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이축 - 이축(李軸)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안악 군수(安岳郡守) 시절 한준(韓準)ㆍ박충간(朴忠侃)ㆍ한응인(韓應寅) 등과 함께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을 고변하여 병조 정랑(兵曹正郞)이 되고, 평난공신(平難功臣)에 책록됨.
1538~161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산유씨(完山柳氏) - 전주유씨(全州柳氏)
문화유씨(文化柳氏)에서 분적(分籍)된 계통으로, 유차달(柳車達)을 시조로 삼고 고려 말에 완산백(完山伯)에 추봉된 유습(柳濕)을 일세조(一世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집단>성씨
-
완산이씨(完山李氏) - 전주이씨(全州李氏)
신라 때 사공(司空)을 지낸 이한(李翰)을 시조로 하는 성씨. 조선시대의 국성(國姓).
한국>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집단>성씨
-
완산최씨(完山崔氏) - 전주최씨(全州崔氏)
고려시대의 인물인 최순작(崔純爵)ㆍ최군옥(崔群玉)ㆍ최균(崔均)ㆍ최아(崔阿)를 각각의 시조로 삼아, 동본이면서도 계보를 달리하는 네 계통을 아울러 일컫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집단>성씨
-
완생(阮牲) - 완적(阮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인ㆍ학자ㆍ문신.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일원이며, 노장(老莊)의 학문을 연구하였으나 정계에서 물러난 후 술과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냄.
210~26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완선(阮宣) - 완적(阮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인ㆍ학자ㆍ문신. 죽림칠현(竹林七賢)의 일원이며, 노장(老莊)의 학문을 연구하였으나 정계에서 물러난 후 술과 청담(淸談)으로 세월을 보냄.
210~263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완선군(完善君) - 이의전(李義傳)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이원익(李元翼)의 장남으로,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인조를 호종하고 완선군(完善君)에 봉해졌으며, 봉조하(奉朝賀)에 들음.
1568~164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관인>문신
-
완성군(完城君)@영성대군 - 영성대군(永城大君)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형. 환조(桓祖) 이자춘(李子春)과 의혜왕후(懿惠王后) 사이의 장남. 성리학에 조예가 깊어 길재(吉再)ㆍ정몽주(鄭夢周) 등과 교유하며 경리(經理)를 강론(講論)함.
1333~1392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영흥 , 인명>왕실>종친
-
완성군(完城君) - 설장수(偰長壽)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정종(定宗) 때의 문신ㆍ귀화인. 원래 회골(回鶻) 사람으로 고려에 귀화한 후 공양왕(恭讓王) 옹립에 공을 세움. 정몽주(鄭夢周)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조선 개국 후 복직되어 여러 차례 중국에 사신으로 다녀옴.
1341~139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성군(完城君)@이백유 - 이백유(李伯由)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으로,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정도전(鄭道傳)의 일파로 지목되어 관작과 공신의 칭호를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가 죽음.
?~139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성군(莞城君) - 이귀정(李貴丁)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증손으로, 신종군(新宗君) 이효백(李孝伯)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최명길 - 최명길(崔鳴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가담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병자호란 때 주화론(主和論)을 주장하며 전란 후 피폐한 정국 안정에 힘씀.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586~164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 - 이백유(李伯由)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으로,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제1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정도전(鄭道傳)의 일파로 지목되어 관작과 공신의 칭호를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가 죽음.
?~139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완소(翫所) - 기로소(耆老所)
조선시대에 나이가 많은 임금이나 70세가 넘은 고위 문신(文臣)들을 예우(禮遇)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1394 한국>조선시대 , 법제>관청
-
완안(完顔) - 금(金)
여진족(女眞族)인 완안부(完顔部)의 추장 아골타(阿骨打)가 세운 중국의 정복 왕조(征服王朝). 9대 120년간 존속.
1115~1234 중국>금 , 중국 , 시간>국명
-
완안국(完顔國) - 금(金)
여진족(女眞族)인 완안부(完顔部)의 추장 아골타(阿骨打)가 세운 중국의 정복 왕조(征服王朝). 9대 120년간 존속.
1115~1234 중국>금 , 중국 , 시간>국명
-
완안량(完顔亮) - 해릉왕(海陵王)
중국 금(金) 나라 제4대 왕. 재위 1149~1161. 태조(太祖)의 장남인 완안종간(完顔宗幹)의 아들로, 사촌인 희종(熙宗)을 시해하고 제위(帝位)에 올랐으며, 중국 통일을 위해 남송(南宋)을 공격하였다가 실패하고 부하에게 시해됨.
1122~1161 중국>금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연(鍊) - 김련(金鍊)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화평(化平). 찬성사(贊成事) 김지숙(金之淑)의 아들로,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냄. 행동이 법도에 어긋나지 않아 장자(長者)로 칭송받음.
?~127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연(鍊)@심연 - 심연(沈鍊)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우참찬(右參贊) 심광언(沈光彦)의 아들. 양천 현감(陽川縣監)ㆍ여산 군수(礪山郡守) 등을 지내며 선정(善政)을 베풀어 여러 차례 포상을 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연(𤦷) - 왕연(王𤦷)
고려 후기의 종친. 경화옹주(敬和翁主)의 아버지이며, 당성부원군(唐城府院君) 홍빈(洪彬)의 장인.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