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오추(烏騅) - 오추마(烏騅馬)
중국 진(秦) 나라 말기의 무장(武將)인 항우(項羽)가 타던 애마(愛馬) 이름. 적토마(赤兎馬)와 함께 준마(駿馬)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며, 시(詩)의 소재로도 자주 쓰임.
중국>진 , 중국 , 자연물>동물
-
오칠(五七) - 동인지문(東人之文)
고려 후기의 학자 최해(崔瀣)가 편찬한 시문집(詩文集). 신라 최치원(崔致遠)으로부터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까지 명가(名家)의 작품들을 모아 엮음.
1338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오칠군왕(吳七郡王) - 오거(吳琚)
중국 송(宋)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서법가. 변량(汴梁) 사람으로 관직은 지강릉부(知江陵府)ㆍ판건강부(判建康府)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오칭(吳偁) - 오경(吳儆)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문인. 형 오부(吳俯)와 함께 학문과 문장으로 이름을 날려 '강동이오(江東二吳)'로 불렸으며, 안무도감(安撫都監) 등을 지냄.
1125~118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오타운(五朶雲) - 오운체(五雲體)
아름다운 서체(書體)를 뜻함. 중국 당(唐) 나라의 문인인 위척(韋陟)이 서찰(書札)을 쓸 때 시첩(侍妾)에게 쓰도록 모두 맡기고 자신은 서명(署名)만 하였는데, 그렇게 스스로 쓴 이름이 오색 구름처럼 아름답다고 자칭한 데서 온 말임.
중국>당 , 중국 , 사상>기법>방법
-
오태백(吳太伯) - 태백(太伯)
중국 주(周) 나라 태왕(太王)의 맏아들. 태왕이 셋째 아들인 왕계(王季)에게 전위(傳位)하려 하자, 동생 중옹(仲雍)과 함께 형만(荊蠻)으로 들어가 그들의 습속을 따라 몸에 문신을 하고 머리를 짧게 깎아 왕계에게 후계자의 자리를 양보함. 무왕(武王)이 천하를 통일한 다음 그의 자손을 오(吳) 나라에 봉해 줌.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오태서원(吳泰書院) - 오산서원(吳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인동(仁同)에 창건한 서원. 1574년(선조 7)에 지방 유림의 건의로 창건하여 야은(冶隱) 길재(吉再)를 배향함. 현재는 경상북도 구미시(龜尾市)에 속함.
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인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오토(於菟) - 호(虎)
호랑이. 민속(民俗)에서 잡귀(雜鬼)를 물리치고 효(孝)와 보은(報恩)의 동물로 묘사되는 등 신수(神獸)로 일컬어짐.
자연물>동물
-
오패(五伯) - 춘추오패(春秋五覇)
중국 춘추시대에 강력한 세력을 지녔던 5인의 패자(覇者). 《순자(荀子)》에서는 제(齊) 나라 환공(桓公), 진(晉) 나라 문공(文公), 초(楚) 나라 장왕(莊王), 오왕(吳王) 합려(闔閭), 월왕(越王) 구천(勾踐)을 꼽았으나, 서책에 따라 차이가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핵심어
-
오패(五覇) - 춘추오패(春秋五覇)
중국 춘추시대에 강력한 세력을 지녔던 5인의 패자(覇者). 《순자(荀子)》에서는 제(齊) 나라 환공(桓公), 진(晉) 나라 문공(文公), 초(楚) 나라 장왕(莊王), 오왕(吳王) 합려(闔閭), 월왕(越王) 구천(勾踐)을 꼽았으나, 서책에 따라 차이가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핵심어
-
오폐제(吳廢帝) - 폐제(廢帝)@삼국(오)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252~258. 대제(大帝: 손권(孫權))의 막내아들. 맏형 손등(孫登)이 죽은 후 태자가 되어 제갈각(諸葛恪) 등의 옹립으로 즉위하였으나, 손준(孫峻) 등에게 실권을 빼앗겨 결국 폐위되었으며, 후에 자살함.
243~26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오포(吳浦) - 오포(烏浦)
경상도 영덕(盈德)의 남쪽에 있던 포구 이름. 만호(萬戶)를 설치하여 병선(兵船)을 정박시켰으나, 수세(水勢)가 매우 사납고 모래가 해구(海口)를 메워 폐지됨.
경상도>영덕 , 지명>행정지명
-
오풍(五楓) - 이유경(李有慶)@이해의증손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이해(李蟹)의 증손으로, 나주(羅州)의 영강서원(榮江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문사>학자
-
오하몽(吳下蒙) - 여몽(呂蒙)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오(吳) 나라의 명장. 주유(周瑜)ㆍ정보(程普) 등과 함께 적벽(赤壁)에서 조조(曹操)의 군대를 크게 격파함.
178~21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오한(五恨) - 박성건(朴成乾)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박언(朴彦)의 아들로, 1472년(성종 3)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적(典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오한거사(五恨居士) - 박성건(朴成乾)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박언(朴彦)의 아들로, 1472년(성종 3)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적(典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오한당(五寒堂) - 박희철(朴希哲)
조선 전기의 유학. 고청(孤靑) 서기(徐起)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유학
-
오행(五行) - 권오행(權五行)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예천(醴泉). 무오사화(戊午士禍)로 동생 권오복(權五福)이 처형되던 해에 문과에 급제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오행총괄(五行總括) - 오행총괄(五行摠括)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인 서거정(徐居正)의 저서. 세조의 명으로 녹명(祿命)에 대한 궁리(窮理)를 위해 지음.
146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오헌(梧軒) - 탁도집(卓道集)
고려 전기의 문신. 광산탁씨(光山卓氏)의 시조인 탁지엽(卓之葉)의 둘째 아들로,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