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열지(說之) - 이성세(李星洗)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이효민(李孝閔)의 아들이며 이성익(李星益)의 아우.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열지(說之)@장열 - 장열(張說)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문인. 허국공(許國公) 소정(蘇頲)과 더불어 연허대수필(燕許大手筆)이라 칭해졌으며, 국가의 큰 편찬 사업을 대부분 주관함.
667~73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열한(熱漢) - 김세한(金勢漢)
경주김씨(慶州金氏)의 시조인 김알지(金閼智)의 아들.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
-
열헌(悅軒) - 조간(趙簡)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김제(金堤). 관직은 찬성사(贊成事) 등을 역임했고 시문(詩文)이 뛰어나 《동문선(東文選)》ㆍ《풍암집화(風巖輯話)》 등에 시가 수록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김제 , 인명>관인>문신
-
열황제(烈皇帝) - 의종(毅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7대 황제. 재위 1628~1644. 광종(光宗)의 다섯째 아들로, 서광계(徐光啓)를 기용하여 재정을 바로잡으려 하였지만 신하들의 파벌당쟁으로 인해 실패하였으며, 이자성(李自成)이 이끄는 반란군에 수도가 함락되자 자살함.
1610~1644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열후(烈侯)@위청 - 위청(衛靑)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장군. 무제의 후(后)인 위자부(衛子夫)의 동생으로, 일곱 차례의 흉노(匈奴) 정벌에 전공을 세워 대장군(大將軍)에 올랐으며, 곽거병(霍去病)과 함께 대사마(大司馬)가 됨.
?~B.C.10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염(㤿) - 심염(沈㤿)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심의겸(沈義謙)의 아들로 심인겸(沈仁謙)에게 출계함.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지냈으며, 영의정(領議政)에 증직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염(冉) - 안하(顔何)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로, 중국 문묘(文廟)에 배향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염(冉)@위염 - 위염(魏冉)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외척이자 공신. 어린 소왕(昭王)을 대신해 정사를 돌보며 국토를 넓힌 후, 소왕이 범수(范睢)를 등용하자 관직을 떠나 봉읍(封邑)으로 돌아가 죽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인척
-
염(廉) - 권렴(權廉)
고려 충선왕(忠宣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손자이며,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준(權準)의 아들.
1302~134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염(廉)@조렴 - 조렴(趙廉)
고려 충숙왕(忠肅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안축(安軸)ㆍ최용갑(崔龍甲)과 함께 원(元) 나라에서 과거에 응시하여 제과(制科)에 급제하였고, 고려에서 밀직부사(密直副使)를 지냄.
1290~1343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염(念) - 권념(權念)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길창부원군(吉昌府院君) 권근(權近)의 손자이며, 안천군(安川君) 권준(權蹲)의 아들로, 마전 군수(麻田郡守)ㆍ지괴산군사(知槐山郡事)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염(恬)@몽염 - 몽염(蒙恬)
중국 진(秦) 나라 시황제(始皇帝) 때의 무신. 대장군을 지낸 몽무(蒙武)의 아들. 30만 대군을 이끌고 흉노를 정벌했으며, 만리장성(萬里長城)을 완성하여 변방 안정에 기여함.
?~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염(恬)@황염 - 황염(黃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장수(長水). 판결사(判決事)를 지낸 황윤준(黃允峻)의 아들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수 , 인명>관인>문신
-
염(恬) - 윤염(尹恬)
조선 전기의 문신. 해남 현감(海南縣監)을 지내고,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염(恬)@이염 - 이염(李恬)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수안(遂安). 이수산(李壽山)의 아들로, 고려 때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를 지내고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되었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鄭道傳) 일파로 몰려 충군(充軍)됨.
?~140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수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염(焰) - 정염(丁焰)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으로, 정황(丁熿)의 문인. 1560년(명종 15)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지내고, 정여립(鄭汝立)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현계서원(玄谿書院)에 배향됨.
1524~160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염(爓) - 이염(李爓)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충건(李忠楗)의 아들. 1544년(중종 39)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한림학사(翰林學士)ㆍ이조 정랑(吏曹正郞)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효수당함. 저서로 《정서류편(征西類編)》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염(琰) - 유염(柳琰)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로, 문하평리(門下評理) 유혜손(柳惠蓀)의 아들. 조선 개국 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내고, 세종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염(琰)@허염 - 허염(許琰)
고려 문종(文宗) 때의 문신. 김해허씨(金海許氏)의 시조. 가락국(駕洛國) 수로왕비(首露王妃)인 허황후(許皇后)의 35세손으로, 삼중대광(三重大匡)을 지내고 가락군(駕洛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