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금성(金星)
저녁의 서쪽 하늘이나 새벽의 동쪽 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별.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서방(西方)을 상징하였으며, 흔히 군사(軍事)나 전쟁(戰爭)을 비유함.
자연물>천체
-
금성대군(錦城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여섯째 아들. 태조(太祖)의 여덟째 아들인 의안대군(宜安大君) 이방번(李芳蕃)의 후사로 출계함. 수양대군(首陽大君)에 맞서 조카 단종(端宗)을 보호하다가 삭녕(朔寧)에 유배된 후, 단종복위를 모의한 일이 실패하여 처형당함.
1426~14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금성산(錦城山)
전라도 나주(羅州)의 진산(鎭山). 나주의 북쪽 5리에 위치하며, 흥룡사(興龍寺) 등의 사찰이 있음.
전라도>나주 , 지명>자연지명
-
금시영(琴是詠)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금복고(琴復古)의 장남으로, 직장(直長)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금시조(琴是調)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금복고(琴復古)의 아들로, 1624년(인조 2) 식년시에 급제하여 봉상시 첨정(奉常寺僉正) 등을 지냄.
1584~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금앙성(琴仰聖)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봉화(奉化)로, 금원정(琴元貞)의 손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금양부곡(金陽部曲)
경상남도 진주에 있었던 고을 이름. 신라 때의 성량현(省良縣)을 고려 때 강등시켜 금양부곡이 되었고, 1437년(세종 19)에 곤양군(昆陽郡)에 내속시킴.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곤양 , 지명>행정지명
-
금양잡록(衿陽雜錄)
조선 전기의 문신인 강희맹(姜希孟)이 사계절의 농사와 농작물에 필요한 사항을 기술한 농서(農書). 손수 농사를 지으면서 보고 듣고 체험한 것을 기록하였는데, 이것을 아들 강귀손(姜龜孫)이 간행함.
1492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금역당집(琴易堂集)
조선 후기의 문신인 배용길(裵龍吉)의 시문집. 7권 4책. 후손 배선원(裵善源)ㆍ배선하(裵善河) 형제가 유고를 정리하고, 종인(宗人) 배욱주(裵郁周) 등이 목판으로 간행함.
185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문헌>서명
-
금영주(琴韺奏)
조선 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의 문인(門人)으로, 유학 권중형(權重衡)과 함께 수학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금오(琴梧)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봉화(奉化)로, 지흥해군사(知興海郡事)를 지낸 금치담(琴致湛)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관직에 나가지 않음. 황준량(黃俊良)ㆍ권동보(權東輔)ㆍ정유일(鄭惟一) 등과 교유했음.
1486~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금오산(金鰲山)@곤양
경상도 곤양(昆陽)에 있는 산 이름. 곤양 서쪽 20리 되는 곳에 있는 산으로 이곳에서 시인들이 시를 읊고 풍류를 즐겼다 하며, 현재는 하동(河東)에 속함.
경상도>곤양 , 지명>자연지명
-
금오산(金鰲山)@경주
경상도 경주에 있는 산. 남서쪽에 박혁거세 전설이 전해지는 있는 나정(蘿井)이 있고, 신라시대의 각종 문화재가 산재해 있음. 김시습(金時習)이 은거하며 《금오신화(金鰲新話)》를 지은 곳으로 알려짐.
경상도>경주 , 지명>자연지명
-
금오산(金烏山)
경상북도 구미(龜尾)ㆍ칠곡(漆谷)ㆍ김천(金泉)의 경계에 있는 산 이름. 단풍의 명소로 일명 금강(金剛)이라 불리며 예로부터 경북팔경(慶北八景)의 하나로 꼽힘.
경상도>선산ㅣ경상도>개령 , 지명>자연지명
-
금오산성(金烏山城)
경상북도 구미(龜尾)ㆍ김천(金泉)ㆍ칠곡(漆谷)에 걸쳐 있는 고려시대의 산성. 둘레 약 3.5킬로미터. 현재 남ㆍ서ㆍ중문 및 암문(暗門)과 건물 등이 남아 있음.
한국>고려시대 , 경상도>선산ㅣ경상도>개령 , 유적>시설>성,진,책
-
금오서원(金烏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선산(善山)에 건립한 서원. 관찰사 남재(南在)가 세우고 1575년(선조 8)에 사액서원으로 승격됨. 길재(吉再)ㆍ김종직(金宗直)ㆍ정붕(鄭鵬)ㆍ박영(朴英)ㆍ장현광(張顯光) 등을 배향함. 현재 경상북도 구미시(龜尾市)에 속함.
157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유적>건물>서원,향교
-
금오신화(金鰲新話)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김시습(金是習)이 지은 한문 단편 소설. 우리나라 최초의 소설로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ㆍ〈이생규장전(李生窺牆傳)〉ㆍ〈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ㆍ〈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ㆍ〈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 5편이 전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금와왕(金蛙王)
고구려 동명성왕(東明聖王)의 설화에 등장하는 동부여(東扶餘)의 왕. 부여왕 해부루(解夫婁)에게 발견되어 태자가 되었으며, 해모수(解慕漱)와 사통(私通)한 하백(河伯)의 딸 유화(柳花)를 아내로 맞음.
고대 , 인명>왕실>국왕
-
금용식(琴容式)
고려 전기의 문신. 봉화금씨(奉化琴氏)의 시조. 태사(太師) 등을 역임했으며,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오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금원군(錦原君)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아들. 어머니는 홍경주(洪景舟)의 딸인 희빈홍씨(熙嬪洪氏). 사옹원(司甕院)ㆍ종부시(宗簿寺) 등의 도제조를 지냄.
1513~156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