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연성군(蓮城君) - 이적(李𤁰)
조선 전기의 종친.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장남. 1469년(예종 1) 6세에 연성군에 봉해지고, 중종 때 종1품 가덕대부(嘉德大夫)가 되어 문소전(文昭殿)ㆍ연은전(延恩殿)ㆍ영경전(永慶殿)과 종친부 제조를 지냄.
1464~15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연성군(蓮城君) - 김정경(金定卿)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정종(定宗)의 부마인 김한(金澣)의 아버지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며, 개성부 유후(開城府留後) 등을 지냄.
1345~141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안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연성벽(連城璧) - 화씨벽(和氏璧)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변화(卞和)가 형산(荊山)에서 발견한 옥돌을 가공하여 얻은 보옥(寶玉)으로, 인재(人才)를 가리키는 말. 문왕(文王)만이 그 진가를 인정했으며, 진(秦) 나라 소양왕(昭襄王)이 15개의 성(城)과 맞바꾸려다가 인상여(藺相如)로 인해 실패했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이정화 - 이정화(李廷華)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기(李巙)의 아들로, 충좌위 부사용(忠佐衛副司勇)을 지냈으며, 아들인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이귀(李貴)의 공으로 인해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에 추봉됨.
1520~155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무신
-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이석형 - 이석형(李石亨)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회림(李懷林)의 아들이며, 김반(金泮)의 문인.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역대병요(歷代兵要)》ㆍ《치평요람(治平要覽)》등을 편찬함.
1415~147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이말정 - 이말정(李末丁)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이백겸(李伯謙)의 아들. 예빈시 소윤(禮賓寺少尹) 등을 지내고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에 추증되었으며, 문장(文章)에 능했음.
1395~14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이회림 - 이회림(李懷林)
조선 태조(太祖)~문종(文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이석형(李石亨)의 아버지. 대호군(大護軍)을 역임했으며, 좌의정(左議政)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에 추증(追贈)됨.
?~145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 박원형(朴元亨)
조선 세종(世宗)~예종(睿宗)의 문신. 세조(世祖) 때 좌익공신(佐翼功臣), 예종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함.
1411~146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성위(延城尉) - 김희(金禧)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 김안로(金安老)의 아들로 효혜공주(孝惠公主)와 혼인함. 작서(灼鼠)의 변(變)을 일으킴.
?~153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왕실>인척
-
연성이씨(延城李氏) - 연안이씨(延安李氏)
중국 당(唐) 나라 장수로 신라에 귀화하여 연안후(延安侯)에 봉해진 이무(李茂)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황해도>연안 , 인명>집단>성씨
-
연성정씨(延城鄭氏) - 연일정씨(延日鄭氏)
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때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낸 정종은(鄭宗殷)을 도시조(都始祖)로 하는 성씨. 지주사공파(知奏事公派)와 감무공파(監務公派)로 나뉨.
한국>신라 , 경상도>영일 , 인명>집단>성씨
-
연손(延孫) - 이연손(李延孫)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승(李昇)의 아들이며, 윤번(尹璠)의 사위. 세조가 즉위하자 상호군(上護軍)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공조 참판(工曹參判) 등을 지냄.
?~14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연손(演孫) - 송연손(宋演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불우헌(不憂軒) 정극인(丁克仁)의 문인으로, 중종의 잠저(潛邸) 시절에 사부(師傅)를 지냄. 신광한(申光漢)이 지은 신도비명(神道碑銘)이 있음.
1460~150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관인>문신
-
연수(延壽)@도연수 - 도연수(陶延壽)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송(宋) 때의 무신. 진 태위(晉太尉)를 지낸 장사공(長沙公) 도간(陶侃)의 5세손으로 작위를 세습 받음. 4세손인 도잠(陶潛)과 동시대에 살면서 교유하고, 자의참군(咨議參軍)을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연수(延壽)@초연수 - 초연수(焦延壽)
중국 전한(前漢) 때의 문신ㆍ학자. 소황령(小黃令)을 지냄. 맹희(孟喜)에게 《역(易)》을 배워 경방(京房)을 가르치고, 《역림(易林)》ㆍ《역림변점(易林變占)》을 저술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연수(延壽) - 이연수(李延壽)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증손이자, 청안군(淸安君) 이영(李嶸)의 맏아들이며, 노공필(盧公弼)의 외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연수(延壽)@배연수 - 배연수(裵延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장기(長鬐). 배세침(裵世忱)의 아버지로, 효행으로 인하여 참봉(參奉)에 제수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연수(延壽)@설연수 - 설연수(偰延壽)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귀화한 경주설씨(慶州偰氏)의 시조인 설손(偰孫)의 셋째 아들로, 벼슬이 추재(樞宰)에 이름.
한국>고려후기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연수(延壽)@조연수 - 조연수(趙延壽)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조인규(趙仁規)의 아들.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등을 지냈으며 충숙왕의 미움을 사 섬으로 유배됨.
1278~1325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연수(延壽)@김영수 - 김연수(金延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김종서(金宗瑞)의 외손이며, 청백리(淸白吏)로 이름이 남.
?~151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