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오음상국(梧陰相國) - 윤두수(尹斗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에 힘써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건저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3~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오의숙(吳毅叔) - 오한(吳僩)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 본관은 함양(咸陽). 종제인 덕계(德溪) 오건(吳健)과 함께 조식(曺植)에게서 수학하며 학문에 전념함.
1546~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ㅣ경상도>산음 , 인명>문사>문인
-
오익승(吳翼承) - 오장(吳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오건(吳健)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하고, 광해군 때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옥사와 폐모론(廢母論)에 맞서다가 삭직되어 낙향한 후, 정온(鄭蘊)을 비호하다가 토산(兎山)으로 유배됨.
?~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오인원(吳仁遠) - 오언의(吳彦毅)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창(高敞)으로, 현감(縣監)을 지낸 오석복(吳碩福)의 아들. 이우(李堣)의 문인이며, 지방관으로 있으면서 치적을 많이 쌓았음.
1494~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오자(伍子) - 오운(伍員)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재상. 초(楚) 나라 사람으로 아버지와 형이 초(楚) 평왕(平王)에게 처형당함. 오 나라 부차(夫差)를 도와 월(越) 나라를 이기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후에 부차(夫差)에게 처형당함.
B.C.559~B.C.48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오자(吳子)@오기 - 오기(吳起)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의 병법가. 증자(曾子)에게 배우고 노군(魯君)을 섬김. 제(齊) 나라가 노 나라를 침공하였을 때 제 나라 출신 아내를 죽여 충성을 나타낸 뒤, 노 나라 장군으로서 제 나라를 격파함. 병법에 밝아 《오자(吳子)》를 저술함.
B.C.440~B.C.38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오자(吳子)@오도현 - 오도현(吳道玄)
중국 당(唐) 나라의 화가. 불화(佛畫)와 산수화(山水畵)에 뛰어나 화성(畫聖)이라 불림. 소화(疎畵)의 체인 서화일치의 화체를 확립하고, 준법(皴法) 등을 사용하여 동양 회화에 영향을 끼침.
700~760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오자강(吳子强) - 오건(吳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조식(曺植)ㆍ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조 좌랑으로 있으면서 춘추관 기사관을 겸하여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521~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산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오자묘(伍子廟) - 오운묘(伍員廟)
중국 절강성(浙江省) 항주(杭州)에 있는 사당. 춘추시대 초(楚) 나라 대부(大夫)인 오자서(伍子胥)를 기리기 위해 세운 것으로, 당(唐) 나라 적인걸(狄仁傑)의 음사(淫祠) 철폐 때에도 보존되었음.
중국 , 유적>건물>사당
-
오자사(伍子奢) - 오사(伍奢)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 오자서(伍子胥)의 아버지. 초(楚) 평왕(平王)의 태자태부(太子太傅)로, 비무기(費無忌)가 태자를 참소(譖訴)하자 간(諫)하다가 피살됨.
?~B.C.5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오자서(伍子胥) - 오운(伍員)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재상. 초(楚) 나라 사람으로 아버지와 형이 초(楚) 평왕(平王)에게 처형당함. 오 나라 부차(夫差)를 도와 월(越) 나라를 이기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후에 부차(夫差)에게 처형당함.
B.C.559~B.C.484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오자서묘(伍子胥廟) - 오운묘(伍員廟)
중국 절강성(浙江省) 항주(杭州)에 있는 사당. 춘추시대 초(楚) 나라 대부(大夫)인 오자서(伍子胥)를 기리기 위해 세운 것으로, 당(唐) 나라 적인걸(狄仁傑)의 음사(淫祠) 철폐 때에도 보존되었음.
중국 , 유적>건물>사당
-
오자알(吳子遏) - 제번(諸樊)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오(吳) 나라의 제후. 오왕(吳王) 수몽(壽夢)이 아우 계찰(季札)이 현명하므로 임금으로 세우려 하였는데 적자(適子)가 왕위를 이어야 한다고 사양하여 즉위하였음. 합려(闔閭)의 아버지.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오자전(圬者傳) - 오자왕승복전(圬者王承福傳)
중국 당(唐) 나라의 학자인 한유(韓愈)가 지은 전(傳). 오자(圬者) 왕승복(王承福)을 빌어 고관을 풍자하는 내용을 담음.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오잠(鰲岑) - 금오산(金鰲山)@경주
경상도 경주에 있는 산. 남서쪽에 박혁거세 전설이 전해지는 있는 나정(蘿井)이 있고, 신라시대의 각종 문화재가 산재해 있음. 김시습(金時習)이 은거하며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은 곳으로 알려짐.
경상도>경주 , 지명>자연지명
-
오재(梧齋)@양만용 - 양만용(梁曼容)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양산축(梁山軸)의 아들이며, 강항(姜沆)ㆍ박동열(朴東說)의 문인.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의병을 일으켰으며, 청현직(淸顯職)을 두루 역임하고 영국원종공신(寧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598~165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오재(梧齋) - 신지제(申之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아주(鵝洲). 창원 부사(昌原府使)로 있을 때 명화적(明火賊)을 토평하고 민심을 안정시켜 그 공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1562~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오적(五籍) - 오경(五經)
유교의 중요한 다섯 가지 경서(經書). 일반적으로 《역경(易經)》ㆍ《서경(書經)》ㆍ《시경(詩經)》ㆍ《예기(禮記)》ㆍ《춘추(春秋)》를 가리키며, 공자(孔子)가 편찬 및 저술에 관계했다고 하여 특히 존중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오전(五典) - 오경(五經)
유교의 중요한 다섯 가지 경서(經書). 일반적으로 《역경(易經)》ㆍ《서경(書經)》ㆍ《시경(詩經)》ㆍ《예기(禮記)》ㆍ《춘추(春秋)》를 가리키며, 공자(孔子)가 편찬 및 저술에 관계했다고 하여 특히 존중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오정(梧亭) - 박난(朴蘭)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박원량(朴元亮)의 아들이고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으로, 1543년(중종 38)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첨정(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