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연흥군(延興君) - 박고(朴翶)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죽성군(竹城君) 박영충(朴永忠)의 아들로,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 좌의정(議政府左議政)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안한평 - 안한평(安漢平)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문하시중(門下侍中) 안사경(安社卿)의 아버지이며, 죽성군(竹城君) 안극인(安克仁)의 조부로,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역임하였고,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김제남 - 김제남(金悌男)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장인. 둘째 딸이 선조의 계비인 인목왕후(仁穆王后)가 됨. 광해군(光海君) 때 이이첨(李爾瞻) 등에 의해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추대하려 했다는 공격을 받아 사사되어 부관참시(剖棺斬屍)를 당함.
1562~161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 박전지(朴全之)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충선왕(忠宣王)이 세자일 때 시강(侍講)을 맡았으며, 수첨의찬성사(守僉議贊成事) 등을 역임함.
1250~132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연희(延禧) - 채연희(蔡延禧)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우간의대부(右諫議大夫) 채거후(蔡居厚)의 아버지. 어사(御史)를 지냈으며, 일찍이 여혜경(呂惠卿) 형제를 탄핵하여 강직하다는 명성을 얻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열(悅)@황열 - 황열(黃悅)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병조 판서를 지낸 황정욱(黃廷彧)의 아버지. 1536년(중종 31)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용양위 호군(龍驤衛護軍)을 지냄.
1501~?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열(悅)@탁열 - 탁열(卓悅)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선부서(選部書)를 지낸 탁광손(卓光孫)의 아들로, 사헌 규정(司憲糾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열(悅) - 심열(沈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송(靑松). 심예겸(沈禮謙)의 아들로, 숙부 심충겸(沈忠謙)에게 출계(出系)함. 삼사(三司)의 요직을 역임하고, 탁지(度支)에 대한 뛰어난 경륜으로 왕의 총애를 받음.
1569~164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열(挒) - 권열(權挒)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시(權偲)의 아들. 1465년(세조 11)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무안 현감(務安縣監)ㆍ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신녕 , 인명>관인>문신
-
열(烈) - 장열(張烈)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학자인 장현광(張顯光)의 아버지로,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됨.
?~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인동 , 인명>관인>문신
-
열(說) - 곽열(郭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곽회영(郭懷英)의 아들로 1589년(선조 22) 증광시(增廣試)에 급제하여 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을 지냄.
1548~163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열(說)@임열 - 임열(任說)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참봉 임명필(任明弼)의 아들. 세 번 과거에 급제하여 문명을 떨치고, 대사헌ㆍ공조 판서ㆍ한성부 판윤 등을 거쳐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510~159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열(閱) - 김열(金閱)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약채(金若采)의 아들로, 문장이 뛰어났으며, 헌납(獻納)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열(說)@김열 - 김열(金說)
조선 전기의 유학. 유희춘(柳希春)의 《미암집(眉巖集)》에 〈김열가김호이마(金說假金鎬以馬)〉라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열(說) - 심열(沈說)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부사용(副司勇) 심수원(沈粹源)의 아들로, 감찰(監察)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열경(悅卿) - 김시습(金時習)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인. 본관은 강릉(江陵).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으로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음. 주기론적(主氣論的) 입장에서 불교와 도교를 비판, 흡수하여 자신의 철학을 완성시킴.
1435~149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부여ㅣ경상도>경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열경산(列慶山) - 목멱산(木覓山)
서울 남부에 있는 산 이름. 동쪽의 낙산(駱山), 서쪽의 인왕산(仁王山), 북쪽의 백악산(白岳山) 등과 함께 서울 중앙부를 둘러싸고 있는 산의 하나로, 풍수지리상으로 안산(案山) 겸 주작(朱雀)에 해당되며, 통신 제도에 중요한 구실을 함.
서울 , 지명>자연지명
-
열구(列寇) - 열어구(列禦寇)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사상가. 도가(道家)를 확립시킨 인물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나, 실존하였는지는 확실치 않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열당(悅堂) - 양즙(楊楫)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강서운판(江西運判) 등을 지냄. 양방(楊方)ㆍ양간(楊簡)과 함께 삼양(三楊)으로 불림. 저서에 《열당문집(悅堂文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열도(悅道) - 각이(覺怡)
고려 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각이사권(書覺怡師卷)〉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