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순맹(順孟) - 탁순맹(卓順孟)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성균관 진사(成均館進士) 탁문상(卓文尙)의 셋째 아들이고, 탁순창(卓順昌)ㆍ탁순달(卓順達)의 동생이며, 탁순계(卓順季)의 형.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순명(順命) - 김순명(金順命)
조선 단종(端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으로, 김길통(金吉通)의 아들. 1467년(세조 13) 이시애(李施愛)의 난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훈되었고,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냈으며, 청릉군(淸陵君)에 봉해짐.
1435~148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풍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순묘(純廟) - 순조(純祖)
조선 제23대 국왕. 재위 1800~1834. 형인 문효세자(文孝世子)가 일찍 죽어 1800년(정조 24) 왕세자에 책봉되고 즉위했으나, 홍경래(洪景來)의 난과 외척세력의 견제로 아들 효명세자(孝明世子)에게 대리청정(代理聽政)을 시킴.
1790~18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순문(順門) - 심순문(沈順門)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성품이 강직하여 연산군의 폐정(弊政)을 자주 직언하였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참수됨. 중종 때 복관(復官)됨.
1465~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순문약(荀文若) - 순욱(荀彧)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순가팔룡(荀家八龍) 중 한 명인 순곤(荀緄)의 아들로 조조(曹操)를 도와 패업을 이룩하였으나, 위왕(魏王)이 되려는 조조의 속셈을 반대하다가 미움을 사 자결함.
163~21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순미(洵美) - 마수(馬燧)
중국 당(唐) 대종(代宗)~덕종(德宗) 때의 장수. 이영요(李靈耀)의 난을 평정하였음.
729~79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순민(舜民) - 이순민(李舜民)
조선 전기의 종친. 전중(殿中)을 지낸 윤홍언(尹弘彦)의 장인으로, 장림수(長臨守)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순민(舜民)@남순민 - 남순민(南舜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충청도 수군절도사 남효원(南孝元)의 아들. 독서를 즐겨 책을 손에서 놓지 않았으며 역학(易學)에 정통했음.
1484~15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순보(淳父) - 범조우(范祖禹)
중국 송(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역사가. 사마광(司馬光)과 함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기술하고, 당(唐) 나라의 역사 비평서인 《당감(唐鑑)》을 저술함.
1041~109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순보(淳甫) - 범조우(范祖禹)
중국 송(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역사가. 사마광(司馬光)과 함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기술하고, 당(唐) 나라의 역사 비평서인 《당감(唐鑑)》을 저술함.
1041~109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순보(淳甫)@이교연 - 이교연(李皎然)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선(李旋)의 아들로, 세조(世祖)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의 주요 관직을 지냄.
1413~14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순보(淳甫)@이보정 - 이보정(李補丁)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이백겸(李伯謙)의 아들로, 1420년(세종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순보(醇甫) - 이순도(李純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 이황(李滉)의 손자로, 조목(趙穆) 등에게 수학하고 학문에 전심하였으나, 친상(親喪)의 거상중에 병으로 죽음.
1554~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문인
-
순보(順甫)@유순보 - 유순보(柳順甫)
조선 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의 《송암집(松巖集)》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순보(順甫) - 조석문(曺錫文)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관찰사를 지낸 조항(曺沆)의 아들. 노사신(盧思愼)과 함께 《북정록(北征錄)》을 편찬하고, 영의정(領議政)을 지냄.
1413~14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순보(順甫)@신지제 - 신지제(申之悌)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아주(鵝洲). 창원 부사(昌原府使)로 있을 때 명화적(明火賊)을 토평하고 민심을 안정시켜 그 공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1562~162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순복(順福) - 홍순복(洪順福)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홍석복(洪碩福)의 형이고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 기묘사화 때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대궐문을 막고 저항하였다가 이듬해 이신(李信)의 밀고로 붙잡혀 사사됨.
1492~152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순부(淳夫) - 범조우(范祖禹)
중국 송(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역사가. 사마광(司馬光)과 함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기술하고, 당(唐) 나라의 역사 비평서인 《당감(唐鑑)》을 저술함.
1041~1098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순부(淳夫)@정희량 - 정희량(鄭希良)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부사(府使) 정연경(鄭延慶)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 승문원(承文院) 권지부정자(權知副正字) 등을 지내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배됨.
146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순부(淳夫)@완문질 - 완문질(阮文質)
베트남 여조(黎朝) 때의 문신. 명(明) 헌종(憲宗) 때 하절사(賀節使)로 중국을 방문해 조선의 사신(使臣) 홍귀달(洪貴達)과 교유함.
중국>명 , 기타지역 , 인명>관인>문신