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금원복(琴元福)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음보(蔭補)로 통례원 인의(通禮院引儀)를 거쳐 성주 판관(星州判官) 등을 역임하였고 예조에 재직하는 동안 대례(大禮)의 모든 절차를 담당함.
1480~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금원정(琴元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진사. 본관은 봉화(奉化)로, 동래 현령(東萊縣令)을 지낸 금휘(琴徽)의 아들. 1501년(연산군 7)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고, 기묘년에 효우(孝友)로 천거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금응려(琴應呂)
조선 전기의 문신.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시를 수창하며 지냈으며, 습독관(習讀官)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금응빈(琴應賓)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봉화(奉化). 청송 부사(靑松府使)를 지낸 금의(琴椅)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단양 , 인명>문사>유학
-
금응석(琴應石)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이황(李滉)의 문인이며, 이해(李瀣)의 아들 이교(李㝯)의 장인. 주부(主簿)를 지냈으며, 기근 때 빈민을 구휼하고 종자(種子)를 나눠 주는 등 선행을 베풀었다 함.
1508~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금응협(琴應夾)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유일(遺逸)로 뽑혀 6품직을 초수(超授)하고 하양 현감(河陽縣監) 등을 지냄.
1526~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금응훈(琴應壎)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영춘 현감(永春縣監)ㆍ양천 현감(陽川縣監) 등을 역임하고 《퇴계집(退溪集)》 간행실무자로 참여함.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금의(琴儀)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봉화금씨(奉化琴氏)의 시조. 학문과 문장에 뛰어나 지공거(知貢擧)로 있을 때 많은 인재를 등용하였으며 벽상공신(壁上功臣)에 오름.
1153~123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금의(琴椅)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 금치담(琴致湛)의 아들로, 청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이황(李滉)과 교유함.
?~15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금의순(琴義筍)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봉화(奉化). 금제순(琴悌筍)의 형으로,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문사>유학
-
금인(琴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봉화(奉化)로, 송음(松陰) 금복고(琴復古)의 아버지. 1540년(중종 35) 진사시에 입격했으며, 봉화(奉化)의 구만서원(龜彎書院)에 배향됨.
1510~15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금재(琴榟)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봉성(鳳城).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을 지낸 금치담(琴致湛)의 아들로, 만년(晩年)에 예안 훈도(禮安訓導)를 지냄.
1498~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금제순(琴悌筍)
조선 전기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금의순(琴義筍)의 동생으로, 관직은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문신
-
금주(錦州)
중국 요녕성(遼寧省) 서부에 있는 도시 이름. 명(明) 나라 때 구획한 방수의 경계지로서 인근의 의주(義州)와 함께 산해관(山海關)까지 이르는 동북면 경계를 이루고, 변문(邊門)을 세워 출입을 통제함.
중국 , 지명>행정지명
-
금천(衿川)
경기도 광명시ㆍ군포시ㆍ시흥시ㆍ의왕시 일대의 조선시대 옛 고을 이름. 정조(正祖) 때 금천현이 시흥현(始興縣)으로 개칭됨.
경기도>금천 , 지명>행정지명
-
금천서원(琴川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함안(咸安)에 건립한 서원. 장범(張範)이 함안 군수(咸安郡守)로 재직하면서 창건하여 흥학(興學)에 힘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유적>건물>서원,향교
-
금축(琴軸)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로, 동래 현령(東萊縣令)을 지낸 금휘(琴徽)의 손자. 1531년(중종 26)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고, 1540년(중종 35) 권벌(權橃)에 의해 일사(逸士)로 천거되어 제릉 참봉(齊陵參奉)에 임명됨.
1496~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금치담(琴致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봉성(鳳城). 성주 판관(星州判官)을 지낸 금간(琴衎)의 아들로,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
-
금헌(琴憲)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봉화(奉化). 봉화 현감(奉化縣監)을 지낸 금난수(琴蘭秀)의 아버지로, 정로위(定虜衛)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봉화 , 인명>관인>무신
-
금헌집(琴軒集)
조선 중종(中宗) 때 문신인 이장곤(李長坤)의 문집. 1권 1책. 문집의 서(序)는 채제공(蔡濟恭), 발(跋)은 안정복(安鼎福)이 지음. 시(詩) 6수와 문(文) 1편이 있음.
178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