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영리군(永利君) - 야선불화(也先不花)
중국 원(元) 나라의 환관(宦官). 고려 사람으로 원(元) 나라에 가서 환관이 되었고, 벼슬이 중의대부(中議大夫) 중서사승(中瑞司丞)에 이르렀으며, 영리군(永利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양ㅣ경상도>신녕 , 인명>관인>환관
-
영립(永立) - 유영립(柳永立)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임진왜란 때 왜장에게 뇌물을 바치고 탈출한 일로 국위를 손상시켰다는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으나, 유성룡(柳成龍)의 변호로 복직된 뒤 병조 참판(兵曹參判)을 지냄.
1537~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영매(嶺梅) - 유후조(柳厚祚)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유심춘(柳尋春)의 아들로, 고종 때 남인(南人)을 우대한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정책으로 우의정(右議政)을 지냄.
1798~187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영명(令明) - 방덕(龐德)
중국 삼국시대 위(衛) 나라의 장수. 조조(曹操)에게 귀부하여 장수가 되어 싸우다가 관우(關羽)에게 죽임을 당함.
?~21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영명(永明) - 진왕(秦王)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의 하나인 전조(前趙)의 제5대 황제. 재위 318~328. 고조(高祖)인 유연(劉淵)의 조카로, 즉위 후 국호를 ‘조(趙)’로 고치고 장안(長安)에 도읍하였으나, 후조(後趙)의 석륵(石勒)에게 피살됨.
?~32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명루(永明樓) - 부벽루(浮碧樓)
고구려(高句麗) 때 평안도 평양(平壤) 대동강(大同江) 가에 세워진 누각. 원래 영명루(永明樓)였는데 고려 예종(睿宗) 때 이안(李顔)에 의해 부벽루(浮碧樓)로 개명(改名)됨.
393 한국>고구려 , 평안도>평양 , 유적>건물>누정
-
영모(令謨) - 민영모(閔令謨)
고려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한림학사(翰林學士) 민인균(閔仁鈞)의 조부(祖父)이고 복흥군(福興君) 민종유(閔宗儒)의 고조부(高祖父)로,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냄.
1115~119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영모당(永慕堂) - 안당(安瑭)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우의정ㆍ영중추부사 등을 지냄.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아들 안처겸(安處謙)ㆍ안처근(安處謹)과 함께 사사(賜死) 되었으나, 명종(明宗) 때 복관됨.
1461~152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영모전(永慕殿) - 선조(宣祖)@조선
조선 제14대 왕. 재위 1567~1608. 중종(中宗)의 손자이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셋째 아들. 초기에는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국정 쇄신에 노력하였으나, 재위 기간의 대부분을 치열한 당쟁(黨爭)과 전란(戰亂) 속에서 보냄.
1552~16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영목(英穆) - 원성왕후(元成王后)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제3비. 본관은 안산(安山). 김은부(金殷傅)의 딸로, 두 동생과 함께 모두 현종의 비가 됨. 덕종(德宗)ㆍ정종(靖宗) 두 아들과 인평왕후(仁平王后)ㆍ경숙공주(景肅公主) 등을 낳음.
?~1028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영묘(寧廟) - 효종(孝宗)@조선
조선 제17대 왕. 재위 1649~1659. 병자호란(丙子胡亂) 직후 소현세자(昭顯世子)와 함께 청(淸) 나라의 볼모로 8년간 머묾. 즉위 후 송시열(宋時烈)을 중용하여 북벌계획을 수립하고, 대동법(大同法) 시행과 상평통보(常平通寶)를 주조하는 등 경제시책에 업적을 남김.
1619~16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영묘(英廟) - 세종(世宗)@조선
조선 제4대 왕. 재위 1418~1450. 태종(太宗)의 셋째 아들. 집현전(集賢殿)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고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하였으며, 육진(六鎭)을 개척하고 대마도(對馬島)를 정벌함.
1397~145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영묘(英廟)@영조 - 영조(英祖)
조선 제21대 왕. 재위 1724~1776. 재위 기간 중에 탕평책(蕩平策)과 균역법(均役法)을 추진하고, 가혹한 형벌을 폐지하여 실학을 장려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김.
1694~17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영묘(英廟)@영종 - 영종(英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6대, 제8대 황제. 재위 1436~1449, 1457~1464. 선종(宣宗)의 장남. 인종(仁宗) 때의 정책을 계승하여 안정을 이루었지만 황태후 장씨(張氏)가 죽고 원로대신들이 실각하자 반대 세력에 의해 양위했다가 다시 복위함.
1427~1464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무(甯武) - 영유(甯兪)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위(衛) 나라 성공(成公) 때의 대부. 나라에 도(道)가 있을 때는 지혜롭게 행동하고, 나라가 무도할 때는 어리석게 행동하여 공자(孔子)의 칭송을 받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영무(英茂) - 이영무(李英茂)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충절(李忠節)의 아버지. 평해군 훈도(平海郡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영무(英茂)@조영무 - 조영무(趙英茂)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조세진(趙世珍)의 아들. 조선 개국에 공을 세우고 제1ㆍ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봉해짐.
?~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숙천(肅川)@양형 - 양형(梁泂)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눌재(訥齋) 양성지(梁誠之)의 손자이며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를 지낸 양찬(梁瓚)의 아들로, 숙천도호부사(肅川都護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숙철정명(淑哲貞明) - 문정왕후(文定王后)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파평(坡平)으로, 윤지임(尹之任)의 딸. 12세의 나이로 즉위한 명종(明宗)을 대신해 8년간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불교 부흥을 꾀하여 선교(禪敎) 양종(兩宗)을 부활시키고, 도첩제(度牒制)를 다시 실시함.
1501~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숙첨(叔瞻) - 정숙첨(鄭叔瞻)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형부 상서를 지낸 정세유(鄭世猷)의 아들이며, 최우(崔瑀)의 장인. 아버지의 반역 모의에 연좌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남. 거란(契丹)의 침입 때 중군원수(中軍元帥)가 되었으며, 평장사(平章事)에 오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