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극결(郤缺)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진(晉) 나라의 대부. 기읍(冀邑)에서 농사를 짓고 살면서 부부간에 서로 공경하기를 손님을 대하듯이 했는데, 구계(臼季)의 천거를 받아 하군대부(下軍大夫)가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극극(郤克)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대부(大夫).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극부(克符)
조선 중종(中宗) 때의 승려. 《충암집(冲庵集)》에 김정(金淨)이 써준 서문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극지(郤至)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진(晉) 나라의 장수. 경공(景公) 때 온대부(溫大夫)가 되었기에 온계(溫季)라고도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극호(克浩)
조선 전기의 승려. 인흥사(仁興寺)의 승려로 산수(山水)를 잘 그림.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종교인>승려
-
근녕군(謹寧君)
조선 제3대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 신빈신씨(信嬪辛氏)의 소생으로,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가담하지 않고 관악산(冠岳山) 연주대(戀主臺)에 올라 14일간 절식하며 통곡함.
1411~146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근빈박씨(謹嬪朴氏)
조선 제7대 세조(世祖)의 후궁. 본관은 선산(善山).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어머니. 연산군 때 나이 80세로 여승이 되어 자수궁(慈壽宮)에 거처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근사록(近思錄)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희(朱熹)가 제자인 여조겸(呂祖謙)과 함께 주돈이(周敦頤)ㆍ정호(程顥)ㆍ정이(程頤)ㆍ장재(張載)의 저서나 어록에서 학문의 중심 문제들과 일상생활에 요긴한 장구(章句) 622조목을 뽑아 편집한 책. 성리학(性理學)의 입문서.
117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근사록석의(近思錄釋疑)
조선 후기의 학자인 정엽(鄭曄)이 《근사록(近思錄)》의 어려운 부분을 주석(注釋)하고 제설(諸說)을 모은 책.
166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근사록주(近思錄註)
중국 송(宋) 나라 학자인 요로(饒魯)가 《근사록(近思錄)》에 주석(註釋)한 책.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
중국 송(宋) 나라 학자인 섭채(葉菜)가 《근사록(近思錄)》에 대한 제설(諸說)을 모아 편찬한 책.
1248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근사재일고(近思齋逸藁)
고려 후기의 문신ㆍ시인인 설손(偰孫)의 문집. 아들 설장수((偰長壽)가 초고 7책을 13권으로 분류하였으나 홍구(紅寇)의 난리 때 소실됨. 1359년(공민왕 8)에 기억나는 것을 기록하여 두 질(秩)로 만들었으나 간행하지 못함.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근시재집(近始齋集)
조선 전기의 학자인 김해(金垓)의 시문집. 1708년(숙종 34) 증손 김석윤(金錫胤)이 수습한 것을 4권 2책으로 간행함.
178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근암서원(近嵒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경상도 상주에 건립한 서원. 1544년(중종 39) 영천자(靈川子) 신잠(申潛)이 근암서당(近嵒書堂)을 설립한 뒤 1665년(현종 6) 홍언충(洪彦忠)을 배향하여 향현사(鄕賢祠)가 되었으며, 1669년(현종 10) 이덕형(李德馨)을 추배하여 서원으로 선액(宣額)됨. 홍여하(洪汝河)ㆍ김홍민(金弘敏)ㆍ권상일(權相一) 등을 추배함. 현재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에 속함.
166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근유당수록(勤有堂隨錄)
중국 원(元) 나라 학자인 진역(陳櫟)이 저술한 책.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근재집(謹齋集)
고려 후기의 학자인 안축(安軸)의 문집. 강원도 존무사(江原道存撫使)로 나갔을 때 지은 시문집 관동와주(關東瓦注)를 사위인 정양생(鄭陽生)이 청주에서 간행함.
1364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문헌>서명
-
금(金)
여진족(女眞族)인 완안부(完顔部)의 추장 아골타(阿骨打)가 세운 중국의 정복 왕조(征服王朝). 9대 120년간 존속.
1115~1234 중국>금 , 중국 , 시간>국명
-
금간(琴衎)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금치담(琴致湛)의 아버지로 성주 판관(星州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금강(錦江)
전라북도 장수(長水)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군산만(群山灣)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 6대 하천의 하나.
전라도>장수 , 지명>자연지명
-
금강경(金剛經)
인도에서 2세기에 성립된 공(空) 사상의 기초가 되는 반야경전(般若經典). 사위국을 배경으로 석존이 제자 수보리를 위해 설한 경전으로, 공혜(空慧)로서 체(體)를 삼고 일체법 무아(無我)의 이치를 말한 것을 요지로 함. 중국에서 구마라습(鳩摩羅什)에 의해 번역됨.
고대 , 기타지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