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온창(溫昌) - 온양(溫陽)
충청남도 동북부에 있던 고을 이름. 대표적인 온천지로, 조선 세조(世祖)가 자주 온천욕을 즐겼는데, 어느 날 신천(神泉)에서 찬물이 솟아오르자 길조라 여겨 ‘신정(神井)’이란 이름을 하사하고 그 자리에 비를 세웠다고 함. 지금은 충청남도 아산시(牙山市)에 속함.
충청도>온양 , 지명>행정지명
-
온창백(溫昌伯) - 표인려(表仁呂)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신창표씨(新昌表氏)의 중시조. 합문지후(閤門祗候)ㆍ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충숙왕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온산백(溫山伯)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온처사(溫處士) - 온조(溫造)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온길(溫佶)의 아들로, 흥원군(興元軍)을 평정한 공로로 산남서도 절도사(山南西道節度使)가 되었으며,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냄.
766~83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온천부원군(溫泉府院君) - 방언휘(方彦暉)
고려 후기의 문신. 충목왕(忠穆王)의 장인이며 방순(方恂)의 아버지로, 직제학(直提學)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온침(溫寢) - 단경왕후(端敬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비(妃). 본관은 거창(居昌). 익창부원군(益昌府院君) 신수근(愼守勤)의 딸로, 중종반정(中宗反正) 직후 폐위(廢位)되었다가 영조(英祖) 때 복위(復位)됨.
1487~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온팔차(溫八叉) - 온정균(溫庭筠)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과거장에서 여덟 번 팔짱을 끼니 팔운시(八韻詩)가 완성되었기에 온팔차(溫八叉)라 불림. 염시(艶詩)를 많이 지었으며, 사(詞)와 악부(樂府)에도 뛰어남. 당시 이상은(李商隱)과 함께 온이(溫李)로 병칭됨.
812~8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올출(兀朮) - 완안종필(完顔宗弼)
중국 금(金) 나라 태조(太祖)의 넷째 아들. 태사도원수(太師都元帥) 등을 지냈으며, 군사를 이끌고 장강(長江)을 건너 악비(岳飛)ㆍ한세충(韓世忠) 등 송(宋) 나라의 명장들과 사투를 벌였고, 영토를 확장하는 데 공을 세음.
?~1148 중국>금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옹(滃) - 이옹(李滃)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며, 회원군(會原君) 이쟁(李崢)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옹(邕) - 허옹(許邕)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성품이 강직하여 과거에 부정 합격한 감찰대부(監察大夫) 최안도(崔安道)의 아들 최경(崔璟)을 탄핵하고, 그의 첩장(牒狀)에 서명하기를 거부함.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이색(李穡)과 교유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단성 , 인명>관인>문신
-
옹(雍)@정옹 - 정옹(鄭雍)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지평(持平) 정종주(鄭宗周)의 아버지. 1417년(태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집현전 응교(集賢殿應敎)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옹(雍) - 이옹(李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승사랑(承仕郞) 이극인(李克仁)의 아들로, 1569년(선조 2)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옹원 정(司饔院正) 등을 지냄.
153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옹(顒)@박옹 - 박옹(朴顒)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1568년(선조 1)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여 장단 부사(長湍府使)를 지냄.
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옹(顒) - 김옹(金顒)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전력(展力) 김삼산(金三山)의 아들로, 1519년(중종 14)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成均館典籍)을 지냄.
14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옹문(雍門) - 옹문주(雍門周)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악공. 거문고의 명인(名人)으로, 언설(言說)에도 능하여 맹상군(孟嘗君)이 그의 말을 듣고 눈물을 흘리고 거문고 연주를 듣고서 구슬픈 마음을 가누지 못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
-
옹문자(雍門子) - 옹문주(雍門周)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악공. 거문고의 명인(名人)으로, 언설(言說)에도 능하여 맹상군(孟嘗君)이 그의 말을 듣고 눈물을 흘리고 거문고 연주를 듣고서 구슬픈 마음을 가누지 못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
-
옹문자주(雍門子周) - 옹문주(雍門周)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악공. 거문고의 명인(名人)으로, 언설(言說)에도 능하여 맹상군(孟嘗君)이 그의 말을 듣고 눈물을 흘리고 거문고 연주를 듣고서 구슬픈 마음을 가누지 못하였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음악인
-
옹배(甕醅)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옹백(雍伯) - 양옹백(楊雍伯)
중국 전한(前漢)의 효자. 낙양(洛陽) 출신으로, 물이 귀한 무종산(無終山)에서 음료를 제공하는 선행을 쌓은 끝에 선인(仙人)에게 돌멩이를 받아 남전(藍田)에 뿌렸더니 모두 옥(玉)으로 자라났으며, 그 옥을 캐어 아름다운 아내를 얻었다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옹성(瓮城) - 동복(同福)
전라도 화순(和順) 지역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전라도>화순 , 지명>행정지명
-
옹성(甕城) - 동복(同福)
전라도 화순(和順) 지역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전라도>화순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