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열도(閱道)@이열도 - 이열도(李閱道)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보(眞寶). 이굉(李宏)의 아들로, 종조부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1576년(선조 9)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좌랑(禮曹佐郞) 등을 지냄.
1538~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열도(閱道) - 조변(趙抃)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촉(蜀)의 수령으로 있으면서 청렴하여 모범을 보이고, 후에 태자소보(太子少保) 등을 지냈으며, 저서에 《청헌집(淸獻集)》이 있음.
1008~1084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열반산(涅槃山) - 금강산(金剛山)
강원도 고성군ㆍ금강군ㆍ통천군의 경계에 있는 산. 예로부터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꼽히고, 계절에 따라 봉래산(蓬萊山)ㆍ풍악산(楓嶽山)ㆍ개골산(皆骨山)으로 불림.
강원도>통천ㅣ강원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열보(烈甫) - 탁염정(卓念正)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중랑장(中郞將)을 지낸 탁원익(卓元翼)의 아들로, 동정직(同正職)의 영(令)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열봉(悅峯) - 각이(覺怡)
고려 후기의 승려. 원천석(元天錫)의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서각이사권(書覺怡師卷)〉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열산령(列山令) - 이해(李偕)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원천군(原川君) 이의(李宜)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왜군과 대적하다 전사함.
?~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열산수(列山守) - 이해(李偕)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원천군(原川君) 이의(李宜)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왜군과 대적하다 전사함.
?~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열산정(列山正) - 이해(李偕)
조선 선조(宣祖) 때의 종친. 태종(太宗)의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원천군(原川君) 이의(李宜)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왜군과 대적하다 전사함.
?~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열상외사(冽上外史) - 박지원(朴趾源)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ㆍ문인. 청(淸) 나라의 문물을 배워야 한다는 북학파(北學派)의 영수로 이용후생(利用厚生)의 실학을 강조했으며, 자유기발한 문체를 구사하여 여러 편의 한문소설(漢文小說)을 발표함.
1737~180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열선(列仙) - 열어구(列禦寇)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사상가. 도가(道家)를 확립시킨 인물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나, 실존하였는지는 확실치 않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열성(烈成) - 황수신(黃守身)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공신. 본관은 장수(長水)로, 영의정(領議政) 황희(黃喜)의 아들. 영의정에 오르고, 세조 등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됨. 《법화경(法華經)》등 불경의 번역을 주관함.
1407~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열수(裂繻) - 기열수(紀裂繻)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은공(隱公)의 사위.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에 보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열야산(熱也山) - 이산(尼山)
충청남도 논산(論山)의 노성(魯城) 지역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중국 노(魯) 나라의 이구산(尼丘山)의 지형과 비슷하다 하여 노성(魯城)이라고도 부름.
충청도>이산 , 지명>자연지명
-
열이(說而) - 김극형(金克亨)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함창(咸昌).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열자(列子)@열어구 - 열어구(列禦寇)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사상가. 도가(道家)를 확립시킨 인물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나, 실존하였는지는 확실치 않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열자신서(列子新書) - 열자(列子)
중국 춘추전국시대 정(鄭) 나라의 사상가인 열어구(列禦寇)의 저서. 8권 8편. 노자(老子)의 청허무위(淸虛無爲)의 사상을 따라 서술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열종(烈宗) - 무제(武帝)@남북조(전조)
중국 남북조시대 전조(前趙)의 왕. 재위 310~318. 고조(高祖) 유연(劉淵)의 넷째 아들로, 형인 태자 유화(劉和)를 죽이고 왕위를 찬탈함. 즉위 후 진(晉) 나라를 공격하여 회제(懷帝)와 민제(愍帝)를 사로잡는 등 폭정을 일삼다가 국란(國亂) 속에 죽음.
?~31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열지(悅之)@정초 - 정초(鄭招)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집의(執義) 정희(鄭熙)의 아들로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경사(經史)ㆍ역산(曆算)ㆍ복서(卜筮)에 통달하고, 《농사직설(農事直說)》등을 편찬하였으며, 혼천의(渾天儀)를 제작함.
?~14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열지(悅之) - 이중열(李仲悅)
조선 전기의 유학. 조욱(趙昱)의 《용문집(龍門集)》에 그에게 부친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열지(說之) - 박동열(朴東說)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이항복(李恒福)과 교유했고, 폐모론(廢母論)이 일어나자 이를 적극 반대했음. 시문(詩文)에 능하였고 경사(經史)와 백가(百家) 및 국조의 고사에 두루 통하였음.
1564~16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