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온계군(溫溪君) - 정유(鄭裕)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춘추관 기사관(春秋館記事官)으로서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편찬에 참여하고, 삼사(三司)를 두루 거쳐 오랫동안 경연(經筵)에서 강론함.
1503~156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온계리사(溫溪里社) - 청계서원(淸溪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경상도 온계(溫溪)에 건립된 서원. 이식(李埴)ㆍ이우(李堣)ㆍ이해(李瀣) 등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배향함.
166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온계야일(溫溪野逸) - 이해(李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대사헌(大司憲) 때 권신 이기(李芑)의 우의정 임용을 반대하다 탄핵되었으며, 무고 사건에 연좌된 구수담(具壽聃)의 일파로 몰려 귀양가던 도중 양주(楊州)에서 병사함.
1496~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온계자(溫季子) - 극지(郤至)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진(晉) 나라의 장수. 경공(景公) 때 온대부(溫大夫)가 되었기에 온계(溫季)라고도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온고(溫古) - 성종(成宗)@고려
고려 제6대 왕. 재위 981~991. 중앙에 3성(省) 6부(府)를 설치하고, 지방에 12목(牧)과 10도(道)를 설치하여 유교정치 이념에 의한 중앙집권적 정치체제를 마련함.
960~997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온고(溫古)@이진 - 이진(李瑱)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아버지. 정당문학(政堂文學)ㆍ검교첨의정승(檢校僉議政丞) 등을 지내고, 제자백가(諸子百家)를 섭렵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남.
1244~132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온공(溫公) - 사마광(司馬光)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구법당(舊法黨)의 영수로, 왕안석(王安石) 일파의 신법(新法)을 폐지하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저술함.
1019~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온공서의(溫公書儀) - 서의(書儀)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사마광(司馬光)이 지은 예서(禮書). 10권. 고례(古禮)에 근본하고 당시에 행할 만한 것을 참작하여 만든 책으로, 주희(朱熹)가 지은 《가례(家禮)》의 저본(底本)이 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온교(溫嶠)@김온교 - 김온교(金溫嶠)
조선 세종(世宗) 때의 학자. 허백정(虛白亭) 홍귀달(洪貴達)의 외종숙(外從叔)으로, 홍귀달이 그 문하에서 수학하였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문사>학자
-
온국(溫國) - 사마광(司馬光)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구법당(舊法黨)의 영수로, 왕안석(王安石) 일파의 신법(新法)을 폐지하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저술함.
1019~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온국공(溫國公) - 사마광(司馬光)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구법당(舊法黨)의 영수로, 왕안석(王安石) 일파의 신법(新法)을 폐지하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저술함.
1019~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온국선사(溫國先師) - 사마광(司馬光)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구법당(舊法黨)의 영수로, 왕안석(王安石) 일파의 신법(新法)을 폐지하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저술함.
1019~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온궤(韞匱) - 허공(許珙)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윤극민(尹克敏)의 사위로, 최령(崔寧)ㆍ원부(元傅)와 함께 ‘정방삼걸(政房三傑)’로 불림. 원부ㆍ한강(韓康)과 함께 《고금록(古今錄)》을 편찬했으며, 1291년(충렬왕 17) 원(元) 나라와 함께 합단(哈丹) 공격에 출전했다가 병사함.
1233~129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관인>문신
-
온기(溫岐) - 온정균(溫庭筠)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과거장에서 여덟 번 팔짱을 끼니 팔운시(八韻詩)가 완성되었기에 온팔차(溫八叉)라 불림. 염시(艶詩)를 많이 지었으며, 사(詞)와 악부(樂府)에도 뛰어남. 당시 이상은(李商隱)과 함께 온이(溫李)로 병칭됨.
812~8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온릉(溫陵) - 단경왕후(端敬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비(妃). 본관은 거창(居昌). 익창부원군(益昌府院君) 신수근(愼守勤)의 딸로, 중종반정(中宗反正) 직후 폐위(廢位)되었다가 영조(英祖) 때 복위(復位)됨.
1487~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온릉(穩陵) - 헌종(獻宗)@고려
고려 제14대 왕. 재위 1094~1095. 선종(宣宗)의 아들로, 어머니는 사숙태후(思肅太后) 이씨(李氏). 즉위 후 신병(身病)으로 인해 왕위를 숙부인 숙종(肅宗)에게 물려준 뒤, 후궁에서 지내다가 14세에 요절함.
1084~1097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온릉성후(溫陵聖后) - 단경왕후(端敬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비(妃). 본관은 거창(居昌). 익창부원군(益昌府院君) 신수근(愼守勤)의 딸로, 중종반정(中宗反正) 직후 폐위(廢位)되었다가 영조(英祖) 때 복위(復位)됨.
1487~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온문(溫文) - 덕종(德宗)@조선
조선 세조(世祖)의 아들. 1455년(세종 27) 도원군(桃源君)에 봉해지고 1455년(세조 1)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하기 전에 병사함. 1471년(성종 2) 덕종으로 추존(追尊)됨.
1438~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온보(溫甫) - 김선(金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원주 목사(原州牧使)를 지낸 김태경(金泰卿)의 아들. 대사성(大司成)ㆍ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온사마(溫司馬) - 사마광(司馬光)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학자. 구법당(舊法黨)의 영수로, 왕안석(王安石) 일파의 신법(新法)을 폐지하고,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저술함.
1019~108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