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오왕(吳王)@강제 - 강제(康帝)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4대 황제. 재위 342~344. 명제(明帝)의 아들이자, 성제(成帝)의 아우로, 성제가 죽은 후 권신 유빙(庾冰)ㆍ유익(庾翼)의 도움으로 즉위함.
322~34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오왕(吳王)@부차 - 부차(夫差)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제후. 재위 B.C.496~B.C.473. 월왕(越王) 구천(句踐)에게 죽은 아버지 합려(闔閭)의 유언에 따라 월 나라를 패퇴시키나, 결국 다시 구천에게 패하여 자살함.
?~B.C.47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오왕(吳王)@대제 - 대제(大帝)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 제1대 황제. 재위 222~252. 형 손책(孫策)의 뒤를 이어 강동(江東)을 차지하고, 유비(劉備)와 동맹하여 조조(曹操)를 적벽(赤壁)에서 무찌름.
182~25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오왕(吳王)@말제 - 말제(末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 마지막 황제. 재위 264~280. 처음에는 선정을 베풀었으나 가혹한 조세(租稅)와 폭정(暴政) 등으로 민심을 잃었으며, 진(晉) 나라에 항복하여 귀명후(歸命侯)에 봉해짐.
242~284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오왕(吳王)@효왕 - 효왕(孝王)@남북조(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의 아들. 289년(무제 10)에 오왕(吳王)에 봉해지고, 셋째 아들 민제(愍帝)가 즉위하여 태보(太保)에 추증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오왕(吳王)@합려 - 합려(闔閭)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 제24대 제후. 재위 B.C.515~B.C.496. 초(楚) 나라 사람 오운(伍員)과 《손자(孫子)》의 저자인 손무(孫武)를 등용하여 오 나라의 세력을 중원(中原)에까지 넓혔으나, 월(越) 나라와의 전쟁에서 전사함.
?~B.C.49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오요(五曜) - 오성(五星)
중국에서 고대부터 알려져 있는 다섯 개 행성(行星)의 통칭. 목성(木星)ㆍ금성(金星)ㆍ화성(火星)ㆍ수성(水星)ㆍ토성(土星)을 일컫는 말로, 각각 동(東)ㆍ서(西)ㆍ남(南)ㆍ북(北)ㆍ중앙(中央)에 위치하여 그 방위를 관장하고 상징하는 것으로 인식됨.
자연물>천체
-
오원(五原) - 연안(延安)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 도호부를 설치하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귀속됨.
황해도>연안 , 지명>행정지명
-
오원(五原)@의안대군 - 의안대군(宜安大君)
조선 제1대 태조(太祖)의 여덟째 아들. 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소생으로, 배극렴(裵克廉)ㆍ조준(趙浚)ㆍ정도전(鄭道傳) 등의 요청으로 세자(世子)로 책봉되었으나,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피살됨.
138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오원군(五原君) - 이보정(李寶丁)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아들인 덕천군(德泉君)의 손자이며 신종군(新宗君) 이효백(李孝伯)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인명>왕실>종친
-
오원부수(五原副守) - 이보정(李寶丁)
조선 중종(中宗) 때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아들인 덕천군(德泉君)의 손자이며 신종군(新宗君) 이효백(李孝伯)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인명>왕실>종친
-
오월당(梧月堂) - 이유함(李惟諴)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하수일(河受一)의 매서(妹壻)로, 1591년(선조 2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장원하여 영천 군수(榮川郡守) 등을 지냄.
1557~160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오위(五緯) - 오성(五星)
중국에서 고대부터 알려져 있는 다섯 개 행성(行星)의 통칭. 목성(木星)ㆍ금성(金星)ㆍ화성(火星)ㆍ수성(水星)ㆍ토성(土星)을 일컫는 말로, 각각 동(東)ㆍ서(西)ㆍ남(南)ㆍ북(北)ㆍ중앙(中央)에 위치하여 그 방위를 관장하고 상징하는 것으로 인식됨.
자연물>천체
-
오유격(吳遊擊) - 오종도(吳宗道)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수병을 이끌고 와서 공적을 세웠으며, 1593년(선조 26)에 거제(巨濟)를 지키기 위해 진주(晉州)를 지나가면서 의병장 김천일(金千鎰)을 위해 쓴 제문(祭文)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오유당(烏有堂) - 서구연(徐九淵)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함양 군수(咸陽郡守)를 역임하였으며, 남계서원(灆溪書院)의 건립에 참여함.
1502~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오은(悟隱) - 조창원(趙昌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지낸 조존성(趙存性)의 아들로, 형조 좌랑(刑曹佐郞) 등을 지내고, 딸이 인조의 계비(繼妃)로 간택됨.
1583~164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오은(梧隱) - 김사렴(金士廉)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천(金蕆)의 아들. 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과 교유하고, 신돈(辛旽)이 권력을 갖자 왕에게 직간(直諫)함. 조선이 건국되자 관직에 나가지 않고, 청주의 도산(陶山)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오은군(鰲恩君) - 이경일(李敬一)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경주(慶州). 진사(進士) 이종열(李宗悅)의 아들로, 도사(都事) 이종악(李宗岳)에게 출계함. 좌의정 등을 지내고, 저서에 《청헌유고(聽軒遺稿)》가 있음.
1734~182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오음(梧陰) - 윤두수(尹斗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에 힘써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건저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3~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오음상공(梧陰相公) - 윤두수(尹斗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에 힘써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건저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3~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