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순(純)@송순 - 송순(宋純)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신평(新平).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냈으며, 면앙정가단(俛仰亭歌壇)의 창설자이자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선구자로서, 조선 시가문학(詩歌文學)에 크게 기여함.
1493~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순(純) - 민순(閔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흥(驪興). 신광한(申光漢)ㆍ서경덕(徐敬德)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향리에서 후진 교육에 힘씀.
1519~159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순(舜)@조순 - 조순(趙舜)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생육신(生六臣)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조려(趙旅)의 손자로,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냄.
1467~152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순(詢)@이승건의아들 - 이순(李詢)@이승건의아들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우봉(牛峰)으로, 예조 판서(禮曹判書) 이승건(李承健)의 아들이며 이지충(李之忠)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우봉 , 인명>문사>유학
-
순(詢)@성순 - 성순(成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성세형(成世亨)의 아들로,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순(詢)@이호의아들 - 이순(李詢)@이호의아들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종친. 세종(世宗)의 세 번째 서자인 의창군(義昌君) 이공(李玒)의 손자이며, 사산군(蛇山君) 이호(李灝)의 아들.
1465~153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순(詢) - 구양순(歐陽詢)
중국 수(隨) 양제(煬帝)~당(唐)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당 고조(高祖)가 즉위한 후에 급사중(給事中)으로 발탁되고, 태자솔경령(太子率更令)ㆍ홍문관 학사(弘文館學士) 등을 지냄. 글씨에 뛰어나 사람들로부터 해법(楷法)의 극칙(極則)이라 하여 칭송됨.
557~641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순(諄) - 이순(李諄)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네 번째 서자인 근녕군(謹寧君) 이농(李襛)의 증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순(錞) - 성순(成錞)
조선 인조(仁祖)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넷째 아들로, 학문을 연마하고 하홍도(河弘度)와 교류함.
1590~165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순(順)@김순 - 김순(金順)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김녕(金寧). 판도 판서(版圖判書) 김광저(金光儲)의 아들로, 고려 때 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냈으나 조선이 개국되자 벼슬에서 물러나 충북 옥천(沃川)에 정자를 짓고 망국의 한을 달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옥천 , 인명>관인>문신
-
순(順)@최순 - 최순(崔順)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화순(和順).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최제안(崔濟安)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문사>유학
-
순(順) - 기순(祁順)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1476년(조선 성종 7) 조선에 사신으로 왔을 때 접반사(接伴使)로 나간 서거정(徐居正)과 시를 수창하고 서거정의 시재를 높이 평가함. 호부 낭중(戶部郞中)을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순^원^고경(巡^遠^杲卿) - 장^허^고경(張^許^杲卿)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충신인 장순(張巡)ㆍ허원(許遠)ㆍ안고경(顔杲卿)을 함께 부르는 말. 안녹산(安祿山)의 난을 진압하다가 모두 죽임을 당함.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순가팔룡(荀家八龍) - 순씨팔룡(荀氏八龍)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인 순숙(荀淑)의 여덟 명의 아들, 순검(荀儉)ㆍ순곤(荀緄)ㆍ순정(荀靖)ㆍ순도(荀燾)ㆍ순왕(荀汪)ㆍ순상(荀爽)ㆍ순숙(荀肅)ㆍ순전(荀專)이 모두 훌륭했기 때문에 함께 부르는 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집단>조직
-
순강(鶉江) - 순자강(鶉子江)
전라남도 곡성(谷城)에 있는 강. 섬진강(蟾津江)의 상류로 자연 경관이 빼어남.
전라도>곡성 , 지명>자연지명
-
순갱노회(蓴羹鱸膾) - 순로(蓴鱸)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장한(張翰)이 가을바람을 맞고는 고향 강동(江東)의 순채국과 농어회 맛을 잊지 못하여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던 데서 나온 고사로,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순거(舜擧)@김팔원 - 김팔원(金八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예조 좌랑(禮曹佐郞)ㆍ용궁 현감(龍宮縣監) 등을 지냄.
1524~158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순거(舜擧)@윤순거 - 윤순거(尹舜擧)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성혼(成渾)의 외손자이자 윤황(尹煌)의 아들로, 백부인 윤수(尹燧)에게 출계함. 성문준(成文濬)ㆍ강항(姜沆)ㆍ김장생(金長生)에게 수학하였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상의원 정(尙衣院正) 등을 지냄.
1596~166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순거(舜擧) - 유여해(兪汝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유기창(兪起昌)의 아들로, 군기시 판관(軍器寺判官)을 지냄.
1461~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순경(舜卿)@목서흠 - 목서흠(睦敍欽)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목첨(睦詹)의 아들이며, 목겸선(睦兼善)의 아버지.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仁祖)를 남한산성에서 호종(護從)함.
1572~165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