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연지(延之) - 우무(尤袤)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ㆍ문신. 태상소경(太常少卿) 등의 벼슬을 역임했고, 범성대(范成大)ㆍ육유(陸游)ㆍ양만리(楊萬里) 등과 남송사가(南宋四家)라 칭송됨.
1127~120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연지(延之)@안연지 - 안연지(顔延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서시랑(中書侍郞) 등을 지내고, 유교(儒敎)와 불교(佛敎)에 통달하여 삼세인과(三世因果)의 설을 주장함. 문장에 뛰어나 사영운(謝靈運)과 함께 ‘안사(顔謝)’로 불림.
384~45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연지(演之)@하연 - 하연(河演)
조선 태조(太祖)~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불교의 일곱 종파를 선(禪)ㆍ교(敎) 양종으로 통합하고, 혁파된 사원의 토지와 노비를 국가에 환수하게 하였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문종(文宗)의 묘정에 배향됨.
1376~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연지(演之) - 최연(崔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최세건(崔世楗)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소윤(小尹)에 가담하여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동원군(東原君)에 봉해짐. 《무정보감(武定寶鑑)》을 편찬하고, 시문(詩文)에 능함.
1503~154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연지(衍之) - 정지연(鄭芝衍)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봉상시 정(奉常寺正)을 지낸 정유인(鄭惟仁)의 아들이며, 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 이황(李滉)의 추천으로 왕자사부(王子師傅)가 되고 직제학(直提學)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525~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연지(連枝) - 연리지(連理枝)
한 나무의 가지가 다른 나무의 가지와 연결되어 가지가 서로 얽힌 것으로, 부부의 애정이 지극함을 이르는 말.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 한빙(韓凭)과 그의 아내의 고사에서 유래하며, 백거이(白居易)의 시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연진(延津) - 연평진(延平津)
중국 복건성(福建省) 남평현(南平縣) 동쪽에 있었던 옛 나루 이름.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뇌환(雷煥)이 가지고 있던 용천검(龍泉劍)과 태아검(太阿劍)을 이곳에 빠뜨리자 용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연창군(延昌君)@박효수 - 박효수(朴孝修)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과거에 급제하여 동지공거(同知貢擧)ㆍ밀직부사(密直副使) 등을 지내고, 윤혁(尹奕) 등과 교유함.
?~137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연창군(延昌君) - 안맹담(安孟耼)
조선 세종(世宗)의 부마ㆍ서예가. 본관은 죽산(竹山). 함길도 관찰사(咸吉道觀察使) 안망지(安望之)의 아들로, 세종의 딸 정의공주(貞懿公主)와 혼인함. 초서(草書)를 잘 쓰고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하며, 음률(音律)ㆍ약물(藥物)에도 밝음.
1415~146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인척
-
연창부원군(延昌府院君) - 김감(金勘)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김원신(金元臣)의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에 가담하여 연창부원군(延昌府院君)에 봉해짐.
1466~150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연창위(延昌尉) - 안맹담(安孟耼)
조선 세종(世宗)의 부마ㆍ서예가. 본관은 죽산(竹山). 함길도 관찰사(咸吉道觀察使) 안망지(安望之)의 아들로, 세종의 딸 정의공주(貞懿公主)와 혼인함. 초서(草書)를 잘 쓰고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하며, 음률(音律)ㆍ약물(藥物)에도 밝음.
1415~1462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인척
-
연천군(延川君)@이경엄 - 이경엄(李景嚴)
조선 광해군(光海君)~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연릉부원군(延陵府院君) 이호민(李好閔)의 아들로, 1610년(광해군 2)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냄.
1579~165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연천군(延川君) - 이보정(李補丁)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백겸(李伯謙)의 아들로, 1420년(세종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연천군(燕川君) - 김준손(金駿孫)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일손(金馹孫)의 맏형. 무오사화(戊午士禍) 로 유배되어 있던 호남(湖南)에서 연산군(燕山君)의 난정(亂政)을 규탄하는 천위사(遷位事)를 조야에 전격(傳檄)함.
1454~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ㅣ경상도>밀양ㅣ경기도>용인 , 인명>관인>문신
-
연청(延淸) - 송지문(宋之問)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심전기(沈佺期)와 함께 시(詩)로 명성을 떨치며 율시(律詩)의 형식을 완성시킴. 수문관 직학사(修文館直學士)를 지냄.
656~71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연초재(燕超齋) - 윤신지(尹新之)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부마(駙馬). 본관은 해평(海平). 윤방(尹昉)의 아들로, 선조의 두 번째 서녀인 정혜옹주(貞惠翁主)와 혼인함. 시(詩)ㆍ서(書)ㆍ화(畵)에 능했음.
1582~165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왕실>인척
-
연촉(蓮燭) - 금련촉(金蓮燭)
중국 황제가 쓰는 연꽃 모양의 초. 당(唐) 나라의 영호도(令狐綯)와 송(宋) 나라의 소동파(蘇東坡)가 임금과의 야대(夜對)에서 물러나올 때 임금이 특별히 금련촉을 주어 보냈다 하여 신하에 대한 임금의 배려를 일컬음.
중국 , 물품>기타물품
-
연촌(烟村) - 최덕지(崔德之)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시인ㆍ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참의(參議) 최담(崔霮)의 아들.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내고 치사(致仕)하여 영암(靈岩)에 머물렀으며, 시를 잘 지음.
1384~145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연촌(煙村) - 최덕지(崔德之)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시인ㆍ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참의(參議) 최담(崔霮)의 아들. 집현전 직제학(集賢殿直提學)을 지내고 치사(致仕)하여 영암(靈岩)에 머물렀으며, 시를 잘 지음.
1384~145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암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연총(延寵) - 오연총(吳延寵)
고려 숙종(肅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병부 낭중(兵部郞中) 등을 지내고, 송(宋) 나라에서 《태평어람(太平御覽)》을 들여옴. 예종 때 여진(女眞) 소탕에 공을 세워 협모동덕치원공신(協謀同德致遠功臣)에 책록됨.
1055~1116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