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영기(榮期)@영계기 - 영계기(榮啓期)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은자. 가난하여 갈옷을 입고 새끼로 띠를 했지만, 사람과 남자로 태어나 장수한 것에 만족하여 거문고를 켜고 노래를 하고 다녔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영기(榮期) - 김반천(金半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 김사창(金泗昌)의 아들로, 정종(定宗)의 증손인 안현군(安賢君) 이성동(李盛同)의 사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영길(永吉)@유영길 - 유영길(柳永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참봉(參奉) 유의(柳儀)의 아들이며, 영의정 유영경(柳永慶)의 형으로, 시문(詩文)에 능하였으며, 예조 참판(禮曹參判)ㆍ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1538~16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영길(永吉) - 이종윤(李宗胤)
조선 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일곱 번째 서자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운림군(雲林君)에 봉해짐.
1563~164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남(嶺南) - 경상도(慶尙道)
경상남도와 경상북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고려 때 경주(慶州)와 상주(尙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지명.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경상도 , 지명>행정지명
-
영남(永男) - 이영남(李永男)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맏아들인 양녕대군(讓寧大君) 이제(李禔)의 증손이며, 호산군(湖山君) 이현(李鉉)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영남(穎男) - 김영남(金穎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김기(金誋)의 아들. 진양 군수(晋陽郡守)로 있을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 동강(東江)의 왜적을 방어하는 한편, 사천(泗川)에 있는 적을 소탕하고 수천석의 군량미를 서울에 운반하였음.
1547~161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영남도(嶺南道)@경상도 - 경상도(慶尙道)
경상남도와 경상북도를 합하여 부르는 도(道) 이름. 고려 때 경주(慶州)와 상주(尙州)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만든 합성지명. 조선시대 팔도(八道)의 하나.
경상도 , 지명>행정지명
-
영남우도(嶺南右道) - 경상우도(慶尙右道)
조선 1407년(태종 7) 편의상 경상도를 양분하여 오른쪽 지역을 통칭한 행정구역. 낙동강 서쪽 지역에 속하는 성주ㆍ선산ㆍ합천ㆍ함양ㆍ의령ㆍ남해ㆍ거창ㆍ사천ㆍ하동ㆍ고성ㆍ창원 등 28개의 군현이 해당됨.
지명>행정지명
-
영남좌도(嶺南左道) - 경상좌도(慶尙左道)
조선 1407년(태종 7) 편의상 경상도를 양분하여 왼쪽 지역을 통칭한 행정구역. 낙동강 동쪽 지역에 속하는 울산ㆍ양산ㆍ연일ㆍ동래ㆍ청송ㆍ예천ㆍ풍기ㆍ밀양ㆍ칠곡ㆍ경산ㆍ청도ㆍ영양 등 37개의 군현이 해당됨.
지명>행정지명
-
영녀(贏女) - 농옥(弄玉)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소사(簫史)의 고사에 나오는 진(秦) 목공(穆公)의 딸. 소사(簫史)에게 퉁소를 배워 함께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공주
-
영년(永年) - 박영년(朴永年)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순천(順天). 이조 판서(吏曹判書) 박중림(朴仲林)의 아들이며, 박팽년(朴彭年)ㆍ박인년(朴引年)ㆍ박기년(朴耆年)ㆍ박대년(朴大年)의 아우로,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 등을 지냄. 아버지와 형들과 함께 단종(端宗) 복위운동을 도모하다가 처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영녕(永寧) - 왕준(王綧)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종친. 현종(顯宗)의 후손으로 청화후(淸化侯) 왕경(王璟)의 아들이며, 승화후(承化侯) 왕온(王溫)의 동생. 1241년(고종 28) 고종의 명으로 왕자라 칭하고 독로화(禿魯花)가 되어 몽고에 감.
1223~128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영녕공(永寧公) - 왕준(王綧)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종친. 현종(顯宗)의 후손으로 청화후(淸化侯) 왕경(王璟)의 아들이며, 승화후(承化侯) 왕온(王溫)의 동생. 1241년(고종 28) 고종의 명으로 왕자라 칭하고 독로화(禿魯花)가 되어 몽고에 감.
1223~128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영녕군공(永寧郡公) - 왕승변(王僧辯)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무신. 후경(侯景)의 난을 평정하고 뒤에 영녕군공(永寧郡公)에 봉해짐.
?~55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영녕남(永寧男) - 문급(文伋)
고려 전기의 무신.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문다성(文多省)의 아들. 용호대장군(龍虎大將軍)이 되어 여진족(女眞族)을 토벌한 공으로 영녕남(永寧男)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무신
-
영달(穎達) - 공영달(孔穎達)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문장ㆍ천문ㆍ수학에 능통하였으며, 태종의 명에 따라 《수서(隋書)》ㆍ《오경정의(五經正義)》 등을 편찬함.
574~648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영덕(盈德) - 박영덕(朴盈德)
조선 전기의 문인.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과 교유하였으며, 시문(詩文)뿐만 아니라 무예(武藝)에도 뛰어났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문인
-
영도(詠道) - 이영도(李詠道)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손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왜군과 싸웠고, 전재민(戰災民) 구호와 군량미를 조달하여 명관으로 이름을 떨쳤으며, 현풍 현감(玄風縣監) 때 뛰어난 치적으로 표리(表裏)를 하사받음.
1559~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영돈(永暾) - 김영돈(金永暾)
고려 충렬왕(忠烈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무신. 김방경(金方慶)의 손자로 조적(曺頔)의 난에 공을 세워 공신이 됨.
1285~134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