주부(瑞州府)에 있는 고을 이름. 고안현(高安縣)이라고도 불리며,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 소식(蘇軾)의 동생인 소철(蘇轍)이 이곳으로 좌천된 일이 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균천광악(鈞天廣樂)
진 목공(秦穆公)이 꿈에 상제(上帝)가 있는 곳에 가서 여러 신선들과 균천광악을 듣고 즐거워하며 감동을 받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천상(天上)에서 연주하는 미묘한 음악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기타>가무
-
귤강광(橘康廣)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문신.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명으로 일본국 왕사(日本國王使)가 되어 1587년(조선 선조 20) 조선으로 와서 일본 국내사정의 변화를 설명하고 통신사의 파견을 요청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귤림서원(橘林書院)
조선시대 제주(濟州)에 건립한 서원. 선조(宣祖) 때 제주 판관 조인준(趙仁俊)이 김정(金淨)을 추모하여 충암묘(冲菴廟)를 건립하고, 숙종(肅宗) 때 귤림서원(橘林書院)으로 사액됨. 김정ㆍ정온(鄭蘊)ㆍ송시열(宋時烈) 등을 배향함.
15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제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귤옥집(橘屋集)
조선 전기의 문신인 윤광계(尹光啓)의 시문집. 1676(숙종 29) 증손인 윤승후(尹承厚)ㆍ윤천후(尹天厚) 형제가 김수항(金壽恒)에게 부탁하여 유고를 산정, 편집했던 것을 윤정은(尹正殷)이 간행함.
1829 한국>근대 , 문헌>서명
-
귤정유고(橘亭遺稿)
조선 전기의 문신인 윤구(尹衢)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