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옥녀(玉女) - 직녀(織女)
한국ㆍ중국ㆍ일본에 전래되는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의 여자 주인공. 견우(牽牛)와 만나느라 베 짜는 일을 게을리 한 벌로 은하수(銀河水)를 사이에 두고 헤어지게 되었는데, 칠월 칠석(七夕)에야 오작교(烏鵲橋)를 통해 한 번 만난다 함.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옥노(玉奴)@양귀비 - 양귀비(楊貴妃)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의 비(妃). 본래 현종의 아들인 이모(李瑁)의 비로 궁에 들어왔으나 현종의 사랑을 받아 현종의 비가 됨. 오빠인 양국충(楊國忠)과 함께 정사를 전횡하다가 안사(安史)의 난(亂) 때 국난 초래를 문책받아 죽음.
719~75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옥노(玉奴) - 반비(潘妃)
중국 남북조시대 제(齊) 나라 동혼후(東昏侯)의 비(妃). 용모는 아름다웠으나 사치스럽고 무절제하여 나라를 망하게 함. 전족(纏足)으로 황금의 연꽃 위를 걸었다는 일화가 전해지며, 이로써 전족을 금련(金蓮)이라 부르게 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옥당(玉堂) - 홍문관(弘文館)
조선 세조(世祖) 때 설치한 궁중의 경서(經書)ㆍ사적(史籍)의 관리, 문한(文翰)의 처리 및 왕의 자문에 응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사헌부(司憲府)ㆍ사간원(司諫院)과 함께 삼사(三司)라고 불림.
146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관청
-
옥당(玉堂)@우계 - 우계(羽溪)
강원도 강릉(江陵) 남쪽 60리 지점에 있던 고을 이름. 통일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삼척(三陟)에 속하였다가 고려 현종(顯宗) 때 강릉의 속현이 되었으며, 현재 강릉시 옥계면(玉溪面) 일대에 속함.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
-
옥당부수(玉堂副守) - 이수장(李壽長)@이의손의아들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현손이자, 연강수(連江守) 이의손(李義孫)의 아들이며, 안처겸(安處謙)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옥당선(玉堂仙) - 이덕형(李德馨)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과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 삭직되었으며, 남인(南人)과 북인(北人)의 중간 노선을 지키다가 남인에 가담함. 이항복(李恒福)과 절친한 사이였으며, 포천 용연서원(龍淵書院)에 배향됨.
1561~161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옥동(玉洞)@문익성 - 문익성(文益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생원(生員) 문옹(文翁)의 아들. 조식(曺植)ㆍ주세붕(周世鵬)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에게 《대학(大學)》의 요지를 배우고, 나주 목사(羅州牧使)ㆍ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526~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옥동산인(玉洞仙人) - 문익성(文益成)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생원(生員) 문옹(文翁)의 아들. 조식(曺植)ㆍ주세붕(周世鵬)의 문인으로 이황(李滉)에게 《대학(大學)》의 요지를 배우고, 나주 목사(羅州牧使)ㆍ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지냄.
1526~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옥동선생문집(玉洞先生文集) - 옥동집(玉洞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문익성(文益成)의 문집. 2권 1책. 목판본. 1873년(고종 10)에 후손 문경순(文景純)ㆍ문욱순(文郁純) 등이 간행함.
187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옥동선생집(玉洞先生集) - 옥동집(玉洞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문익성(文益成)의 문집. 2권 1책. 목판본. 1873년(고종 10)에 후손 문경순(文景純)ㆍ문욱순(文郁純) 등이 간행함.
187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옥란화(玉蘭花) - 목련(木蓮)
목련과(木蓮科)의 낙엽교목(落葉喬木). 꽃눈이 붓을 닮아서 목필(木筆)이라고도 하고, 꽃봉오리가 피려고 할 때 끝이 북녘을 향한다고 해서 북향화라고 함. 꽃이 아름다워 《양화소록(養花小錄)》의 〈화목구등품제(花木九等品第)〉에서는 7등에 속해 있음.
자연물>식물
-
옥량(王良) - 백락(伯樂)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 때의 인물. 방구인(方九堙)의 추천으로 목공(穆公)의 말을 관리하였으며, 천리마(千里馬) 감정의 달인으로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옥려(玉礪) - 김옥려(金玉礪)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김해(金海). 선무랑(宣務郞) 김보중(金寶重)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문사>유학
-
옥룡자(玉龍子) - 도선(道詵)
통일신라 문성왕(文聖王)~효공왕(孝恭王) 때의 승려. 15세에 출가하여 23세 때 천도사(穿道寺)에서 구족계를 받고, 전라도 백계산(白鷄山) 옥룡사(玉龍寺)에서 후학들을 가르치다 죽음.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의 대가로 더욱 유명함.
827~898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영암 , 인명>종교인>승려
-
옥루(玉樓) - 백옥루(白玉樓)
상제(上帝)가 지었다는 천상의 누각(樓閣) 이름. 문인(文人)이 죽어서 가는 곳으로, 중국 당(唐) 나라 때의 시인인 이하(李賀)가 백옥루의 기문(記文)을 지었다고 전함.
중국 , 유적>건물>누정
-
옥립(玉立) - 탁지엽(卓之葉)
고려 선종(宣宗) 때의 문신. 광산탁씨(光山卓氏)의 시조로, 선종 때 학업(學業)과 경술(經術)로 천거되어 태사(太師) 등을 지내고, 광산군(光山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옥마(玉馬) - 봉화(奉化)
경상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경관이 빼어난 고산준령으로 이루어졌으며, 안동문화권에 속하는 문향(文鄕).
경상도>봉화 , 지명>행정지명
-
옥마금씨(玉馬琴氏) - 봉화금씨(奉化琴氏)
고려 초의 삼한공신(三韓功臣)인 태사(太師) 금용식(琴容式)을 시조로 하는 성씨. 기자(箕子)와 함께 우리나라에 온 금응(琴應)을 원조(遠祖)로 함.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집단>성씨
-
옥모(玉貌) - 노중련(魯仲連)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齊) 나라의 학자. 언변이 뛰어났으며 명예와 부를 경시하고 명예를 높이 여겨 의를 추구한 선비의 상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