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금강경(金剛經)
인도에서 2세기에 성립된 공(空) 사상의 기초가 되는 반야경전(般若經典). 사위국을 배경으로 석존이 제자 수보리를 위해 설한 경전으로, 공혜(空慧)로서 체(體)를 삼고 일체법 무아(無我)의 이치를 말한 것을 요지로 함. 중국에서 구마라습(鳩摩羅什)에 의해 번역됨.
고대 , 기타지역 , 문헌>서명
-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
조선 전기의 승려인 기화(己和)가 구마라습(鳩摩羅什)이 번역한 《금강경(金剛經)》에 대한 5명의 주석을 모은 책. 당(唐) 나라 종밀(宗密)의 찬요(纂要), 양(梁) 나라 부대사(傅大士)의 찬(贊), 당 나라 혜능(慧能)의 구결(口訣), 송(宋) 나라 야보(冶父)의 송(頌), 송 나라 종경(宗鏡)의 제강(提綱)을 합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금강경오가해설의(金剛經五家解說誼)
조선 전기의 승려인 기화(己和)가 《금강경(金剛經)》의 주석서인 《금강경오가해(金剛經五家解)》에 자신의 해석을 붙여 간행한 책. 세조(世祖) 때 동활자본으로 간행함.
145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금강록(金剛錄)@남효온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인 남효온(南孝溫)인 금강산을 유람하고 지은 기행록. 저자의 금강산 기행은 1485년(성종 16)에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금강록(金剛錄)@조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조욱(趙昱)의 금강산 기행록. 1531년(중종 26)에 금강산을 유람하고 지은 것으로, 《용문집(龍門集)》에 수록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금강록(金剛錄)@이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이원(李黿)의 잡저(雜著). 저자가 1493년(성종 24)에 파직된 후 금강산 일대를 유람하고 지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신라시대의 승려인 원효(元曉)가 《금강삼매경(金剛三昧經)》에 주석을 붙힌 책. 3권. 대승(大乘)의 진리를 논한 책으로, 대승불교의 지침서이며 원효의 사상이 집약되어 있음.
한국>통일신라 , 문헌>서명
-
금강전(錦江牋)
전라도 전주(全州)에서 생산되는 한지(韓紙)를 일컫는 말.
전라도>전주 , 물품>기타물품
-
금경의(琴景儀)
조선 전기의 유학. 금궁조(琴宮操)의 아버지로, 권호문(權好文)의 《송암집(松巖集)》에 아들 궁조의 자(字)를 청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금계(琴啓)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금회(琴淮)의 아들로, 어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벼슬에 나가지 않다가 음보(蔭補)로 천거되어 충무위 부장(忠武衛部將)ㆍ군위 현감(軍威縣監) 등을 역임함.
1439~149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무신
-
금계(錦溪)
경상북도 풍기에 있는 고을 이름. 예로부터 인삼과 사과가 유명함. 현재 지명은 금계(錦鷄).
경상도>풍기 , 지명>행정지명
-
금계사(金溪寺)
황해도 토산현(兎山縣) 학봉산(鶴峰山) 안에 있던 사찰. 조선 명종(明宗) 때 승려인 상주(尙珠)가 머물렀던 곳임.
황해도>토산 , 유적>건물>사찰
-
금계사(金溪祠)
전라도 장흥(長興)에 있던 사당.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인 이문화(李文和)를 배향함.
한국>조선시대 , 전라도>장흥 , 유적>건물>사당
-
금계집(錦溪集)
조선 전기의 문신인 황준량(黃俊良)의 문집. 손여성(孫汝誠)이 단양 군수(丹陽郡守)에 있을 때 저자의 동생 황수량(黃秀良)과 함께 유집을 수습하여 목판으로 간행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문헌>서명
-
금고(琴高)
중국 주(周) 나라의 도사. 거문고를 잘 탔으며, 탁수(涿水)에서 잉어를 타고 나왔다가 한 달을 머무른 뒤 신선이 되어 돌아갔다고 함.
중국>주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금곡원(金谷園)
중국 하남성(河南省) 낙양현(洛陽縣)에 석숭(石崇)이 지은 별장 이름. 진(晉) 나라 거부인 석숭(石崇)이 이곳에서 자주 잔치를 베풀었다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유적>건물>기타건물
-
금광명경(金光明經)
불교 경전(經典)의 하나. 법성중도(法性中道)의 이치를 설명함. 이 경문을 읽고 수행하면 여러 불보살(佛菩薩)이나 선신(善神)의 가호를 받는다고 함. 북량(北凉)의 담무참(曇無讖)이 한역(漢譯)하였는데, 《인왕경(仁王經)》ㆍ《법화경(法華經)》과 함께 호국삼부경(護國三部經)으로 칭함.
기타지역 , 문헌>서명
-
금교도(金橋圖)
중국 당(唐) 나라의 화가인 오도현(吳道玄)이 그린 그림. 태산(泰山)에서 돌아오는 당 현종(玄宗)의 가마가 금교(金橋)에 도착했을 때 수십리에 걸쳐 시위하는 행렬을 묘사함.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금구대첩(金溝大捷)
1597년(선조 30) 2월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남하하는 왜군을 명(明) 나라 장수 형개(刑玠) 등이 금구(金溝)와 김제(金堤)에서 대파한 싸움.
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김제ㅣ전라도>금구 , 사건>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