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염수와(念修窩) - 송무원(宋婺源)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송시열(宋時烈)의 증손이며, 통덕랑(通德郞) 송회석(宋晦錫)의 아들. 숙종이 황단(皇壇)에 친사(親祀)할 때 최석정(崔錫鼎)의 수상(首相) 임명을 반대하여 유배됨. 왕명으로 《송자대전(宋子大全)》의 간행을 주관함.
1677~1736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염옹(濂翁)@탁광무 - 탁광무(卓光茂)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낸 탁문위(卓文位)의 맏아들로, 충혜왕 때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며, 예의 판서(禮儀判書) 등을 지냄.
1330~14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염옹(濂翁) - 주돈이(周敦頤)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스승으로,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 저서에 《태극도설(太極圖說)》ㆍ《통서(通書)》등이 있음.
1017~107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염유(冉有) - 염구(冉求)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계강자(季康子)의 가신. 공자(孔子)의 제자로,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 정치방면에 탁월한 재능을 지님.
B.C.5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염의(廉義) - 정운경(鄭云敬)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로, 정도전(鄭道傳)의 아버지. 복주목(福州牧)의 판관(判官)일 때 송사(訟事)를 잘 처리함. 검교밀직제학(檢校密直提學)에 제수되었으나 병으로 사퇴하고 영주(榮州)에 돌아와 죽음.
1305~1366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염자(冉子) - 염구(冉求)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 계강자(季康子)의 가신. 공자(孔子)의 제자로,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 정치방면에 탁월한 재능을 지님.
B.C.5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염정(念正) - 탁염정(卓念正)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광산(光山). 중랑장(中郞將)을 지낸 탁원익(卓元翼)의 아들로, 동정직(同正職)의 영(令)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염정(濂亭) - 탁광무(卓光茂)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집현전 대제학(集賢殿大提學)을 지낸 탁문위(卓文位)의 맏아들로, 충혜왕 때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였으며, 예의 판서(禮儀判書) 등을 지냄.
1330~141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염제(炎帝) - 신농(神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帝王) 또는 신(神). 백성에게 농경을 가르쳤으며, 백초(百草)를 맛보고 약초를 찾아내 병을 치료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염조(念祖)@성염조 - 성염조(成念祖)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성엄(成揜)의 아들로,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ㆍ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등을 역임함.
1398~14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염조(念祖) - 범염조(范念祖)
중국 송(宋) 나라 때의 관료. 범여규(范如圭)의 아들로, 경술(經術)을 연구하고 실용적인 학문을 추구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염조(炎祚) - 송(宋)@남북조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남조(南朝) 최초의 왕조. 동진(東晉) 말기에 유유(劉裕)가 진(晉) 나라 공제(恭帝)로부터 선양을 받아 세운 나라로, 8대 60년간 존속.
420~47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염주(鹽州) - 연안(延安)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 도호부를 설치하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귀속됨.
황해도>연안 , 지명>행정지명
-
염주노수(鹽州老守) - 신응시(辛應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와 교유하고, 주자학(朱子學)에 조예가 깊음.
1532~1585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염주지(鹽州志) - 연안지(延安志)
조선 선조(宣祖) 때 연안도호부사(延安都護府使)인 윤두수(尹斗壽)가 편찬한 읍지. 〈연안지서(延安志序)〉를 비롯한 관련 자료들이 《오음유고(梧陰遺稿)》에 전함.
1580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염중(念中) - 조가여(趙可與)
중국 명(明) 나라 무종(武宗) 때의 문신ㆍ학자. 염운사(鹽運使) 등을 지내고, 일부에서는 《고수부담(孤樹裒談)》의 저자로 알려짐.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염참(髥參) - 치초(郗超)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치음(郗愔)의 아들로, 모반(謀反)을 꾀하던 환온(桓溫)의 막하(幕下)가 되어 여러 가지 일을 획책함. 성품이 은일(隱逸)을 좋아하여 대규(戴逵)를 위해 섬계(剡溪)에다 집을 지어주었다 하며, 승려인 지둔(支遁)과 친교함.
336~377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엽(曄)@이수오의아버지 - 이엽(李曄)@이수오의아버지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진사(進士) 이수오(李秀塢)의 아버지. 의흥위 중부장(義興衛中部將)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무신
-
엽(曄) - 윤엽(尹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윤극신(尹克新)의 아들이며,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낸 윤돈(尹暾)의 형으로, 서천 군수(舒川郡守) 등을 지냄.
1546~160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엽(曄)@정엽 - 정엽(鄭曄)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인. 황주 판관(黃州判官)으로서 왜군을 격퇴한 공으로 중화 부사(中和府使)가 됨. 대사성(大司成)으로서 타직(他職)을 겸하는 예가 정엽으로부터 비롯됨.
1563~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초계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