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연명(然明) - 종명(鬷明)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대부. 외모가 매우 못생겼으나 훌륭한 재능을 지니고 있어 진(晉) 나라의 대부 양설힐(羊舌肹)이 그의 목소리만 듣고도 종명임을 간파했다는 고사가 전해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연명집(淵明集) - 도연명집(陶淵明集)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동진(東晉)의 시인인 도잠(陶潛)의 시문집(詩文集). 귀거래사(歸去來辭)ㆍ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ㆍ음주이십수(飮酒二十首) 등 많은 명작이 실려 있음. 8권
중국 , 문헌>서명
-
연무(淵武) - 환조(桓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아버지. 도조(度祖) 이춘(李椿)의 아들로, 공민왕 때 공을 세워 삭방도 만호 겸 병마사(朔方道萬戶兼兵馬使)로 임명됨. 태조가 등극하자 환왕(桓王)으로, 태종(太宗) 때 다시 환조(桓祖)로 추존됨.
1315~1360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영흥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국왕
-
연방(蓮坊)@이준경 - 이준경(李浚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선조 때 신진 사류(新進士類)와 기성 사류(旣成士類) 사이의 알력을 조정하려다가 신진 사류의 정적(政敵)이 되어 공격을 받음.
149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연방(蓮坊) - 이구(李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종친ㆍ학자.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증손으로, 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주기설(主氣說)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157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왕실>종친
-
연방노인(蓮坊老人) - 이준경(李浚慶)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선조 때 신진 사류(新進士類)와 기성 사류(旣成士類) 사이의 알력을 조정하려다가 신진 사류의 정적(政敵)이 되어 공격을 받음.
1499~15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연보(淵甫) - 방회(方回)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문인. 《영규율수(瀛奎律髓)》 등을 편찬함.
1227~130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연복군(延福君) - 장말손(張末孫)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1459년(세조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해주 목사(海州牧使)ㆍ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1467년(세조 12)에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한 공로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녹훈되고, 권율(權慄)ㆍ조극치(曺克治)ㆍ채신보(蔡申保) 등과 교유함.
1431~14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인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봉(蓮峯) - 윤흥종(尹興宗)
조선 전기의 유학.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이정형(李廷馨)의 《지퇴당집(知退堂集)》에 옷감을 보내 준 그에게 사례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연봉서원(延鳳書院) - 천곡서원(川谷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성주(星州)에 건립된 서원. 1558년(명종 13) 창건되고, 1573년(선조 6)에 사액되었으며, 숙정자(叔程子)ㆍ주자(朱子)ㆍ김굉필(金宏弼)ㆍ이언적(李彦迪)ㆍ정구(鄭逑)ㆍ장현광(張顯光) 등을 배향함.
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연부(延府) - 연안(延安)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 도호부를 설치하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귀속됨.
황해도>연안 , 지명>행정지명
-
연부(鍊夫) - 이철견(李鐵堅)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공조 참판(工曹參判) 이연손(李延孫)의 아들로, 성종(成宗)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 등을 지냄.
1435~149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연빙당(淵氷堂) - 신석조(辛碩祖)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1426년(세종 8)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개성 유수(開城留守) 등을 지냄. 저서로 《연빙당집(淵氷堂集)》이 있음.
1407~14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연사(淵師) - 도잠(陶潛)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나라의 시인. 자연을 노래한 시가 많으며, 당(唐) 나라 이후로 육조(六朝) 최고의 시인으로 불림.
365~42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연사(練祀) - 연제(練祭)
상례(喪禮)의 일종으로, 소상(小祥)을 앞당겨 치루는 것을 말함. 아버지가 생존해 있는데 어머니가 먼저 죽었을 경우, 1년 만에 지내는 소상을 11개월 만에 지냄.
법제>의례>가례
-
연사(蓮寺) - 연대사(蓮臺寺)
경상도 안동(安東) 청량산(淸涼山)에 있는 사찰. 통일신라시대 김생(金生)이 친필로 쓴 불경(佛經)이 많이 소장되어 있었으며, 이황(李滉)이 즐겨 찾은 장소로 이름남.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찰
-
연사(蓮社) - 백련사(白蓮社)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승려 혜원(慧遠)이 여러 승도(僧徒) 및 명유(名儒)들과 함께 여산(廬山)의 동림사(東林寺)에서 정토왕생을 위한 염불수행을 도모하기 위해 조직한 신행결사(信行結社). 동림사 안에 백련(白蓮)을 많이 심었었으므로 백련사라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연삭(連朔) - 태천(泰川)
평안북도 남서쪽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영변(寧邊), 북쪽으로 삭주(朔州)를 접하고 있음.
평안도>태천 , 지명>행정지명
-
연산(燕山)@문의 - 문의(文義)
충청도 중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동쪽은 회인(懷仁), 남쪽은 회덕(懷德), 북쪽은 청주(淸州)와 접해 있으며, 송인수(宋麟壽) 등을 배향한 노봉서원(魯峯書院)이 있음. 현재는 충청북도 청주시(淸州市)에 속함.
충청도>문의 , 지명>행정지명
-
연산(燕山)@연연산 - 연연산(燕然山)
몽골 지역에 있는 산 이름.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인 두헌(竇憲)이 흉노(匈奴)를 격파하고 나서 이곳에 올라 공적비를 세움.
기타지역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